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뮤직 마켓 ( eMusic Market ) 에서 작곡가 주영훈 20주년 기념앨범 편곡 공모전 진행소식이 올라왔습니다. ^^

eMusicMarket 의 활성화 일환으로 진행하는 편곡 공모전이라 생각이 들지만 나름 기회가 될 수 있는 공모전이라

생각되어서 소식을 올려봅니다. ^_^ ( 해당 싸이트 가입이 전제이기 때문에 홍보 일환이라는 이야기를 달아봅니다. ^^: )


작곡가 주영훈 20주년 기념앨범 편곡 공모전 ( 2013년 11월 15일 마감 )


대상에게는 Yamaha Motif XF6 를 제공하고 편곡자로 등록해준다고 하네요.

( 사실 편곡 등록은 해당 곡을 판매하려면 당연한 것이니 Motif XF6 가 상품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 )


관심 있으신 분은 과제곡이 배반의 장미 ( 엄정화 / 1997 ) 이니 도전해보세요 ^^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www.emusicmarket.com/










작곡가 주영훈 20주년 기념 음반의 편곡 공모


< 편곡 소재 >

- 배반의 장미 ( 엄정화/1997, 40만장 판매 )


< 편곡 스타일 >

- 밴드 편곡을 포함, 장르 불문한 자유 편곡


< 참가 자격 >

- eMusicMarket.com 회원 ( Yellow / Blue / Red 등급회원 ) 이며 Cubase 사용자


< 접수 요령 >

- eMusicMarket.com 의 Contest 페이지를 통해 응모 ( 비회원은 회원 가입 필수 )

- 마스터 ( wav ) 파일을 업로드

- 1차 심사 통과자는 세션 ( cpr )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제출해야 함


< 접수 기간 >

- 2013년 10월 14일 ~ 11월 15일


< 발표 >

- 2013년 12월 2일 발표


< 심사 과정 및 심사 위원 >

- 1차 심사 : 심사 위원단

- 2차 심사 : 심사 위원단 + 온라인 투표

- 최종 심사 : 작곡가 주영훈


< 시상 >

- 대상 : Yamaha Motif XF6 Synthesizer, 편곡자로 크래딧 등록 ( 편곡 저작권 소유 )

- 은상 : Yamaha HS6 모니터 스피커

- 동상 : Steinberg CMC Controller

- Steinberg 특별상 : Steinberg UR28M Audio Interface / Monitor Controller

- eMusicMarket 상 : 2차 심사 통과자 전원에게 이뮤직마켓 Red 회원권 1년


< 특별 사항 >

- 최고상 ( 대상 ) 수상자는 Cubase 정품 사용자 인증 필수

- 심사는 Cubase 7 을 사용하여 세션을 오픈하므로 7 버젼을 추천함.

- 각 순위 입상작은 eMusicMarket.com 에 세션데이터를 공개합니다.

- 각 순위 입상자는 본 행사 관련 홍보, 인터뷰 등 제반 행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동의를 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입상작 중 추후 부적격 사유 및 음반 제작 일정에 차질을 준 사유가 발견될 경우 자격 박탈 및 모든 상품과 관련 손해에      배상 의무를 지게 됩니다.






연관된 글 더 보기 ( 관련된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공모전 / 대회 소식 글 보기 )



Posted by The Note
,


오늘 올리는 강좌는 14번째 강좌편으로 Reverb Tip 1 - Reverb Panning ( 리버브 활용 팁 - 리버브 패닝 ) 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_^


이번 강좌에서 다루는 내용은 Reverb ( 리버브 ) 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기초적인 Tip 입니다. ^^

Reverb ( 리버브 ) 를 사용할때마다 좋은 Reverb Plug-in 이라는데 왜 내가 사용하면 점점 지저분한 소리가 될까? 싶으신 분은

Reverb Send Pan 을 적용하였는지를 점검해보셔야 합니다. ^_^


리버브 활용 팁! - 리버브 패닝 ( Reverb Tip 1 - Reverb Panning ) - 14번째 강좌


길지 않은 짧은 Tip 이지만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하는 사항이니 꼭 읽어보시고 점검해보세요 ^_^


리버브를 사용할 수록 점점 소리가 탁해지거나 뿌옇게 되어서 선명도를 잃어버리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되시는 분이나
리버브가 악기와 따로 노는 것 같다고 느끼시는 분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간단한 팁이자 리버브 관련된 기초 지식입니다. ^_^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 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용된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1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2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3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4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5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6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7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8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09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10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11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12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13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14


