믹싱과 마스터링 작업에 유용한 플러그인들 중 추천할만한 플러그인들 매뉴얼을 번역해서 올려봅니다. ^_^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Sixth Sample - Cramit ( 한글 매뉴얼 )
이번에 올리는 한글 번역 매뉴얼은 Sixth Sample 에서 출시한 Cramit 플러그인 : 매뉴얼 한글 번역 입니다. ^^
Ableton Live 의 멀티밴드 다이나믹 플러그인을 유명한 프리셋인 OTT 를 기반한
무료 멀티밴드 컴프레서 / 익스펜더 플러그인입니다. \( ˙▿˙ )/
무료지만 기존 OTT 에 몇가지 기능은 더 추가되어 있어서 함께 사용해보시길 추천합니다. ⸜( ˙ ˘ ˙)⸝♡
Sixth Sample - Cramit 플러그인 사용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_^
---------------------------------------
이 매뉴얼은 플러그인 제작사인 Sixth Sample 측의 허락하에 제 블로그에 올리는 것입니다. ^_^
( Cramit 영문 매뉴얼 Copyright 는 Sixth Sample 에 있으며, 이 번역 포스팅에 대한 Official Permission 을 받았습니다. )
이 매뉴얼은 제가 직접 번역 / 제작한 것이며,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니
다른 분들과 공유를 원하시는 분들은 제 글의 주소를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Sixth Sample - Cramit 플러그인은 Mac / PC 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AAX, AU, VST 방식을 지원합니다. ^^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s://sixthsample.com/cramit/









SIXTH SAMPLE : Cramit Korean Manual for Cramit by Sixth Sample Introduction ( 소개글 ) Integraudio 와 협업해서 만든 Cramit 은 멀티밴드 컴프레션과 높은 퀄리티의 디스토션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용도를 가진 플러그인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잘 알려진 전설적인 OTT 이펙트에 더해서, 하모닉스를 OTT 이전 또는 이후에 더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더불어서 심플한 인터페이스와 이해하기 쉬운 화면을 가지고 있으며, Cramit 을 이용해서 당신의 음악에 조금 더 에너지를 불어넣어줄 수 있습니다. 더 다양한 기능과 유연성을 원한다면 Cramit Platinum Edition 을 확인해보세요. Key Features ( 주요 기능들 ) Cramit : 3-band upwards / downwards compression and expansion Cramit : 3 밴드로 나눠서 설정 가능한 업워드 / 다운워드 컴프레션과 익스펜션 기능을 제공합니다. Cramit : Pre and post distortion Cramit : 디스토션을 이전 / 이후 ( Pre / Post ) 각각 원하는 방식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Cramit : 7 distortion types integrated into one slider Cramit : 7가지 디스토션 방식을 하나의 슬라이더로 통합해서 조절 가능합니다. Cramit : 10 factory presets Cramit : 10가지 기본 프리셋을 제공합니다. Cramit : 10 colour themes + custom theme Cramit : 10가지 컬러 테마와 커스텀 / 유저 설정 방식의 테마를 제공합니다. Cramit - Controls ( Cramit 파라미터 설명 ) All Bypass ( 전체 바이패스 ) Cramit 플러그인 이름을 클릭해서, 플러그인 프로세싱을 바이패스 / 비활성화 할 있습니다. Preset Manager ( 프리셋 매니저 ) 프리셋을 찾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 Band Controller ( 바이패스 ) Fusion Vintage Drive 플러그인 프로세싱을 바이패스 / 비활성화합니다. Solo the band ( 해당 밴드 / 대역 솔로 ) 해당 밴드 / 대역을 솔로로 들을 수 있습니다. Bypass the band ( 해당 밴드 / 대역 바이패스 ) 해당 밴드 / 대역의 모든 다이나믹 프로세싱을 바이패스 할 수 있습니다. 멀티 밴드 스테이지 전체에 다이나믹 프로세싱을 피하고, 모든 대역의 플러그인의 디스토션 기능만을 사용하려면, 3개 밴드 / 대역을 모두 바이패스 하면 됩니다. ( 모든 대역에 바이패스를 하면 디스토션 기능만 사용 가능 ) Mode Change ( 모드 변화 ) 화살표를 클릭해서, 컴프레션 ( 화살표 아래쪽 방향 ) 과 익스펜션 ( 화살표 위쪽 방향 ) 모드를 바꿀 수 있습니다. 컴프레션 모드 ( Compression Mode ) 에서는, 위쪽 스레숄드 ( threshold ) 를 넘는 시그널에는 다운워드 컴프레션이 적용되고, 아래쪽 스레숄드 ( threshold ) 보다 낮은 시그널에는 업워드 컴프레션이 적용됩니다. 익스펜션 모드 ( Expansion Mode ) 에서는, 위쪽 스레숄드 ( threshold ) 를 넘는 시그널에는 업워드 익스펜션이 적용되고, 아래쪽 스레숄드 ( threshold ) 보다 낮은 시그널에는 다운워드 익스펜션이 적용됩니다. [ 스레숄드 ( threshold ) 관련해서는 아래 7번 내용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화살표가 아래쪽 방향이면 ‘ 다이나믹 레인지를 줄이는 것 ( Lower Dynamic Range ) ’ 으로, 화살표가 위쪽 방향이면 ‘ 다이나믹 레인지를 늘리는 것 ( Increase Dynamic Range ) ’ 으로 생각해도 됩니다. Band thresholds gain controller ( 밴드 스레숄드 / 밴드 게인 조절 ) 위쪽 및 아래쪽 스레숄드 ( threshold ) 는 2개의 불투명한 수평선으로 표시됩니다. 스레숄드 ( threshold ) 사이 공간의 가운데 위의 아무 곳이나 누르거나 드래그하여 위쪽 스레숄드 ( threshold ) 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스레숄드 ( threshold ) 사이 공간의 가운데 아래의 아무 곳이나 누르거나 드래그하여 아래쪽 스레숄드 ( threshold ) 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Shift 키를 누른 채 컨트롤러의 아무 곳이나 드래그하여 데시벨 단위로 밴드 게인 ( Band Gain ) 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배경에 있는 두 개의 선은 15번 노브인 “ Speed / 속도 ” 현재 값에 매칭 / 연동되어서 인풋 (왼쪽) 및 아웃풋 (오른쪽) 측정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합니다. Crossover Frequency : Low Mid ( 크로스오버 프리퀀시 : 저역 중역 ) Frequency at which the low band ends and the mid band starts. Type in a value between 20 and 20k. 