DAW Basic for Beginner
로직 프로 시작 화면 / New Project 만들기
로직 프로 시작 화면 / New Project 시작하기
가상악기 개념 기초 설명
로직 프로 에서 가상악기 불러오는 방법 ( 1 )
- 설치한 가상악기 보이지 않을때 …
- 32bit 가상악기 / 플러그인 불러오기
로직 프로 에서 가상악기 불러오는 방법 ( 2 )
가상악기 종류 ( 싱글 팀버 / 멀티 팀버 ) 기초 개념 설명
로직 프로 에서 멀티 팀버 가상악기 셋팅 방법
Q&A : 가상악기 사용하다가 중간에 악기 멀티 추가할 수 없나요?
Q&A : 가상악기가 화면에서 안 보여요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나요?
Region ( 리전 ) 의 기초 개념 설명
Region ( 리전 ) 만드는 방법
Show Tool Menu 활용 방법
- Show Tool Menu Shortcut Keys ( 단축키 )
미디 노트 / 음표 입력 방법
- 미디 입력을 위한 알아야 할 기초 사항들
- Snap ( 스냅 ) 의 개념 설명
Piano Roll ( 피아노 롤 ) 기초 개념 설명
- Grid ( 그리드 / 구분선 ), Quantize ( 퀀타이즈 ) 기초
- Middle C ( 가온다 ) 위치
- MIDI Note ( 미디 노트 ) 입력 기초
MIDI Note ( 미디 노트 ) 입력시 알아두면 좋은 Tip
Q&A : 로직 프로에서 5잇단이나 7잇단 입력은 어떻게 하나요?
- Transform 을 이용한 5잇단 입력 방법 가이드
Q&A : 미디를 찍는데 소리가 안나는데 들으면서 찍을 순 없나요?
Q&A : Piano Roll 이 너무 어두운데 밝게 조절할 수는 없나요?
로직 프로 템포 설정 기초
Tempo Track ( 템포 트랙 ) 을 이용한 템포 입력하기
- Altered Tempo : 중간에 바뀌는 템포 입력하기
로직 프로 박자 설정 기초
- Signature Track ( 시그네이처 트랙 ) 에서 박자 설정하기
- Altered Signature : 중간에 바뀌는 박자 입력하기
Q&A : Tempo 용어별 대략적인 Tempo 값은 어느정도인가요?
MIDI 입력을 위한 다양한 건반의 고려할 사항들
Q&A : 그래서 어떤 걸 사는게 좋다는 건가요? 추천해주세요.
Keyboard ( 건반 ) 연결 및 설정 가이드
건반을 연결한 후 미디 레코딩 방법 기초 가이드
기초적인 미디 레코딩 방법 및 단축키
Metronome ( 메트로놈 ) 기초 가이드
Metronome ( 메트로놈 ) 셋팅 : Option 1 ~ 2
Punch in & out ( 펀치 인 & 아웃 ) 기초 및 셋팅 가이드
- Cycle Range : 반복 구간 좌우 설정
- Count in : 녹음마디 예비박 마디 설정
- Auto Punch : 오토 펀치 설정 1
- Auto Punch : 오토 펀치 설정 2 ~ 5
MIDI Recording Option ( 미디 레코딩 옵션 ) 가이드
- No Cycle Record Mode : 구간 반복 없이 녹음
- Cycle Record Mode : 구간 반복하면서 녹음
- Show Multi Takes : 반복 녹음된 Takes 펼쳐보기
- Step Input : 악보 입력하듯이 미디 입력하기
Q&A : 마디 시작을 ‘1’ 이 아닌 ‘0’ 부터 할 수는 없나요?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기초 가이드
로직 프로 X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관련 옵션
- Quantize Basic Setting :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
-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할때 주의할 점
- Strength : 퀀타이즈 정도 조절 설정
- Swing ( 스윙 ) 정도, 비율 조절
1. Triplet & Shuffle ( 셋잇단 리듬 & 셔플 리듬 )
2.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란…
3. Swing Groove 는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가?
4. 큐베이스에서 Swing Groove 표현하기
- Advanced Quantize Options : 퀀다이즈 세부 설정
1. Q-Swing
2. Q-Strength / Q-Range
3. Q-Velocity / Q-Length
4. Q-Flam
Q&A : 로직 프로에는 랜덤 퀀타이즈 기능은 없나요?