리버브 활용 팁 - Reverb Tip Send Pan 15




How about your Reverb ( 리버브 잘 쓰고 계시죠? ) 오늘은 Reverb ( 리버브 ) 의 Panning ( 패닝 ) 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자합니다. 역시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들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조금이라도 깊이 있는 이야기를 다룰 수 있을테니 우선 하나 하나 알아보도록 하곘습니다. ^_^ Reverb 의 종류는 크게 2 ~ 3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Algorithm Reverb ( 알고리즘 리버브 ) 일정한 알고리즘 ( Algorithm ) 에 의해서 공간을 계산하고 잔향을 구현하여 Reverb Sound 를 구현하는 방식의 Reverb 를 알고리즘 리버브 ( Algorithm Reverb ) 라고 지칭합니다. 대부분의 Reverb Hardware Unit ( 리버브 하드웨어 ) 는 알고리즘 기반으로 공간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리버브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 Lexicon, TC Electronics 를 비롯한 대부분의 리버브 장비들이 Algorithm Reverb 기반입니다. Convolution Reverb ( 컨볼루션 리버브 ) 임펄스 사운드를 이용해서 실제 공간의 반응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Reverb Sound 를 구현하는 방식의 Reverb 를 컨볼루션 리버브 ( Convolution Reverb ) 라고 지칭합니다. Algorithm Reverb ( 알고리즘 리버브 ) 에 비해서 공간 재현력 /  잔향은 뛰어나지만 악기간의 간섭이나 몇가지 단점도 있습니다. Other Type - Analog Reverb ( 다른 방식의 아날로그 리버브 ) Plate Reverb ( 플레이트 리버브 ), Spring Reverb ( 스프링 리버브 ) 와 같이 알고리즘이 아닌 실제로 아예 다른 방식으로 공간을 구현하는 Reverb 를 지칭합니다. Reverb 를 사용하기 위한 접근 방법과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간으로서의 Reverb 보다는 Groove 와 Tone 을 위한 Reverb 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법입니다. 소리의 정위 ( Sound Source Position ) - 즉 어떤 소리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이유는 3 가지입니다. Two Ear ( 두 개의 귀 ) 사람은 두개의 귀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귀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소리의 위치를 구별 할 수 있습니다. 눈 한쪽이 안 보이게 되면 거리감을 상실하는 것처럼 귀 한쪽도 잘 안 들리게 되면 소리의 위치 구별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Volume & Timing ( 소리의 크기와 시간차 ) 양쪽 귀에 들리는 소리의 크기와 시간차에 의해서 소리의 위치를 구별 할 수 있습니다. 가운데 있는 소리는 양쪽 귀에 들리는 시간과 크기가 비슷하거나 같은 것이고 한쪽으로 몰리는 소리 일수록 반대편 귀에 들리는 소리가 상대적으로 줄고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소리의 위치를 구별 할 수 있게 됩니다. Frequency Response ( 대역대별 소리의 반응도 ) 소리는 직진하는 성질과 회절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절된 소리는 상대적으로 직진성이 강한 고역대의 소리가 줄게 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귀에 들리는 Frequency Response ( 대역대별 소리의 반응도 ) 가 달라서 소리의 위치를 상대적 으로 구별 할 수 있습니다. Panning Algorithm ( 패닝 알고리즘 / 패닝 원리 ) - 소리의 위치를 구현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입니다. Volume Panning ( 볼륨 패닝 ) Volume Panning ( 볼륨 패닝 ) 이란 두 스피커의 소리의 크기를 이용해서 소리의 위치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대부분의 DAW 와 Hardware Mixer 에서 사용하는 소리의 위치를 구현하는 방법입니다. 장점은 명확한 정위 ( Sound Source Position ) 를 얻을 수 있지만 Hard Panning ( 양쪽 끝으로 패닝하는 것 ) 에 가까워질 수록 Stereo Image 가 줄어든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Time Panning ( 타임 패닝 ) Time Panning ( 타임 패닝 ) 이란 두 스피커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서 소리의 위치를 구현하는 방식을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Delay 를 이용해서 구현 할 수 있으며 Stereo Image 가 거의 줄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명확한 정위 ( Sound Source Position ) 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Insert / Send ( 인서트 / 샌드 ) 의 기본 개념 Insert ( 인서트 / 삽입 ) 주로 Dynamic 계열의 Effect ( 예 : Compressor, EQ ) 를 사용할때 Insert 로 걸어서 많이 사용합니다. Insert 는 Effect 에 Wet / Dry ( 또는 Mix ) 라는 경로를 통해서 Original Sound Source 를 그대로 통과시켜줄 수 있는 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원본과는 소리가 달라지는 파괴 편집을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Insert 로 Delay 나 Reverb 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해도 됩니다. 