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홍대나 강남쪽에서 길거리에서 버스킹하는 많은 뮤지션들을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그런데 아쉽지만 뮤지션들의 마음과는 달리 상황이나 여러가지 면에서 퀄리티가 따라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잘 볼 수 없는 공연들이지만 지하철이나 길거리 공연으로 유명한 몇몇 Awesome Street Performance 를 올려봅니다. ^^


거리 퍼포먼스 ( Awesome Street Performance ) 는 이정도는 되야하지 않을까요? ^^


물론 올려진 영상 속의 뮤지션들은 대부분 프로들입니다. ^^

그러니 당연히 퀄리티가 높은 것이겠지만 프로들도 거리에서 편안히 사람들과 음악을 나눌 수 있는 문화가 조성되는 것이

부러운 것이고 그런 분위기가 있었음 하는 바램입니다. ^^


아이돌 음악도 좋고 인디도 좋습니다. ^^ 다만 힘들지만 같이 나눌 수 있는 마음 따스한 문화가 더 넘쳐나길 바라는거죠 ^^::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공연을 지하철과 거리에서 볼 수 있길 기원합니다. ^^






1. Naturally 7 - Live in Paris Subway


이젠 세계적으로 유명한 Naturally 7 이라는 아카펠라팀의 파리지하철에서 라이브 영상입니다. ^_^


부른 곡은 Feel it ( In the air tonight ) 이라는 곡으로 8~90년대의 대표적인 뮤지션인 Phil Collins 의 In the Air Tonight 이라는 곡을

리메이크한 버젼입니다. ^_^ 예전에 Boyz 2 men 이나 All 4 one 과는 달리 Beat Box 도 같이 있다보니 더 리드믹하고 즐거운 아카펠라를

들을 수 있는 기분 좋은 Naturally 7 의 음악인 듯 합니다. ^^ 즐겁게 들어보세요 ^^





2. Playing For Change - Stand By Me


음악만으로도 세상을 바꿀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주변 사람들을 돌아보고 도움을 줄 수 있게 행동으로 옮겨보자라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단체인 Playing For Change 에서 전세계의 Street Musician 의 Stand by me 를 엮어서 하나의 음악으로 편곡한 버젼입니다. ^_^


Ben E. King 의 Stand by me 는 언제 들어도 참 마음 따스하게 만드는 곡인 듯 합니다. ^^


Playing For Change 에서 앨범을 발매하거나 공연을 같이 하고 관련된 상품을 사서 얻어지는 수익금으로

제 3 세계나 어려운 곳에 가서 학교를 지어주고 사람들에게 집을 만들어주고 즐거운 공연을 하는 마음 행복한 단체랍니다. ^^

회원으로 가입하는 건 어려운 것이 아니고 꼭 바로 음악으로 도와야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니 관심 있으신 분은 한번

Playing For Change 의 홈페이지를 방문해보세요 ^^ ( 홈페이지 바로 가기 : http://playingforchange.com/ )


다른 멋진 영상들과 음악도 들으실 수 있답니다. ^_^





3. Moving Classic - Copenhagen Metro ( 코펜하겐 지하철 )


코펜하겐 지하철에서 플래시 몹 겸 이벤트로 진행되었던 움직이는 클래식 퍼포먼스입니다. ^_^

지하철을 탄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다가가는 클래식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열렸던 플래시몹 이벤트라네요 ^^


연주되는 음악은 Edvard Grieg 의 Peer Gynt Suite No.1 입니다. ^^


클래식이 어렵게만 느껴지는 많은 분들에게 이런 다가가는 시도는 멋진 것 같습니다. ^_^





오늘 올린 영상들 외에도 너무 멋진 거리 공연 퍼포먼스들이 많이 있답니다. ^^


몇년동안 우리나라도 전세계적으로도 경제가 어렵고 삶이 퍽퍽하다보니 다들 마음도 피폐해져 가는 것 같아요.

하지만 사람이 밥과 빵만으로는 살 수 없는 것이고 몸이 음식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마음도 음악과 문화를 필요로 한답니다. ^^


서로에게 한발 다가가는 성숙한 문화가 우리나라에도 조금씩 조금씩 더 늘어가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_^




Posted by The Note
,


오늘 올리는 강좌는 13번째 강좌편으로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_^


Electric Guitar 편도 다른 악기론편 처럼 나누어서 2편으로 올라갑니다. ^_^ ( 한편으로 올리기엔 내용이 넘 많네요 ^^:: )

13번째 강좌는 일렉 기타 악기론편에 대한 내용이고, 13.5편 강좌는 일렉 기타 관련 가상악기에 대한 것을 다룹니다. ^^


이후에도 계속해서 여러가지 강좌가 이어질 것이니 즐겁게 읽어주세요 ^_^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 13번째 강좌


Electric Guitar ( 일렉 기타 ) 편은 이전에 올렸던 Acoustic Guitar ( 어쿠스틱 기타 ) 편을 같이 읽으시는 것이 더 도움 되실겁니다. ^_^