저역 ( Low ) 과 중역 ( Mid ) 의 기준 프리퀀시 / 크로스오버 프리퀀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0 Hz ~ 20 kHz 사이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Crossover Frequency : Mid High ( 크로스오버 프리퀀시 : 중역 고역 ) Frequency at which the mid band ends and the high band starts. Type in a value between 20 and 20k. 중역 ( Mid ) 과 고역 ( High ) 의 기준 프리퀀시 / 크로스오버 프리퀀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0 Hz ~ 20 kHz 사이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Distortion ( 믹스 ) 디스토션 ( Distortion ) 이 어느 시점에 적용되는지를 12번의 디스토션 위치 ( Distortion Stage ) 정하면 그 위치에서의 디스토션 정도 / 값 ( Distortion Amount ) 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Drive ( 믹스 ) 디스토션 ( Distortion ) 이 어느 시점에 적용되는지를 12번의 디스토션 위치 ( Distortion Stage ) 정하면 그 위치에서의 디스토션 ( Distortion ) 에 적용되는 드라이브 양 ( Distortion Drive ) 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Distortion Stage ( 믹스 ) 디스토션 ( Distortion ) 이 어느 시점 : 이전 / 이후 ( Pre / Post ) : 에 적용되는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전 ( Pre ) 로 설정하면 멀티밴드 컴프레션 / 익스펜션 프로세싱 이전에 디스토션 ( Distortion ) 이 적용되고, 이후 ( Post ) 로 설정하면 멀티밴드 컴프레션 / 익스펜션 프로세싱 이후에 디스토션 ( Distortion ) 이 적용됩니다. 두 단계 ( Both Stage ) 모두 현재 선택된 것과 상관없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 선택은 표시하는 컨트롤 파라미터 값만 변경하며, 활성화된 단계는 변경하지 않습니다. Distortion Stage ( 디스토션 적용 위치 ) 을 바꾸면 10, 11, 13, 14 도 각각의 위치의 설정 값으로 바뀝니다. Type ( 믹스 ) 디스토션 ( Distortion ) 이 적용되는 시점에 어떤 방식 / 타입의 디스토션을 적용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7가지 디스토션 종류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변화 / 모핑 ( Morph ) 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Gain ( 믹스 ) 디스토션 ( Distortion ) 이 적용되는 시점 이후에 작동하는 게인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peed ( 믹스 ) 프로세싱이 적용된 시그널과 적용되지 않은 시그널을 섞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Compression/expansion depth ( 믹스 ) 프로세싱이 적용된 시그널과 적용되지 않은 시그널을 섞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In ( 믹스 ) Cramit 플러그인으로 들어오는 인풋 볼륨 / 레벨 ( Input Volume ) 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Out ( 믹스 ) Cramit 플러그인 이후에 출력되는 아웃풋 볼륨 / 레벌 ( Output Volume ) 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Mix ( 믹스 ) 프로세싱이 적용된 시그널과 적용되지 않은 시그널을 섞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Oversampling rate ( 믹스 ) 비선형 ( Non-linear ) 프로세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알리아싱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오버샘플링 ( Oversampling ) 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비선형 ( Non-linear ) 프로세싱은 컴프레션, 익스펜션, 그리고 디스토션이 이 경우에 해당됩니다. Contact Support ( 문의 사항 및 지원 ) Sixth Sample 플러그인을 사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도움이 필요한 것이 있다면, 이메일 ( aapo@sixthsample.com ) 로 문의해주시면 됩니다. 한글 번역 및 가이드 제작 by The Note https://thenotemusic.tistory.com/
'매뉴얼 ( Manual ) > 플러그인 ( Plug-in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Goodhertz - DC19 Plugin ( Ver 3.11 기준 ) : ( 공식 한글 매뉴얼 ) (0) | 2024.12.12 |
---|---|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Goodhertz - Loudness Plugin ( Ver 3.11 기준 ) : ( 공식 한글 매뉴얼 ) (0) | 2024.01.08 |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Mathew Lane - StereoDelta V2 ( 한글 매뉴얼 / 기초 가이드 ) (0) | 2023.12.27 |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Mathew Lane - TiCo ( 한글 매뉴얼 / 기초 가이드 ) (0) | 2023.12.16 |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LiquidSonics - Reverberate 3 ( 한글 매뉴얼 ) (0) | 2023.12.13 |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sonible - smart:deess Plugin ( 공식 한글 번역 ) (0) | 2023.11.14 |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Overloud - GEM EQ550 ( 한글 매뉴얼 ) (0) | 2023.08.22 |
플러그인 매뉴얼 번역 : sonible - smart:gate Plugin ( 공식 한글 번역 ) (0) | 2023.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