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올리는 강좌는 13.5번째 강좌편으로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가상악기편 ) 입니다. ^_^

 

지난번에 올린 Electric Guitar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에 이어서 올라가는 내용이니 같이 연결해서 읽으셔야 도움이 되실겁니다. ^^

( 13번째 강좌는 일렉 기타 악기론편에 대한 내용이고, 13.5편 강좌는 일렉 기타 관련 가상악기에 대한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 )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가상악기편 ) - 13.5번째 강좌

 

Electric Guitar ( 일렉 기타 ) 편은 이전에 올렸던 Acoustic Guitar ( 어쿠스틱 기타 ) 편을 같이 읽으시는 것도 도움 되실겁니다. ^_^

( 혹시 이전의 Acoustic Guitar 강좌편을 못 보신 분은 먼저 Acoustic Guitar - 8번째 강좌편을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_^ )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된 것이니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Recommended Electric Guitar VST Instruments ( 추천 일렉 기타 가상악기 ) 2000년 초반까지만 해도 Electric Guitar 를 가상악기로 표현하기 위해선 엄청난 노가다가 필요했습니다. GM MIDI 방식의 Guitar 가상악기나 GIGA Sample 방식의 Guitar 샘플로 Electric Guitar 의 연주를 표현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 사이에 등장한 많은 Electric Guitar 가상악기들로 그 편의성이 증대된 것은 사실입니다. 추천할만한 Electric Guitar 가상악기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각 가상악기 별로 주요 기능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MusicLab - RealStrat / RealLPC MusicLab 에서 출시한 기타 관련 가상악기 씨리즈 로 RealStrat 은 Fender 의 Stratocaster 를 샘플링한 것이고 RealLPC 는 중 Gibson 의 Les Paul Custom 을 샘플링하여 만든 가상악기입니다. 가상악기 구입 및 자세한 관련 사항은 http://www.musiclab.com 을 방문하면 됩니다. ilya Efimov - LP Electric Guitar / TC Electric Guitar ilya Efimov 에서 출시한 기타 관련 Kontakt 기반 가상악기 씨리즈로 LP Electric ( LPC ) / TC Electric ( Telecaster ) 로 2가지 형태로  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상악기 구입 및 자세한 관련 사항은 http://www.ilyaefimov.com 을 방문하면 자세한 안내가 있습니다. Native Instruments / Scarbee - Funk Guitarist Scarbee 제작 / Native Instruments 에서 출시한   일렉기타 관련 Kontakt 기반 가상악기로 Fender Stratocaster Electric Guitar 음색이 들어 있습니다.가상악기 구입 및 자세한 관련 사항은 방문하면 자세한 안내가 있습니다. Acoustic Samples - JazzGuitarysm / Telematic Acoustic Samples 에서 출시한 기타 관련 UVI 기반 가상악기 씨리즈로 Gibson ES335 와 Fender Telecaster 을 샘플링하여 만든 Electric Guitar 가상악기입니다. 가상악기 구입 및 자세한 관련 사항은 http://acousticsamples.net/ 을 방문하면 자세한 안내가 있습니다.  MusicLab RealStrat / RealLPC ( 뮤직랩 리얼스트랫 / 리얼LPC ) ‘ 국민 기타 ’ 라는 호칭을 가질 정도로 많은 뮤지션들이 미디 작업에 사용하는 Electric Guitar 가상악기입니다. Guitar Sound 가 ‘ 엄청 좋으냐? ’ 또는 ‘ 엄청 리얼하냐? ’ 라고 묻는다면 손이 좀 가는 가상악기라고 대답하는 것이 맞을 듯 하지만 녹음 전 스케치용으로 미리 어떤 Groove ( 그루브 ) 와 Pattern ( 패턴 ) 을 원하는지를 만들기에는 충분히 좋습니다. Basic Stuff of RealStrat & RealLPC ( RealStrat 과 RealLPC 의 기본적인 사항 ) 두 가상악기의 사용법은 이전에 다루었던 RealGuitar 와 거의 동일합니다. 