다만 시공간 계열의 Effect 는 insert 로 사용할 때에 얻을 수 있는 득보다는 실이 더 많기 때문에 특별히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면 Send 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_^ 더욱이 오늘 알려드리는 Tip 을 알고 나시면 Reverb 를 Insert 로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를 아실 수 있게 될겁니다. ^_^ Send ( 샌드 / 보내기 ) 주로 Delay, Reverb 와 같은 시공간 계열의 Effect 를 사용할때 Send 를 통해서 Aux Track ( 억스 트랙 ) 에 걸어서 많이 사용합니다. Send 의 개념은 원본을 그대로 복사해서 또 하나의 경로로 내보내는 개념입니다. 즉 원본은 그대로 Output 으로 출력되고 복사된 또 하나의 원본 소스를 가지고 Delay, Reverb Sound ( 또는 Send 로 Effecting 되어지는 Sound ) 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듯 합니다. ^_^ So What ? ( 그래서 어쩌라고... ? ) 그렇죠... 오늘도 이런 기초적인 내용을 나열하면 어쩌라는 거냐 싶으시죠? ^_^ Send 를 이용해서 Aux Track 에서 Reverb Sound 를 만들어낼때 각 악기들의 Panning 에 따라서 Reverb Sound 역시 Panning 은 적용하고 있으신건가요? ^_^ 의외로 많은 분들이 그냥 Reverb 를 사용만 할 뿐 각 악기의 Reverb Sound 의 Panning 은 미처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신 경우가 많은 듯 해서 이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_^ 사실 이제부터 이야기할 Reverb 관련 Tip 부분도 Sound Engineer 분들은 보면서 ‘ 이걸 왜 ? ’ 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Mixing 에 익숙하지 않은 작곡가분들이나 연주자분은 의외로 실수를 많이 하는 부분이기도 하고 더욱이 Cubase 의 경우엔 Send Panning 을 설정할 수 있는 Signal Flow 가숨어 있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이 더 많은 것 같은 듯 합니다. ^^;;; How to Control FX - Reverb Panning ( FX - Reverb 의 패닝 방법 ) Send 를 이용해서 Aux Track 으로 Reverb Sound 를 만들때 Reverb Sound 의 악기의 Panning 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_^ DAW 의 Mixer 상에서 Send 에 대한 Pan 이 바로 보이는 Pro Tools 나 Sonar 의 경우엔 당연히 아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지만 Cubase 나 Logic Pro 의 경우엔 Send Pan 이 바로 보이지 않습니다. ^_^;; 우선 Drums set ( 드럼 ) 의 Dry Sound 와 Electric Guitar 의 Dry Sound 를 들어보세요. Drums set ( 드럼 ) 의 각 Part 와 Electric Guitar 는 아래와 같이 Panning 을 적용했습니다. 악기 Pan 악기 Pan 악기 Pan 악기 Pan 악기 Pan 악기 Pan 기타 R 57 Kick Center Snare R 54 Hi-hat R 65 Floor Tom L 33 Rack Tom R 30 배치한 각 악기를 Send 를 이용해서 하나의 Reverb Plug-in 으로 Reverb Sound 를 더해준 것을 들어보세요. ^_^ 적당한 Reverb Sound 가 더해진 Wet Sound 가 생성된 걸 들으실 수 있을겁니다. ^_^ 그렇지만 사실 이 Wet Sound 는 그저 Send 값만 주어서 Dry Sound 의 악기들과 Reverb Sound 가 따로 놀고 있는 Sound 입니다. [ 무슨 소리지? 이렇게 Reverb 를 사용하는게 틀리다는 거야? ] 싶으시죠? ^_^ 기본적으로 무엇을 더 조작해야 하는 것인지 그리고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알려드릴께요 ^_^ 우선 다음의 4가지의 Guitar Sound 를 비교해서 유심히 들어보세요. ^_^ Dry Sound 는 아까 들었던 것이니 그러려니 하겠지만 Reverb 를 어떻게 적용했느냐에 따라서 3가지의 다른 Guitar ( with Reverb ) Sound - Wet Sound 1 / Wet Sound 2 / Wet Sound 3 를 들으실 수 있을겁니다. ^_^ 이 차이는 뭐지 싶으신가요? ^^ Reverb 를 FX Track ( Aux Track ) 을 이용해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특히 Cubase / Logic Pro 유저의 경우엔 Send 에 Pan 설정이 숨어 있다보니 Pan 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가 생겨서 이런 Reverb 의 차이가 생기게 되는 것이랍니다. ^_^ 그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 것인지 싶으실텐데 이제부터 Step by Step 으로 설명해드릴께요 ^^ FX Track ( Aux Track ) 으로 Reverb 를 사용할때 Send 설정에는 Pan 