혹시 이전의 Acoustic Guitar 강좌편을 못 보신 분은 먼저 Acoustic Guitar - 8번째 강좌편을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_^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된 것이니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Electric Guitar ( 일렉 기타 ) Electric Guitar 는 Popular Music ( 대중 음악 ) 한 축을 차지하는 Guitar 의 한 종류입니다. Blues, Rock, R&B, Pop 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Tune 과 Style 에 쓰이는 대표적인 Modern Popular Music Instruments ( 현대의 대중음악 악기 )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길게는 몇천년의 역사로 이야기를 하기도 하는 Acoustic Guitar 와 달리 Electric Guitar 는 비교적 짧은 100여년 정도의 역사 밖에 되지 않습니다. Electric Piano 파트에서 다루었듯이 악기가 발전하는데에 한 이유는 공연장이 커지거나 다른 악기의 소리가 커지는 것에 반해 소리가 작을때 발전하게 됩니다. Electric Guitar ( 일렉 기타 ) 역시 비슷한 이유로 만들어진 악기입니다. Acoustic Guitar 를 String ( 현 ) 을 기준으로 Nylon Guitar ( Classic Guitar ) 와 Steel Guitar 로 나눈다면  Electric Guitar 는 Body Type 을 기준으로 Solid Body Type 과 Hollow Body Type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Short History of Electric Guitar ( 간단한 일렉 기타의 역사 ) 상업적으로 등장한 최초의 Electric Guitar 는 1930년대에 등장했습니다. 이전에도 개개인의 Custom Guitar 나 일부의 악기점에서 Acoustic Guitar 를 고객의 요청에 의해 개조해주는 일은 있었지만 상업적인 모델은 1930년대 등장합니다. The Rickenbacker - Frying Pan ( 1931년 ) 상업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Electric Guitar ( 일렉 기타 ) 1931 년 National Guitar Corporation 의 George Beauchamp 와 Harry Watson 에 의해 최초의 Electric Guitar ( 일렉 기타 ) 가 등장하게 됩니다. Maple Body 를 사용한 Frying Pan 은 1932년 여름부터 공식적인 판매에 들어 갔으며 판매를 담당하게 된 회사는 The Rickenbacker Electro Stings Instruments 의 전신인 The Ro-Pat-In Corporation ( Electro-Patent-Instrument Company Los Angeles ) 에서 전담하게 됩니다. Big Band / Small Orchestra / Country Music / Jazz Music 에서 주로 쓰임 1920 ~ 30년대는 Big Band Era ( 빅밴드의 시대 ) 라고 불리울만큼 상당수 많은 공연이 Big Band 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기존의 Acoustic Guitar 는 Big Band 와 협주를 하기에는 소리가 너무 작고 또한 부드럽게 때문에 조금 더 큰 소리와 힘이 있는 소리가 필요했습니다. 이런 필요성이 상업적인 Electric Guitar 의 탄생에 근간이 되었다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The Rickenbacker - Electro String / Electro Spanish ( 1935년 ) Initial Electric Guitar ( 초기의 일렉 기타 ) 초창기 Electric Guitar 는 Rickenbacker 에 의해서 여러 모델 ( Frying Pan / Electro String ) 로 생산됩니다. 그러나 기타리스트와 여러 뮤지션의 기호와 의견을 모두 만족한 기타로 나오지는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Gibson - ES-150 model ( 1936년 ) First Electric Guitar of Gibson ( 깁슨 최초의 일렉 기타 ) 일렉 기타의 양대산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Gibson 에서 최초로 내놓은 Electric Guitar 는 ES-150 입니다. ES 는 Electric Spanish 의 줄임말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Hallow Body Type 의 Gibson 기타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뒤에 붙은 150 은 150번째 모델이 아니고 판매 가격이 $150 이었기에 붙은 이름입니다. 바 형태로 되어 있는 Pickup 에서 기타 현의 울림을 받아서 연결된 Amplifier 에서 증폭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30~40년대의 Jazz Orchestra / Big Band 에서 대중적으로 많이 쓰인 일렉 기타입니다. Les Paul - Log Guitar ( with Epiphone ) ( 1940년 ) Early Electric Guitar of Les Paul ( 레스폴의 초기 일렉 기타 ) Gibson 의 일렉 기타를 가장 유명하게 만든 모델은 Gibson Les Paul Custom ( Gibson LPC ) 이지만 사실 Les Paul 이 초기에 연주하던 Electric Guitar 는 Epiphone 의 Log Guitar 입니다. Les Paul 이 Epiphone Guitar 의 Hollow Body 를 이용해서 만들었던 초창기 Electric Guitar 중 하나입니다. Paul Bigsby - Bigsby Vibrato / Travis Guitar ( 1947년 ) Transition Period of Guitar ( 과도기적 시기 ) 또 다른 초기 일렉 기타 중 하나로 Paul Bigsby 의 Bigsby Vibrato / Travis Guitar 를 들 수 있습니다. 시기적으로는 세계 2차 대전 중에 개발되어서 조금은 과도기적인 느낌의 일렉 기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타의 Bridge 의 형태가 요즘에 사용하는 Electric Guitar 와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Fender - Broadcaster ( Telecaster ) ( 1948년 ) First Electric Guitar of Fender ( 팬더의 최초 기타 ) 일렉 기타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Fender 에서 내놓은 초기 Electric Guitar 는 Broadcaster ( Telecaster ) 모델입니다. Gibson 의 ES-150 보다는 10여년 늦게 나오게 된 이유는 기술력보다는 세계 2차 대전이라는 시대적인 배경이 조금 더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Gibson ES-150 이 Jazz Orchestra / Big Band 에 주로 쓰인 모델이었다면 Fender 의 Telecaster 는 대중적으로 Electric Guitar 가 자리잡게 된 초기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의 초기 Electric Guitar 와 가장 큰 차이는 본격적인 Solid Body 의 Electric Guitar 라는 것입니다. Gibson - Les Paul Custom ( 1952년 ) Main Guitar Line of Gibson ( 깁슨의 대표적인 모델 ) Fender 에서 Solid Body Type 의 Telecaster 가 대중적인 히트를 친 후 Gibson 에서도 Les Paul 과 함께 Solid Body Type 의 Les Paul Custom ( LPC ) 를 시장에 내놓습니다. LPC 는 기존의 Jazz 와 Big Band 그리고Country 에 주로 쓰이던 Gibson 의 Electric Guitar 를 대중적인 Guitar 로 변신시켰다는 평을 받습니다. 