다만 음색적인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MusicLab 의 RealStrat 과 RealLPC 는 각각 Fender 와 Gibson 의 Electric Guitar 음색이 들어있습니다. RealStrat 은 Fender Stratocaster 의 음색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RealLPC 는 Gibson Les Paul Custom 의 음색을 기본으로 하는 Electric Guitar 가상악기입니다. RealGuitar 와는 달리 각각 여러개의 음색이 들어 있는 것이 아닌 단일 음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금 더 다양한 음색을 위해서는 다른 회사의 가상악기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Solo Mode ~ Bass & Pick Mode 까지의 기본적인 조작법은 RealGuitar 와 동일합니다. Wah 효과와 같은 Guitar Effecting 에 의한 Sound 에 대해서만 조금 이해하면 됩니다. Electric Guitar - Wah Wah Effect ( 와우 효과 ) 흔히 와우 페달이라고도 많이 부르는 Wah Wah Effect 는 Electric Guitar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Guitar Sound Effect 입니다. Filter 를 이용해서 Low Pass Filtering 을 하거나 Band Pass Filtering 을 통해서 Guitar Sound Tone ( 기타 톤 ) 을 바꿔가며 연주할 수 있는 대표적인 Guitar Effect 입니다. RealStrat / RealLPC 에서는 Wah Wah 를 여러가지 MIDI Control Knob 과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uitar - Tapping Play Method ( 탭핑 연주 방법 ) Guitar 의 연주방법 중 하나인 Tapping ( 탭핑 ) 연주는 기타의 String ( 현 ) 을 Pick ( 피크 ) 로 치지 않고 손가락으로 살짝 두들기듯 ( Tapping ) 연주하는 방법을 지칭합니다. Acoustic Guitar 에서도 많이 활용하는 연주 기법이지만 일반적으로 Electric Guitar 에서 조금 더 많이 활용하는 연주 방법입니다. Guitar - Feedback ( 피드백 연주 방법 ) Electric Guitar 에서의 Feedback 연주는 연주 기법이기도 하고 Guitar Effect 를 통해서 만들어 낼 수도 있는 Guitar Sound Effect 입니다. Jimi Hendrix ( 지미 핸드릭스 ) 가 많이 사용하는 연주 기법이기도 했습니다. RealStrat 과 RealLPC 에서는 Feedbacker 라는 이름으로 Control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Feedback ( Retrigger ) 도 선택 가능하게 옵션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NI / Scarbee Funk Guitarist ( NI / 스카비 펑크 기타리스트 ) 흔히 Funky ( 펑키 ) 하면서 빠른 기타 연주를 일명 ‘ 쨉쨉이 기타 연주 ’ 라고 많이 부르는데 Funky 한 기타 연주에 최적화되어서 Scarbee 에서 Fender Stratocaster 를 샘플링하여서 Kontakt 기반의 Electric Guitar 가상악기입니다. 이름처럼 Funk Music 에서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R&B, Dance, Rhythmic Music ( 리드믹한 음악 ) 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Basic Stuff of Funk Guitarist ( Funk Guitarist 의 기본적인 사항 ) Kontakt 에서 Funk Guitarist 를 부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로딩이 됩니다. 기본적인 Funk Guitarist 의 사용은 5가지 모드 중에서 Combi Mode 상태에서 조작 및 사용하면 됩니다. 5 Control Mode of Funk Guitarist ( Funk Guitarist 의 5가지 조작 모드 ) NI / Scarbee Funk Guitarist 에는 총 5가지의 조작 모드가 있습니다. Combi Mode ( Total Mode ) 실시간 연주 / 미디 연주를 할때 사용하는 모드입니다. 사용하는 여러가지 주법 및 Chord 에 대한 설정은 다른 Mode ( Chords / Grooves ) 에서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왼쪽의 노란색 건반 파트는 Chord 에 대한 설정을 오른쪽의 파란색 건반 파트는 기타 주법을 설정하는 Section 으로 되어 있습니다. Chords Mode Funk Guitarist 에서 사용할 Chord 를 설정하거나 만들 수 있는 Mode 입니다.