Groove Template : 그루브 템플레이트 기초 가이드
- 그루브 템플레이트 설정 방법 가이드 : Step 1 ~ 3
- 그루브 템플레이트 설정 방법 가이드 : Step 4
- 그루브 템플레이트 설정 방법 가이드 : Step 5 ~ 6
Audio Recording ( 녹음 ) 에 필요한 기초 개념
Audio Interface ( 오디오 인터페이스 ) 기초 설명
- Audio Interface ( 추천 오디오 인터페이스 )
Microphone ( 마이크 ) 기초 설명
- Microphone List ( 추천 녹음용 마이크 리스트 )
Headphone ( 헤드폰 ) 기초 설명
- Headphone List ( 추천 헤드폰 리스트 )
Mic stand and etc… ( 그외 녹음에 필요한 장비들 )
- Cables List ( 추천 마이크 케이블 리스트 )
- Mic Stand & Pop filter ( 스탠드 & 팝필터 )
녹음시 알아두어야 할 기초 셋팅 방법 가이드
- 녹음시 마이크와 입 거리
- 녹음시 장비보다 중요한 것은 공간
- 악보나 가사 준비시 알아둘 사항
로직 프로 X Audio Recording Options
- 각각의 모드별 차이점
Audio Editing in Cubase
- 로직 프로 X 에서 오디오 에디팅할 때 유용한 툴 정리
- 오디오 파일을 자를 때 주의 사항 : Zero Crossing
- Fade in & out ( 페이드 인 & 아웃 )
Groove Quantize with Audio
- Groove Qunatize ( 그루브 퀀타이즈 ) 개념
- Groove Qunatize ( 그루브 퀀타이즈 ) 설정 방법 1 ~ 3
- Groove Qunatize ( 그루브 퀀타이즈 ) 설정 방법 4 ~ 5
Automation 과 MIDI CC Number 의 위한 배경 설명
미디에 대한 기초 개념 설명
미디의 간단한 역사
오디오 & 미디 시그널 흐름 예시
MIDI SIgnal ( 미디 신호 ) 의 종류
실시간 Control 이 가능한 대표적인 4가지 Type Parameter
MIDI CC Number 의 대표적 예시
로직 프로 X 에서 MIDI CC Number 입력 및 수정하기
- Control Lane 을 이용한 MIDI CC Number 입력
- Sustain Pedal ( 서스테인 페달 ) 입력 방법
- Expression ( 익스프레션 ) 입력 방법과 Tip
- Modulation Wheel ( 모듈레이션 휠 )
- Key Switch ( 키스위치 )
로직 프로 X 에서 MIDI CC Number 외 Control 입력하기
- Control Lane 을 이용한 MIDI CC 외 Control 입력
로직 프로 X 에서 Automation 입력 및 수정하기
- 기초적인 Automation 입력 방법 Guide
- Automation Recording 모드 설명
- 가상악기와 Plug-in 의 Automation
- MIDI Learn ( 미디 런 ) 기능 설명
로직 프로 X 의 Smart Control
- Smart Control 란….
- Smart Control 를 이용한 MIDI 입력 및 연동 방법
Recommended Controller ( 추천하는 컨트롤러 장비 )
- Controller ( 컨트롤러 ) 가 있으면 도움되는 이유
- Automation 입력과 전반적인 Control 에 도움되는 장비
- MIDI CC Number 입력 및 Control 에 도움되는 장비
Q&A : iPad 를 가지고 있는데 활용할 방법은 없을까요?
Rewire ( 리와이어 ) 기초 개념
- Host ( 호스트 ) 와 Slave ( 슬레이브 )
- Rewire ( 리와이어 ) 활용시 프로그램 시작 순서
- Rewire ( 리와이어 ) 지원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들
로직 프로 X 와 리즌 Rewire ( 리와이어 ) 하기
- 로직 프로 & 리즌 Rewire ( 리와이어 ) 설정 : Step 1 ~ 2
- 로직 프로 & 리즌 Rewire ( 리와이어 ) 설정 : Step 3
- 로직 프로 & 리즌 Rewire ( 리와이어 ) 설정 : Step 4
Reason ( 리즌 ) 기초 가이드
- Reason ( 리즌 ) 기본 가상악기 가이드
Mix - Balance 를 조절한다는 것은…
로직 프로 Mixer Window 불러오는 방법
메인 윈도우 하단에 Mixer 불러오는 방법
로직 프로 Mixer Window ( 믹서 창 ) 의 구조
- Audio Device ( 오디오 디바이스 ) 부분 설명
- Channel Strip Setting ( 채널 스트립 ) 부분 설명
- Gain Reduction Meter / EQ Thumbnail 부분 설명
- MIDI FX ( 미디 FX ) 부분 설명
- Input Setting ( 인풋 셋팅 ) 부분 설명
- Audio FX / Insert ( 오디오 FX / 인서트 )
- Sends ( 샌드 ) 부분 설명
- Bus ( 버스 ) 관련 설명
- Output Setting ( 아웃풋 셋팅 ) 부분 설명
- Group ( 그룹 셋팅 ) 부분 설명
- Automation ( 오토메이션 ) 부분 설명
- Track Icon ( 트랙 아이콘 ) 부분 설명
- Pan ( 팬 ) 부분 설명
- VCA 부분 설명
- 그외 하단 Part 부분 설명
Q&A : Mixer 에서 원하는 Track 들만 보이거나 숨길 순 없나요?