전반적인 소리는 Fender 가 카랑카랑하고 명료한 쪽이라면 Gibson 은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몽글몽글한 사운드를 가진 Electric Guitar 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기타리스트들이 Fender 와 Gibson 을 둘다 가지고 연주하며 Groove 와 Tune 에 따라서 목적을 달리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Fender - Stratocaster ( 1954년 ) Main Guitar Line of Fender ( 팬더의 대표적인 모델 ) 깁슨의 대표적인 모델을 Les Paul Custom ( LPC ) 로 꼽는다면 Fender 의 대표적인 모델은 Stratocaster 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Telecaster 의 대중적인 히트에 힘입어 연이어 내놓으면서 Electric Guitar 의 가장 대표적인 모델로 자리잡은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1대의 기타만 사야한다면 Fender - Stratocaster 를 산다고 이야기할 정도로 가장 대표적인 Electric Guitar 이자 대중적인 색체를 가진 Electric Guitar 입니다. Telecaster 와의 가장 큰 차이는 Pickup 의 종류와 개수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Electric Guitar 의 Tone 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를 몇가지 꼽으면 그 중 Tone 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것이 Pickup 이기 때문입니다. Edward ( Eddie ) Van Halen - Frankenstrat ( 1979년 ) Combine Gibson & Fender - Frankenstrat ( 깁슨과 팬더를 섞은 기타 - 프랭큰스트랫 ) Les Paul 이 Log Guitar 와 Gibson LPC 를 탄생시키는데 기여를 했다면 Frankenstrat 은 Edward ( Eddie ) Van Halen 의 Custom 으로 비롯된 Electric Guitar 라 할 수 있습니다. Frankenstrat 은 Fender 의 Stratocaster 의 Body 와 Gibson PAF Humbucking Bridge Pickup 을 결합해서 만들기 시작한 제작형 기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가지 기타의 요소들을 섞다보니 기존의 Gibson 과 Fender 와는 조금은 다른 Sound 의 Electric Guitar 가 등장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Randy Rhoads - Jackson Guitar ( 1982년 ) Other Concept Guitar - Flying V ( 플라잉 V ) 기타리스트인 Randy Rhoads 에 의해 80년대에 등장한 Electric Guitar 로 흔히 Flying V 로 많이 알려진 기타입니다. 사실 Jackson Guitar 의 Original Guitar 는 Original SIN 이라는 기타였고 Flying V 는 2번째 기타이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모델은 Flying V 라서 이러한 타입을 Flying V 라고 부릅니다. Ibanez - 7 String Electric Guitar ( 1994년 ) Extended Electric Guitar ( 기존 일렉 기타의 연장선 ) Ibanez 에서 7현짜리 Electric Guitar 를 1994년 출시하게 됩니다. 기존의 Electric Guitar 에 낮은 현 ( Low A ) 을 추가한 형태이며 Music, Dream Theater, Suicide Silence 등을 뮤지션에 의해서 쓰이면서 또 하나의 Electric Guitar 로 자리매김했습니다. Hollow Body Type / Solid Body Type 두가지 모두 있으며 기존의 Electric Guitar 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Moog - Moog Guitar ( 2008년 ) Synth Guitar ( 신스 기타 ) Synthesizer 로 유명한 Moog 에서 내놓은 새로운 형태의 Guitar 로 Synth Guitar 로도 많이 불리웁니다. 기존의 Guitar Sound 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Guitar 의 활용을 기대하게 하고 있습니다. 사운드적으로는 Guitar 를 이용한 새로운 Synthesizer 라고 생각해도 될 Concept Guitar 입니다.Other type Electric Guitar ( 다른 타입의 기타 ) Electric Guitar 의 기본 형태 외에도 조금은 다른 타입의 Guitar 가 몇가지 있습니다. Double Necks Electric Guitar ( 2개의 넥을 가진 일렉 기타 ) 마치 2개의 Electric Guitar 를 붙여놓은 듯이 2개의 Neck 을 가진 Electric Guitar 입니다. Electric + Electric 의 조합도 있지만 Acoustic + Electric 의 조합도 종종 볼 수 있는 Twin Guitar 의 종류입니다. Electro - Acoustic Guitar Acoustic Guitar 이지만 내부에 Pickup 을 가지고 있어서 Amplifier 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 Guitar 를 지칭합니다. 사실상 Acoustic Guitar 의 한 종류 또는 한 부류라고 봐도 상관없습니다. ( 구조는 Acoustic Guitar ) Representative Electric Guitar Brand ( 대표적인 기타 브랜드 ) 현재는 전세계에 엄청난 Guitar Brand 가 존재합니다. 각자마다 취향차가 있고 Custom 을 좋아하는 분들도 있지만 전세계 많은 Musician 이 선택하고 공연 / 앨범 녹음에 많이 쓰이고 추천할만한 Guitar Brand 는 다음과 같습니다. Fender ( 팬더 ) Gibson ( 깁슨 ) Ibanez ( 아이바네즈 ) Epiphone ( 에피폰 ) PRS ( 피알에스 ) ESP ( 이에스피 ) Guitar Tuning & Play Range ( 기타 튜닝과 연주 가능 대역대 ) 요즘에 MIDI 로 음악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늘면서 각 악기마다 고유의 연주 가능 음역대에 대해 무지한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DAW 상에서 가상악기를 사용할때에는 연주 가능할 수 있으나 실제 세션들에게 녹음을 받을때에는 연주가 불가능한 음역대라던가 연주 방법을 요구해서 서로 황당해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Guitar 의 각 String (현) 들의 기본 Open Pitch / Tune 과 연주 가능 음역대 정도는 상식적으로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Guitar Tuning ( 기타 튜닝 ) 일반적인 6현의 Guitar 를 기준으로 가장 굵은 줄 ( Low String ) 이 E 음 / 제일 얇은 줄 ( High ) 이 E 음이 됩니다. Guitar Play Range ( 기타 연주 가능 음역대 ) 6현 Guitar 기준 각각의 Fret 의 음들과 연주 가능 음역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Guitar Notation ( 기타 기보법 ) 기타는 특별한 기보법은 따로 필요로 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몇가지 사항은 알고 있어야 해서 적습니다. 1 Octave Transposing Musical Instrument ( 1 옥타브 이조 악기 ) ‘ Transposing Instrument ( 이조 악기 ) ’ 는 한국말로는 조옮김 악기라고 합니다. 