설정이 같이 있습니다. Cubase 와 Logic Pro 의 경우엔 Pan 설정이 숨어 있지만 Pro Tools / Sonar 의 경우엔 Send Pan 이 오른쪽 사진과 같이 보이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Send Pan / Aux Track ( FX Track ) 의 Pan 설정에 따라서 좀 전에 들었던 Guitar Sound 의 차이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굳이 Send Pan / Aux Track ( Fx Track ) 의 Pan 을 설정을 해야 하는가 하는 분들이 계실 듯 하네요 ^_^ Send Pan / Aux Track ( FX Track ) 의 Pan 설정을 하지 않으면 악기들의 배치는 제각각 되어 있지만 모든 악기 Reverb Sound 는 가운데에 계속 중첩되어서 쌓이게 되는 것과 같습니다. 각각의 악기와 함께 Reverb Sound 역시 적절히 배치되지 않으면 점점 안개가 낀거처럼 소리의 선명도가 떨어 지고 흐릿한 Sound 가 되어가게 됩니다 우선 다음의 3가지 형태의 Reverb Sound 를 들어보세요. ( Reverb Only 1 ~ 3 ) 첫번째는 Electric Guitar 의 Pan 을 전혀 적용하지 않은 Reverb Sound 이고 두번째는 Send Pan 을 적용한 Reverb Sound 입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Reverb FX Track 자체를 Panning 한 Reverb Sound 입니다. 실제로 Reverb 만을 들어보니 어떠신가요? 소리가 전혀 다른 것을 아실 수 있죠? 구체적으로 이야기한다면 Pan 을 전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엔 Electric Guitar 의 위치와 상관없이 Reverb Sound 상의 Electric Guitar 는 가운데 위치하고 있습니다. 만약 모든 악기의 Reverb 가 Pan 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가운데 ( Center ) 위치에 Reverb Sound 가 계속 쌓여서 안개처럼 전체 Sound 를 뿌옇게 만들게 될거랍니다. ^_^ Reverb Send Pan 설정 방법 ( Cubase ) Step 1 : Cubase ( 큐베이스 ) 에서 Send Pan 을 설정하기 위해선 Channel Strip Setting 을 불러야와 합니다. Channel Strip Setting 은 각 Track 의 Inspector 상의 [ e ] 버튼을 누르거나 Mixer 상의 Channel 의 [ e ] 버튼을 누르면 해당 Channel 의 Channel Strip Setting 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Channel Strip Setting 화면을 여시고 난 후 오른쪽에 보면 Send Routing 이라는 부분에서 Send Pan 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아쉽게도 Cubase 는 Pro Tools 와 달리 Send Pan 이 숨어 있어 설정하기 귀찮기는 합니다. Send Routing 이 안 보이시는 분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Small Menu 띄우시면 Small Menu 안의 Customizer View 항목에서 Send Routing 과 Control Strip 을 활성화시키실 수 있습니다. Step 2 : 각 악기의 Send Pan 은 Send Routing 에서 설정하면 됩니다. ( 기본적으로 악기 Pan 과 매칭하면 됩니다. ) 각 악기에 맞는 Panning 을 Track ( Channel ) 에 지정했다면 Send Pan 역시 맞추어서 지정해주어야 Reverb Sound 가 올바른 위치에서 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선 Option 으로 Reverb FX ( Aux ) Track 자체를 Panning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능하면 Send Pan 을 이용해서 Reverb Sound 를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Reverb FX ( Aux ) Track 자체를 Panning 하게 되면 공간 자체가 돌아가는 것처럼 되기 때문에 반대편의 영역에 Reverb 자체가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Reverb FX ( Aux ) Track 자체를 Panning 하게 되면 악기마다 Reverb 를 각기 따로 지정해야 하기 때문에 System 자체에 과부하를 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Reverb 를 지정하게 되면 조금 더 깔끔하게 되기 때문에 목적으로 가지고 사용한다면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Channel Strip Setting 에서 Control Strip 부분의 [ = ] 부분을 누르거나 Preference - VST 항목에 있는 [ Send Routing Panners follow Channel Panner as Default ] 를 선택하면 언제나 Send Pan 이 자동으로 따라 붙게 할 수 있지만 실제 활용적인 면에서는 필요한 Send 만 Pan 을 지정해주는 편이 더 유연성이 있고 실용적입니다. Reverb Send Pan 설정 방법 ( Logic Pro ) Logic Pro 의 경우엔 간단히 Send 를 마우스로 조금 오래 누르고 있으면 Mini Menu 가 뜨는데 해당 Menu 에 보면 Post Pan 이라는 설정이 있습니다. Post Pan 을 선택하면 해당 Send 는 Channel ( Track ) Pan 이 적용됩니다. 간단히 Send Panning 을 적용한 Drums set ( 드럼 ) 과 그렇지 않은 Drums set ( 드럼 ) 을 들어보세요. 별거 아닌 설정 같지만 사실 많은 악기를 사용할 수록 Send Pan 을 하느냐에 따라서 차이는 많이 나게 됩니다. ^_^