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Chord 를 왼쪽의 노란색 건반 파트에 배치할 수도 있고 원하는 Chord 를 따로 만들어서 자신만의 Preset 처럼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Grooves Mode 기본 Rhythm 단위의 Groove 연주를 만들거나 기존의 Groove 를 오른쪽 파란색 건반 파트에 배치할 수 있는 Mode 입니다. FX Mode Funk Guitarist 에서 사용할 FX 들을 설정할 수 있는 Mode 입니다. 기본적으로 내부 Effect Plug-in 과 연동 되기 때문에 내부에서 열어서 조작할 필요없이 간단히 FX Mode 상태에서 조절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Setting Mode 기본적인 몇가지 셋팅과 제작한 참여한 사람들의 Credit 을 볼 수 있는 Mode 입니다. Combi Mode - Basic Play Mode ( 기본적인 연주 모드 - Combi Mode ) Combi Mode 상태에서 상단의 Browse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건반에 Mapping 된 Chord 와 Grooves 를 볼 수 있게 화면에 Browser 가 추가되어 보이게 됩니다. ( 처음 Funk Guitarist 를 로딩하면 Browser 는 보이지 않습니다 ) 기본적으로 왼쪽의 노란 건반 부분을 누르면 해당 Chord 를 연주하고 오른쪽의 파란 건반 부분을 누르면 원하는 Groove 를 연주하게 됩니다. 중간에 빨간색의 건반은 Stop 버튼으로 설정되어 있으니 연주를 멈추고 싶으면 누르면 됩니다. ( 오른쪽 부분의 녹색은 누르면 Groove Keys 부분의 Browse 가 해당 Octave 로 바뀝니다. ) Chords Mode - Chord Editing & Making Mode ( 코드를 만들거나 편집하는 모드 ) Chords Mode 내에서 Preset 은 말 그대로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Preset 을 사용하거나 미리 저장시켜놓은 User Preset 을 사용할 수 있는 선택 Mode 입니다. Chord Preset 선택은 Combi Mode 에서도 가능합니다. Chord Map ( 코드 맵 기능 ) Preset 외에 원하는 Chord 를 직접 셋팅해서 사용하고자 할때 간단한 조작만으로 코드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Filter 기능을 이용해서 간단히 미리 저장된 Chord Position 을 사용할 수도 있고 MIDI 기능을 이용해서 더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Filter 기능을 이용해서 코드를 선택하면 오른쪽 화면과 같이 Guitar Fret Board 가 함께 보이기 때문에 선택시에 Fret Position 도 확인하여 배치할 수 있습니다. Grooves Mode - Groove Editing & Making Mode ( 그루브 / 리듬 패턴을 만들거나 편집하는 모드 ) Grooves Mode 내에서도 Preset 은 말 그대로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Preset 을 사용하거나 미리 저장시켜놓은 User Preset 을 사용할 수 있는 선택 Mode 입니다. Groove Preset 선택은 Combi Mode 에서도 가능합니다. Groove Edit ( 그루브 에디트 ) Groove Mode 에서 우측 상단에 있는 Groove Browser 에 있는 Edit 버튼을 누르면 Groove 을 원하는데로 만들거나 편집할 수 있습니다. 박스 상하단의 검은 줄이 Strum 방향을 지칭합니다. FX Mode - Basic Effect ( 기본적인 Guitar Effect 를 조절하는 모드 ) Compressor, EQ, Amplifier, Cabinet, Phaser, Chorus, Limiter, Reverb 를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패널이 제공 되는 모드입니다. 각각의 Effect 는 Funk Guitarist 내부의 Kontakt Effect 와 연동되어 작동되게 설정되어있습니다. 아직 Effect 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은 각각의 Effect 상단의 화살표를 누르면 다양한 Preset 도 있습니다. Setting Mode - Basic Function & Credit ( 기본적인 기능과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에 대한 모드 ) Funk Guitarist 를 Main Guitar 로 사용할지 Second Guitar 로 사용할지에 따라서 Phase ( 위상 ) 을 설정할 수도 있고 Input Quantize 를 키거나 끌 수 있도록 기초적인 설정 패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같이 제공되는 Play Along Bass 는 Funk Guitarist 조작을 연습하거나 리듬 연습할때 알아서 Bass Guitar 를 같이 연주해주는 기능입니다. 한번 사용해보시면 ‘ 아~ ’ 하실만한 기능이니 직접 조작해보시면 됩니다.