악보 ( Score ) 에 표기된 음높이 ( Written Pitch ) 와 실제 연주되는 음높이 ( Concert Pitch ) 가 다른 악기를 [ 이조 악기 ] 라고 합니다. Guitar 는 실제 연주되는 음보다는 1 Oct ( 한 옥타브 ) 높여서 그냥 높은 음자리표로 표기합니다. Using G Clef & Tab Score ( 높은 음자리표와 타보 악보를 사용해서 표기 ) 높은 음자리표 ( G Clef ) 를 표기해서 Guitar 의 악보를 표기를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타보 악보 ( Tab Score ) 를 병행해서 표기하는 방식으로 악보 기보를 합니다. 일반적으로 Guitar 의 다양한 주법도 같이 악보에 표기합니다. 실제 Guitar Score 가 포함된 악보 예시 Basic Structure of Electric Guitar ( 기타의 기본 구조 ) Electric Guitar ( 기타 ) 의 기본 구조는 Acoustic Guitar 기본적으로 비슷하지만 몇가지 부분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Acoustic Guitar 와 달리 Pickup 을 통해서 소리를 집음해서 Amplifier 로 증폭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Electronic Method ( 전기적인 부분 ) 들에 대한 이해를 수반하면 더 좋습니다. Electric Guitar Structure ( 기타의 기본 구조 ) 자세하게 각 부분 부분을 분해해서 보면 상단의 그림에서의 처럼 다양한 부품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Guitar ( 기타 ) 를 만들거나 할 것이 아니라면 간단히 아래쪽의 그림에 적은 용어정도만 기억해도 충분합니다. Electric Guitar Tone Materials ( 기타 톤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Electric Guitar ( 기타 ) 의 Tone ( 톤 ) 은 상당히 많은 요소에 영향을 받아서 결정됩니다. 크게 Body Type ( 바디의 형태 ), String Type ( 현의 종류 ), Pickup Type ( 픽업의 종류 ), Play Method ( 연주 방법 ), Pick Type ( 피크로 연주시엔 피크의 종류 및 두께 )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Electric Guitar ( 일렉 기타 ) 의 Tone ( 톤 ) 의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String Type ( 현의 종류 ) Acoustic Guitar 에서는 String ( 현 ) 의 종류에 의해서 소리 차이가 많이 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서 Electric Guitar 역시 String ( 현 ) 의 종류에 의해서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Acoustic Guitar 만큼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Round Wound / Flat Wound / Half Round 의 차이는 동일하게 어느정도 적용됩니다. 또한 Old String ( 오래된 현 ) 과 New String ( 새로운 현 ) 사이의 Tone ( 톤 ) 차이도 상당합니다. 대부분의 기타 세션들의 경우엔 일주일 ~ 10일에 한번씩 Guitar String ( 기타 현 ) 을 바꾸며 녹음 전에 새로 셋팅하는 경우도 상당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String ( 현 ) 에 따른 Tone ( 톤 ) 의 차이를 염두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Guitar Body Type ( 바디의 종류 ) Electric Guitar 의 경우엔 Hollow Body Type 인지 Solid Body Type 인지가 Tone ( 톤 ) 차이에 영향을 많이 줍니다. 그외 Electric Guitar Body Shape ( 바디의 모양 ) 역시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Body Type 에 비한다면 적습니다. Guitar Pickup Type ( 픽업의 종류 ) Electric Guitar 의 Tone ( 톤 ) 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것은 Pickup Type ( 픽업 종류 ) 라고 할 수 있습니다. Guitar Pickup 이란 String ( 현 ) 의 울림을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마이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압력을 그대로 전기로 바꾸는 것이 아닌 자기장의 원리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기 때문에 Pickup Type ( 픽업 종류 ) 에 따라서 Tone ( 톤 ) 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Electric Guitar 의 Pickup Type 과 조합에 따른 Tone ( 톤 ) 차이에 대해서 따로 Chapter 를 나누어 다루겠습니다. Pickup 기본적인 구조와 원리 그리고 종류, 대표적인 기타별 Pickup 조합에 대해서는 따로 다루겠습니다. Guitar Effect Pedal Board ( 기타 이펙트 페달 보드 ) After Effect : Guitar Pedal Board Guitar Body Type 과 Pickup Type 이 Electric Guitar 의 Basic Tone ( 기본 톤 ) 을 좌우한다면 이후의 Tone ( 톤 ) 은 Guitar Effect Pedal Board 조합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부분 역시 방대한 양이기 때문에 따로 Chapter 를 나누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연관된 강좌 글 보기 ( 연관된 악기론 / 미디 시퀀싱 강좌 글 보기 )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큐베이스 팁! Cubase Tip - Time Warp ( 기초 / 초보편 ) - 4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기본 사용법 1 ( NI - Kontakt 4 & 5 / 기초편 ) - 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Tip 1 : Purge Mode ( NI Kontakt 4 & 5 Tip 초보편 ) - 6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사용법 - 응용편 1 : AET Filter 기능 ( NI - Kontakt 4 & 5 Advanced ) - 1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킥 드럼 섞어서 사용하기 팁! ( Kick Drum Blending Tip ) - 9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하이햇 섞어서 사용하기 팁! ( Hi-hat Blending Tip ) - 11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리버브 활용 팁! - 리버브 패닝 ( Reverb Tip 1 - Reverb Panning ) - 14번째 강좌