연관된 글 보기 ( 관련된 미디 시퀀싱 / 미디 믹싱 / 악기론 관련 강좌 보기 )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큐베이스 팁! Cubase Tip - Time Warp ( 기초 / 초보편 ) - 4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기본 사용법 1 ( NI - Kontakt 4 & 5 / 기초편 ) - 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Tip 1 : Purge Mode ( NI Kontakt 4 & 5 Tip 초보편 ) - 6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사용법 - 응용편 1 : AET Filter 기능 ( NI - Kontakt 4 & 5 Advanced ) - 1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킥 드럼 섞어서 사용하기 팁! ( Kick Drum Blending Tip ) - 9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하이햇 섞어서 사용하기 팁! ( Hi-hat Blending Tip ) - 11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리버브 활용 팁! - 리버브 패닝 ( Reverb Tip 1 - Reverb Panning ) - 14번째 강좌


[인터뷰 ( Interview )] - Hot 한 Mixing Engineer 감독님이신 조준성 감독님과의 Interview


[강좌 ( Lecture )/악기론] - Drums set & NI Battery 3 ( 드럼 : 악기론 편 ) - 첫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Bass Guitar & Spetrasonics Trilian ( 베이스 기타 : 악기론편 ) - 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Piano & Basic Stuff ( 피아노 : 악기론 / 추천 악기 ) - 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Guitar & Vst Instruments ( 기타 : 악기론편 ) - 8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Piano & Vst Instruments ( 일렉트릭 피아노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0번째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 1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Cajon ( 카혼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Djembe ( 잼베 : 악기론 & 추천 가상악기편 ) - 16번째 강좌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보고 있으면 행복한 음악 플래시몹들 ( Happy Flash mob )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거리 퍼포먼스 ( Awesome Street Performance ) 는 이정도는 되야하지 않을까요? ^^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마음 한켠이 따스해지는 Short Films 씨리즈 보고 가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클래식과 모던의 절묘한 조화 - 음악으로 감상해보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지난 50년을 한번에 보는 Guitar Riffs ( 기타 리프 ) 모음들 보고 가세요 ^^


Posted by The Note
,


홈플러스에서 사용할 매장음악 공모전 4회 소식이 올라왔네요 ^_^


홈플러스에서 매장에 쓰일 음악을 [ 창작 공모전 ] 형식으로 모집하고 있는 대회입니다.

현재 4회를 맞이하고 있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정기적으로 모집할 듯 보입니다. ^_^


다만 저작권 일체 귀속이기 때문에 이점은 유념하시고 지원하셔야 할 듯 합니다.