Posted by The Note
,


경기창작센터에서 2014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를 모집 소식이 올라왔네요 ^_^

예술계쪽에 이런 지원이 아직은 열악하지만 조금씩 늘어가고 있으니 해당사항이 있다고 생각되신다면

지원해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_^


경기창작센터 2014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모집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시작예술분야 / 공연예술분야 / 문학 분야로 총 3개의 지원이 가능한데 아마도 제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은

시각예술과 공연예술 분야 관련되신 분들이실테니 관심가져보셔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_^


조금씩 이런 지원이 더 늘어가길 소망하며 소식 올립니다. ^^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www.gyeonggicreationcenter.org/









경기창작센터 2014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모집 요강

1. 모집 개요

    ○ 모집목적
        ► 예술가의 창작 공간 및 활동 지원 


    ○ 신청자격
        ► 국내외 예술가로 국가, 연령, 성별 제한 없음 


    ○ 모집분야
        ► 시각예술 : 회화, 사진, 조각, 설치, 영화/영상, 뉴미디어, 건축, 디자인, 도예, 공예 등
        ► 공연예술 : 댄스, 퍼포먼스, 음악, 사운드 등
        ► 문학 : 시, 소설, 희곡, 아동문학, 평론 등
            ※ 위에 포함되지 않는 혼합매체와 기타 장르도 지원 가능 


    ○ 모집인원 및 입주기간 : 총 34인/팀 내외
        ► 국내 : 2년 3인/팀 (2014.03-2016.02)
                    1년 19인/팀 (2014.03-2015.02)
        ► 해외 : 3개월 12인/팀 (A. 2014.04-06 / B. 2014.07-09 / C. 2014.10-12 기간 중 택1)
                        ※ 해외 3개월 프로그램 지원은 2013.11.01.부터 11.31까지로 별도 모집함. 


    ○ 모집공고 및 신청서 다운로드
        ► 경기창작센터 홈페이지 (www.gyeonggicreationcenter.org)

2. 신청서 접수

    ○ 접수방법 <국내 프로그램 지원>
        ► 접수기간 : 2013.9.30.(월)~2013.10.31.(목)
        ► 접수마감 : 10.31.(목) 당일 24시까지 도착분에 한함
        ► 접수방법 : 이메일 접수 (gcc.apply2014@gmail.com) ※ 방문접수 불가
                ※ 마감일 근처에 집중되는 지원자들의 온라인 시스템 이용 폭주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접수 기간 내 조기 신청을 권장합니다. 