[인터뷰 ( Interview )] - Hot 한 Mixing Engineer 감독님이신 조준성 감독님과의 Interview


[강좌 ( Lecture )/악기론] - Drums set & NI Battery 3 ( 드럼 : 악기론 편 ) - 첫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Bass Guitar & Spetrasonics Trilian ( 베이스 기타 : 악기론편 ) - 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Piano & Basic Stuff ( 피아노 : 악기론 / 추천 악기 ) - 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Guitar & Vst Instruments ( 기타 : 악기론편 ) - 8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Piano & Vst Instruments ( 일렉트릭 피아노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0번째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 1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Cajon ( 카혼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Djembe ( 잼베 : 악기론 & 추천 가상악기편 ) - 16번째 강좌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보고 있으면 행복한 음악 플래시몹들 ( Happy Flash mob )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거리 퍼포먼스 ( Awesome Street Performance ) 는 이정도는 되야하지 않을까요? ^^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마음 한켠이 따스해지는 Short Films 씨리즈 보고 가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클래식과 모던의 절묘한 조화 - 음악으로 감상해보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지난 50년을 한번에 보는 Guitar Riffs ( 기타 리프 ) 모음들 보고 가세요 ^^



Posted by The Note
,


12번째 강좌는 Kontakt 4 & 5 AET Filter 기능 ( 컨탁을 이용해서 악기 섞어서 사용하기 ) 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_^


오늘 올리는 강좌는 초보분들에게는 조금은 어려울 수 있는 Kontakt 4 와 5 에서 사용할 수 있는 Blending Tip 입니다. ^_^


Kontakt 관련 Advanced 기능이라 초보분들에게는 사실 조금 어려운 Tip 이자 Technique 입니다. ^^;;;;;;;;;;



쉽게 이야기하면 두개의 Kontakt 용 악기 소리를 자연스럽게 섞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_^


컨탁 사용법 - 응용편 1 : AET Filter 기능 ( NI - Kontakt 4 & 5 Advanced ) - 12번째 강좌


쉬운 기능은 아니기 때문에 잘 이해가 안되시면 그냥 넘기셔도 되니 부담가지지 말고 강좌 읽으셨으면 합니다. ^^

강좌 보시기 전에 먼저 영상 보시고 강좌 읽으시면 조금 더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_^