Q&A : 위상 반전 ( Phase Invert ) 스위치가 안 보이는데…
가상악기 트랙 & 미디 트랙을 Audio 로 변환하기 종류
- 바운스 ( Regions in Place )
- 익스포트 ( Export )
- 오디오 레코딩 ( Audio Recording with Routing )
Bounce : 바운스 기능을 이용해서 Audio 변환하기
- Bounce 기능의 종류
- Regions in Place 설정 가이드 : Step 1~2
- Regions in Place 설정 가이드 : Step 3~5
- Track in Place 설정 가이드 : Step 1~3
- Track in Place 설정 가이드 : Step 4~6
- Replace All Tracks 설정 가이드 : Step 1~2
- Project or Seclection Bounce 설정 가이드
Q&A : 바운스하고 났더니 소리가 너무 작아요…
Bounce with Drum : 드럼 바운스를 조금 더 편하게 하기
- 드럼 가상악기를 파트별로 분할해서 Audio 변환하기 기초
- Separate MIDI Event ( 미디 이벤트 분리 ) 기능 설명
- Drum Map ( 드럼 맵 ) 기능 설명
- GM Map 기초 설명
- Step Editor ( 스텝 에디터 )
- Rename Region : 리전 이름 바꾸기
How to Bounce Drum Multi : 드럼 파트별로 오디오 만들기
Part 1 : Regions in Place ( 리전 인 플레이스 기능 활용 )
- 드럼 가상악기 멀티 Audio 변환 가이드 : Step 1~2
- 드럼 가상악기 멀티 Audio 변환 가이드 : Step 3~5
Part 2 : Tracks in Place ( 트랙 인 플레이스 기능 활용 )
- 드럼 가상악기 UltraBeat Multi Output 설정 방법
- 드럼 가상악기 멀티 Audio 변환 가이드 : Step 1~3
- 드럼 가상악기 멀티 Audio 변환 가이드 : Step 4~6
- NI 가상악기 Battery 4 멀티 아웃풋 설정 방법
Export & Mix Down : 익스포트 & 믹스 다운 가이드
- Export ( 익스포트 ) 기본 개념
- 리전 & 트랙 이름 매칭하는 방법
- Export Basics : 익스포트 기초 가이드
- Region to Loop Library
- Regions as Audio Files 기능 설명 1~3
- Regions as Audio Files 기능 설명 4
- 그외 Export 옵션 설명
How to Export Drum Multi : 드럼 파트별로 오디오 만들기
- 드럼 가상악기 멀티 Audio 변환 가이드 : Step 1~3
- 드럼 가상악기 멀티 Audio 변환 가이드 : Step 4~6
Internal Recording : 내부 오디오 레코딩 가이드
- Internal Recording ( 내부 오디오 레코딩 ) 기본 개념
- Aux Track ( 그룹 트랙 )
- Bus ( 버스 ) 기초 개념
- Audio Routing ( 오디오 라우팅 ) 개념 및 종류
How to Set Internal Recording : 내부 레코딩 가이드
- 내부 라우팅을 이용한 오디오 레코딩 가이드 : Step 1~4
Q&A : Record Enable 과 Monitor 버튼 단축키가 뭔가요?
Q&A : 여러개의 악기를 Internal Recording 할 수는 없나요?
- 내부 라우팅을 이용한 멀티 트랙 레코딩 가이드 1~2
- 내부 라우팅을 이용한 멀티 트랙 레코딩 가이드 3~5
Marker Track ( 마커 트랙 ) 기본 개념
- Marker Track ( 마커 트랙 ) 만드는 방법
- Marker ( 마커 ) 관련 단축키
- Marker ( 마커 ) 관련 Tip
Zoom Functions : 다양한 줌 기능 활용하기
- Logic Pro X 의 다양한 Zoom 기능 종류
- 각종 Zoom 기능별 단축키 1~2 ( 좌우 / 상하 )
- 각종 Zoom 기능별 단축키 3~4 ( 선택 / Undo & Redo )
- 각종 Zoom 기능별 단축키 5~7 ( 구간 마커별 줌 기능 )
로직 프로 X Shortcut Keys ( 단축키 ) 가이드
로직 프로 X 기본 편집 단축키 리스트
로직 프로 X 프로젝트 단축키 리스트
로직 프로 X Zoom ( 줌 ) 단축키 리스트
로직 프로 X Locator ( 로케이터 ) 단축키 리스트
로직 프로 X Marker ( 마터 ) 단축키 리스트
로직 프로 X Location Move ( 이동 ) 단축키 리스트
로직 프로 X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리스트
Metagrid for iOS : 로직 프로 X 활용에 도움이 되는 추천 어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