제 4회 shopbgm 홈플러스 배경음악 창작공모전 ( 2013년 12월 16일 마감 )


이번 4회에는 겨울음악 부문 / 설날음악 부문으로 나뉘어서 진행되기 때문에

본인이 생각하시기에 자신의 음악이 어울리는 부문에 맞추어서 응모하시면 될 듯 합니다. ^_^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www.shopbgm.co.kr/sub05_contest01.php









행사 명칭 : 제 4회 shopbgm 홈플러스 배경음악 창작공모전 개최

행사 자격 : 대한민국 모든 뮤지션

주       최 : 매장전문방송 CSB ( www.csb.co.kr )

주       관 : 상업용 배경음악 SHOPBGM ( www.shopbgm.co.kr )

후       원 : 홈플러스

공모 부문 : 겨울음악부문 / 설날 음악부문


< 홈플러스 겨울음악 부문 >


공모 음악

- 1. 겨울을 주제로 한 댄스 또는 미디엄 발라드 ( 예 : 미스터 투의 하얀 겨울 ) 등의 보컬음악

- 2. 사랑과 행복 따뜻함이 있는 감성음악

- 3. 밝고 기분이 좋은 멜로디, 경쾌한 리듬음악

- 4. 기타 유통매장에 적합한 모든 음악


작품 시상

- 1. 입상 작품 ( 총 6곡 )

- 대상 1곡 : 상금 500만원

- 금상 1곡 : 상금 300만원

- 은상 1곡 : 상금 200만원

- 동상 1곡 : 상금 100만원


- 2. 입선 작품 : 15곡 ( 홈플러스 10만원 상품권 1매 )


접수 기한

- 2013년 11월 15일 ~ 11월 30일


심사 발표

- 1. 영업장의 적합성 50점, 작품의 완성도 50점으로 평가

- 2. 2013년 12월 06일 www.shopbgm.co.kr 발표 예정






< 홈플러스 설날명절음악 부문 >


공모 음악

- 1. 설날 분위기를 돋우는 기분이 좋고 흥겨운 전통 분위기의 창작음악

- 2. 비 저작권 전통음악을 현대감각에 맞게 편곡, 개사하여 만든 음악

- 3. 명절 쇼핑에 잘 어울리는 재미있는 가사로 만든 음악

- 4. 기타 창의적인 모든 소재와 다양한 음악


작품 시상

- 1. 입상 작품 ( 총 6곡 )

- 대상 1곡 : 상금 500만원

- 금상 1곡 : 상금 300만원

- 은상 1곡 : 상금 200만원

- 동상 1곡 : 상금 100만원


- 2. 입선 작품 : 10곡 ( 홈플러스 10만원 상품권 1매 )


접수 기한

- 2013년 12월 01일 ~ 12월 16일


심사 발표

- 1. 영업장의 적합성 50점, 작품의 완성도 50점으로 평가

- 2. 2013년 12월 20일 www.shopbgm.co.kr 발표 예정






< 접수 등록 >

- www.shopbgm.co.kr 온라인 접수

* 제출서류

1. 뮤지션 프로필 및 앨범 소개 서류 ( shopbgm 등록 서식 )

2. mp3 음원파일 첨부 ( 1곡씩 등록 )

2. 개인( 팀 ) 별 출품수량 제한 없음


< 접수 문의 >

- Tel : 1899-1156 / E-mail : shopbgm@hanmail.net


< 작품 사양 >

- 1. 장르 무관, 창작 음악 ( 보컬음악, 발라드, 연주음악 )

- 2. 비저작권 전통음악을 현대 감각에 맞게 개사 및 편곡한 경우 원곡 표시

- 3. 밝고 경쾌한 리듬, 빠른 템포, 흥겨운 느낌

- 4. mp3 파일, 320kbps음질, 평균 이상의 음량, 런타임 3분 30초 전후


< 특별 공지 >

1. 본 창작공모전은 뮤지션들에게 상업용 배경음악 시장에 대한 새로운 활로를 열어주기 위한

    매장 음악 방송 CSB 와 홈플러스 후원 사업의 하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 본 공모전에 출품하는 모든 작품은 본인의 순수 창작품이어야 하고 출품 후에는 출품을 취소하거나 철회할 수가 없습니다.

3. 출품 작품은 어떤 경우에도 저작권법 및 기타 법률을 위배한 사실이 없어야 합니다.

4. 출품 작품은 시중에 미공표된 작품으로서 저작권 등록이나 저작권 관리 단체 등에 신탁되지 않은 작품이어야 합니다.

5. 입상 작품의 저작 및 저작 인접 재산권은 CSB 와 홈플러스 공동의 소유가 됩니다.

6. 입선 작품은 뮤지션의 소유로 인정되며 1년동안 CSB 와 홈플러스 각 영업장을 통해 홍보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동 기간동안 당사와 홈플러스는 별도의 사용 승인이나 저작권료 지불없이 재산권자의 모든 권리를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연관된 글 더 보기 ( 관련된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공모전 / 대회 소식 글 보기 )



Posted by The 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