또한 Kontakt 에 관해서 잘 모르시는 분은 이전에 제가 올렸던 Kontakt 강좌들을 먼저 보시고 보시는 편이 좋습니다. ^^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1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2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3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4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5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6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7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8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09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0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1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2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3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4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5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6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7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8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19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0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1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2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3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4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5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6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7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8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29


컨탁 AET 필터 ( Kontakt AET Filter ) 30

NI Kontakt ( 컨탁 ) - AET Filter AET Filter Authentic Expression Technology Filter 의 줄임말로 Kontakt 4 이후에 등장한 내부 Plug-in 이자 하나의 Algorithm Blender / Algorithm Blending Filter 입니다. 2개 이상의 Kontakt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섞어서 사용하거나 하나의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Velocity Layer 별로 적절히 섞어서 사용함으로 그냥 사용하는 것이 비해서 조금 더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Kontakt Algorithm Blender / Algorithm Filter 라고 보면 됩니다. AET Filter 가 기본적으로 두개 이상의 음색 / 악기를 섞어서 사용하게 해주는 기준은 Volume 입니다. 그러나 두개 이상의 음색 / 악기를 섞어서 사용할 때 Control 하는 Parameter 는 Key Position /Velocity / MIDI CC 를 비롯해서 여러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How to Set AET Filter - Easy Way ( 간단히 AET Filter 설정 / 사용하기 ) 기본적으로 AET Filter 는 여러개의 AET Morph Layer 를 서로 Crossover 해서 Blending 하는 형식의 Filter 입니다. 다만 Filter 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그저 Volume Blending 이 아닌 나름의 Algorithm 을 가지고 Blending 하고 있기 때문에 AET Filter ( Authentic Expression Technology Filter ) 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1st Step : Select Instrument Group Layer ( AET Filter 를 사용해서 섞고자 하는 음원 그룹 선택하기 ) AET Morph Layer 는 겹쳐진 Layer 에서는 만들수 없습니다. 반드시 각각의 Pitch 에 할당되어 Layer 가 분리된 음원 / 악기에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 Group Editor 에서 원하는 Group 을 선택한 후 ( 선택시 Edit All Groups 해제 ) Mapping Editor 에서 Selected Group Only 를 누르고 나면 원하는 Group 의 Layer 만 따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러개의 Group 의 Layer 가 겹쳐져 있는 경우엔 AET Morph 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Group Editor 상단 메뉴에 있는 Edit All Groups 기능을 해제하고서 AET Morph Layer 를 생성하고자 하는 Group 을 선택합니다. 겹쳐서 보이는 Wave Sample Layer 중에서 원하는 Group 의 Layer 만을 보기 위해선 Mapping Editor 상단 오른쪽에 위치한 Selected Groups Only 를 눌러주면 따로 볼 수 있습니다. ( Edit All Groups 선택 해제 필수 ) 원하는 Group 의 Wave Sample Layer 를 마우스로 Drag 해서 선택해줍니다.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AET Filter 관련 선택 옵션을 볼 수 있는데 이 옵션을 선택하면 AET Morph Layer 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2nd Step : Auto Add AET Velocity Morph ( Velocity 에 반응하는 Morph 자동으로 생성하기 ) 원하는 Group 의 Wave Sample Layer 를 마우스로 Drag 한 상태에서 Auto Add AET Velocity Morph 를 선택하면 아래쪽 Group Insert FX 에 AET Filter 가 자동으로 생성으로 Insert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rd Step : Add Control Parameter with Morph ( Velocity 외에 조절할 수 있는 Parameter 추가 / 사용하기 ) 기본적으로 Auto Add AET Velocity Morph 로 AET Filter 를 생성하게 되면 기본 옵션은 Velocity 로 제어되게끔 설정되어 있습니다. Velocity 외에 다른 Parameter 로 추가하고 싶거나 조절 Parameter 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엔 AET 아래쪽에 있는 Mod 를 눌러서 변경하거나 add modulator 로 원하는 Parameter 를 추가하면 됩니다. 추가할 수 있는 Parameter 는 5가지 종류로 나뉘어지면 각각은 아래와 같이 세부 항목이 나누어집니다. 