    ○ 제출서류
        ► 입주신청서 1부 – 소정양식 (홈페이지 다운로드 / 이력 사항, 작업 소개, 활동계획서 포함)
        ► 신분증 사본 / 여권 사본 (해외 지원자)
        ► 포트폴리오 – 디지털 파일로 제출
                <시각예술, 공연예술 지원자>
                    • 이미지 15점 이내, 동영상 5분 이내
                    • 파일 형식 : 이미지 파일은 *.jpg / 동영상 파일은 *.avi
                                ※ 15점 초과 이미지, 5분 초과 동영상은 임의로 선택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임의의 파일 형식으로 제출할 경우 심사 자료에서 제외됩니다.
                <문학 지원자>
                    • 시, 시조 등 운문 - 20편 이상
                    • 소설, 희곡, 동화, 산문 등 - 단편 3편, 중편 2편, 장편 1편 이상
                    • 조사, 연구, 평론집 등 - 10편 이상
                <공통 사항>
                                ※ 첨부 파일 전체 크기의 합은 100MB를 넘을 수 없습니다.
                                ※ 제출된 자료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3. 심사 및 선발 일정

    ○ 선정심사 및 선발일정
        ► 선정방법 : 입주작가 선정 심사위원회에서 결정
        ► 심사절차 : 서류적격심사 → 1차 비공개 서류심사 → 2차 공개 면접심사 (1차 합격자에 한함) → 최종 합격자 발표
        ► 심사일정(예정) :
            • 1차 서류심사 : 2014. 1월 중 예정
            • 2차 면접심사 : 2014. 1월 말 예정
            • 최종 합격자 발표 : 2014. 1월 말 예정
                            ※ 1차 합격자와 최종합격자는 개별 통보 및 홈페이지 공고
                            ※ 2차 면접 시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반드시 소지하여야 함
                            ※ 위 일정은 경기창작센터의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입주 조건 및 지원 사항

    ○ 입주 조건
        ► 주4일 이상 스튜디오 사용 (장기 부재시 사전에 경기창작센터에 알리고 협의해야 함)
        ► 경기창작센터 각종 프로그램 적극 참여 및 사용규칙 준수
        ► 종료시 활동 결과 보고서 제출
        ► 반려동물 및 영유아 체류 불가

    ○ 경기창작센터 지원 사항
        ► 공간 지원
            • 개별 스튜디오 제공 (1인/팀 1실 제공)
            • 공동 창작시설 지원 (공방, 실험전시실, 아카이브실 등)
        ► 프로그램 지원
            • 창작 활성화 프로그램 제공
                    (기획자, 평론가의 작품 활동 어드바이징, 창작 저변 확대를 위한 다분야 강사진의 초청 강의 등 제공)
            • 경기창작센터 내외 전시장을 이용한 작품 발표 기회 제공
            • 국내 및 국제 교류 프로그램 추천
        ► 기타 지원
            • 왕복 항공료(이코노미 기준) 혹은 소정의 체재비 지원 중 택1 (해외 3개월 프로그램 합격자에 해당)
            • 상해보험

5. 지원자 유의 사항

    ○ 아래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입주 취소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제출서류의 내용 중 의도적인 미기입 사항이나 허위 사실이 있는 경우
        ► 경기창작센터의 입주기간 동안 본 기관 이외의 국내외 레지던시(유사기관)에 동시 입주 중이거나 입주할 예정인 경우

6. 문의

    ○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프로그램 담당
            • 전 화 : 032-890-4820~1
            • 이메일 : gcc.apply2014@gmail.com
            • 주 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감로 101-19 (선감동 400-3)







연관된 글 더 보기 ( 관련된 지원 프로그램 및 강좌 / 소식 더 보기 )


Posted by The Note
,


ARKO 에서 2013 ARKO 한국창작음악제를 맞이해서 작곡가 응원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네요. ^^;

이후에도 관련된 지원이 계속 있을 듯 해서 시일이 지났지만 지난 공모전 소식에 올려봅니다. ^_^


ARKO 한국창작음악제 '작곡가, 당신을 응원합니다' Project ( 2013년 9월 25일 마감 )


지원이 필요하신 분은 한번 보시고 기억해두셨다가 다음번에 지원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연관된 글 보기 ( 연관된 각종 지원 프로그램 및 정보 글 보기 )



Posted by The 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