위의 여러가지 많은 Parameter 들을 사용해서 기본적으로 Morph 와 Amount 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Sample Library Instruments 에 AET Filter - Velocity Morph 를 적용하고 싶은 경우엔 하나의 note 에 반드시 2개 이상의 Wave Sample 로 Layer 되어있어야 합니다. ( ex. Sample A - Velocity 1 ~ 64 / Sample B - Velocity 65 ~ ) 단 2개 이상의 Morph 를 생성해서 Sample Instruments 간의 AET Filter 를 적용할 경우엔 상관없습니다. 하나의 음에 2개이상의 Wave Sample 이 Mapping 되어 있으면 Auto Add AET Velocity Morph 기능으로 바로 각각의 Layer 간의 Sound Blending 을 적용 /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세부 설정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 How to Set AET Filter - Regular Way ( AET Filter 제대로 적용 / 사용하기 ) Auto Add AET Velocity Morph 로 AET Filter 를 생성할 경우에는 간편하지만 세부 설정을 적용 /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대로 AET Filter 를 적용 / 사용하는 방법은 각각의 AET Morph Layer 를 생성해서 직접 Blending 설정하는 것입니다. 1st Step : Create AET Morph Layer ( AET Morph Layer 적용 / 만들어주기 ) 원하는 Group 만 따로 선택 후 Selected Group Only 옵션을 적용해서 원하는 Layer 에만 AET Morph 를 만듭니다. 원하는 Group 의 Wave Sample Layer 를 Drag 해서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mini menu 에서 Create AET Morph Layer 를 선택해서 AET Morph Layer 를 생성합니다. 2nd Step : Set AET Morph Layer ( AET Morph Layer 설정하기 ) Create AET Morph Layer 를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AET Morph Layer 설정창이 뜹니다. Name : AET Morph Layer 의 이름을 정해주는 Section 입니다. 영문 / 숫자로 입력 가능합니다. Tonal : Wave Sample 이 기존의 음율에 맞춰서 배치된 것이 아닌 경우엔 Blending 했을때 자연스럽지 않게 들릴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자연스럽게 Blending 될 수 있도록 각각의 Wave Sample 음원을 일정한 Root Key 에 근거해서 Analysis ( 분석 ) 해서 Pitch Tune 을 해주는 기능입니다. Tonal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 원래 음원 / 악기의 음색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필요없다면 체크 해제 Root Key Shift : Tonal 기능을 사용할때 기준삼을 Root Key 를 정해줄 수 있는 Section 입니다. Smoothing : Blending 할때 얼마나 부드럽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입니다. Analyzed Frequency Response 가 기준이 되면 0.1 ( no smoothing ) 에서 2.0 ( Strong Smoothing ) 까지 적용할 수 있습니다. Analysis Range : Blending 할때 각각의 Wave Sample 의 Characteristic Frequency Spectrum 의 기준을 어디까지 적용해서 보여주고 각각의 Wave Sample 의 성격 / 특성을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영역 설정입니다. 3rd Step : Edit Morph Map ( Morph Map 설정 / 사용하기 ) Auto Add Velocity Morph Layer 와는 달리 직접 AET Filter 를 부르면 Morph Map 을 설정해주지 않으면 AET Filter Morph 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좌측 하단에 위치한 Edit Morph Map 을 눌러서 추가했던 Morph Layer 를 지정해주고 세부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AET Filter Section 에서 Edit Morph Map 을 눌러주면 왼쪽과 같은 Create Morph Map 이 뜨는데 상단에서 Morph Map 의 이름을 설정 해주면 Morph Map 을 Edit 할 수 있습니다. 왼쪽으로 옮겨서 설정하고 상단에서 Velocity Morph / Single Layer 로 선택 하고 나서 아래쪽의 OK 버튼을 눌러주면 Morph Map 을 만들 수 있습니다. 4th Step : Using AET Filter - Morph Map ( AET Filter - Morph Map 사용하기 ) AET Filter Section 에서 no morph map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해서 3rd Step 에서 생성한 Morph Map 을 골라주면 AET Filter - Morph Map 을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됩니다. ( 예시 : Fender Rhodes SP 77 선택 ) 원하는 Morph Map 을 고른 후 아래쪽 Modulation Section ( Mod ) 에서 Add Modulator 를 눌러서 연동할 Parameter 를 골라주면 됩니다. Velocity Morph 로 사용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셋팅하면 됩니다. Modulation Router 에서 사용하지 않는 Parameter 에 할당해서 Control 가능한 것은 Morph 와 Amount 입니다. How to Blend 2 ~ 3 Instruments ( 2 ~ 3 가지 음색 / 악기 섞어서 사용하기 ) 하나의 음색 / 악기에 AET Filter 를 적용해서 사용하는 것은 조금 더 유연한 Attack 과 Sound 를 얻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AET Filter 는 하나의 음색 / 악기에만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닌 여러가지 음색 / 악기의 소리를 섞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기능이 메인입니다. 실제로 Kontakt 기본 Library 에도 Choir 에 Morph 가 적용되어 있어서 [ a-e-i-o-u ] 를 적절히 섞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Blend Sound Example - Kontakt Library Instruments - Choir Morph [ a - e - i - o - u ] 의 발음 ( Vowel ) 을 적절히 섞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AET Filter 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1st Step : Create AET Morph Layer of All ( 원하는 음색 / 악기의 Group 의 AET Morph Layer 만들어주기 ) 원하는 음색 / 악기의 Group 마다 각각의 AET Morph Layer 를 생성해줍니다. 2nd Step : Insert AET FIlter in Main Group Insert FX ( 원하는 그룹에 인서트 FX 에 AET Filter 플러그인 넣기 ) AET Filter 는 첫번째 Group 이나 Main 이 되길 원하는 Group 의 Group Insert FX 에 넣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Group 에서 나머지 Group 의 Sound 를 Control / Blend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Group 에만 넣어서 1st Step 에서 만들었던 AET Morph Layer 들을 Control ( 조절 ) 하면 됩니다. 3rd Step : Set & Edit Morph Map ( AET Filter - Morph Map 설정하기 ) AET Filter Section 에서 Morph Map Edit 를 눌러서 Morph Map 을 설정합니다. Morph Map 상단에서 사용할 Morph Map 의 이름을 정해주고 Articulation Morph / Multiple Layers 를 선택해줍니다. 여러개의 Layer 를 Blending 하고자 할 경우에는 Multiple Layers 로 선택되어 있어야 Blend 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Layer 는 모두 왼쪽 Current Map 으로 옮겨줍니다. 이때 Layer 들이 나열되는 순서 / 옮겨진 순서가 이후에 AET Filter - Morph Blend 가 적용되는 순서입니다. 4th Step : Select Morph Map & Modulation Router ( 사용할 Morph Map 선택 / Modulation Router 지정하기 ) 원하는 Morph Map 을 고른 후 아래쪽 Modulation Section ( Mod ) 에서 Add Modulator 를 눌러서 연동할 Parameter 를 골라주면 됩니다. MIDI CC Number 로 Morph 를 제어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셋팅하면 됩니다. Modulation Router 에서 Parameter 에 할당해서 Control 가능한 것은 Morph 와 Amount 입니다. 5th Step : Control Amp Volume of Groups ( Morph Layer 를 생성한 Group 들의 Volume 조절하기 ) 4번째 Step 까지 설정하고서 AET Filter 를 사용하고자 연주를 해 보면 모든 Group 의 소리가 동시에 나는 것을 듣게 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AET Filter 를 넣은 Group 이나 조건부로 사용할 Group 을 제외한 Morph Layer 를 생성한 모든 Group 은 기본적으로 Amp 의 Volume 을 조절해야 합니다. Group Insert FX 에 AET Filter 를 넣은 Group 을 제외한 나머지 Morph Layer 를 생성해서 Morph Map 에서 설정한 Group 들의 Volume 은 모두 -00 로 설정해서 그냥 연주할때에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Strength & Weakness of AET Filter Blending ( AET Filter 의 장단점 ) Kontakt 의 AET Filter 기능을 활용하면 여러개의 Volume Layer 를 더 자연스럽게 Blend 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음색 / 악기를 섞어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장점 못지 않은 단점도 있기에 정확히 알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Strength ( 장점 ) 2개 이상의 Layer 또는 음색 / 악기를 자연스럽게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AET Filter 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Velocity / MIDI CC 를 비롯한 다양한 Parameter 를 이용해서 Control 하면서 Blend 할 수 있습니다. Weakness ( 단점 ) AET Filter 자체의 Algorithm 에 의해서 Filter Blending 될때 음색 / 악기의 Sound 의 질감이 바뀌는 일이 있습니다. 특히 Percussion 이나 퍼커션과 같은 늬양스의 음색 / 악기의 경우엔 질감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Strings / Pad / Choir / Synth 의 경우엔 어색하지 않게 Blending 될때가 많지만 때에 따라서는 음색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며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관된 강좌 글 보기 ( 연관된 미디 시퀀싱 강좌 글 보기 )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큐베이스 팁! Cubase Tip - Time Warp ( 기초 / 초보편 ) - 4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기본 사용법 1 ( NI - Kontakt 4 & 5 / 기초편 ) - 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Tip 1 : Purge Mode ( NI Kontakt 4 & 5 Tip 초보편 ) - 6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사용법 - 응용편 1 : AET Filter 기능 ( NI - Kontakt 4 & 5 Advanced ) - 1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킥 드럼 섞어서 사용하기 팁! ( Kick Drum Blending Tip ) - 9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하이햇 섞어서 사용하기 팁! ( Hi-hat Blending Tip ) - 11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리버브 활용 팁! - 리버브 패닝 ( Reverb Tip 1 - Reverb Panning ) - 14번째 강좌


[인터뷰 ( Interview )] - Hot 한 Mixing Engineer 감독님이신 조준성 감독님과의 Interview


[강좌 ( Lecture )/악기론] - Drums set & NI Battery 3 ( 드럼 : 악기론 편 ) - 첫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Bass Guitar & Spetrasonics Trilian ( 베이스 기타 : 악기론편 ) - 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Piano & Basic Stuff ( 피아노 : 악기론 / 추천 악기 ) - 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Guitar & Vst Instruments ( 기타 : 악기론편 ) - 8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Piano & Vst Instruments ( 일렉트릭 피아노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0번째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 1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Cajon ( 카혼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Djembe ( 잼베 : 악기론 & 추천 가상악기편 ) - 16번째 강좌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보고 있으면 행복한 음악 플래시몹들 ( Happy Flash mob )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거리 퍼포먼스 ( Awesome Street Performance ) 는 이정도는 되야하지 않을까요? ^^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마음 한켠이 따스해지는 Short Films 씨리즈 보고 가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클래식과 모던의 절묘한 조화 - 음악으로 감상해보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지난 50년을 한번에 보는 Guitar Riffs ( 기타 리프 ) 모음들 보고 가세요 ^^


Posted by The 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