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o One Basic ( 2 ) : MIDI Quantize ( 퀀타이즈 )
DAW 에서 MIDI 레코딩을 하고 나서 연주가 정말 자연스럽게 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실 이후에 Editing 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가장 기본적인 Editing 해야 할 것 중 하나가 입력된 연주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입니다. ^_^
Quantize ( 퀀타이즈 ) 란 오디오나 미디를 일정한 조건에 따라서 정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칭합니다. ^_^
Studio One 의 경우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의 경우엔 Piano Roll / Key Editor ( 피아노 롤 ) 의 Grid ( 그리드 / 기준선 ) 또는 Quantize Option 을 기준으로 MIDI Note ( 미디 노트 ) 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
Studio One 의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는 단순하게는 원하는 MIDI Note ( 미디 노트 ) 또는 Region ( 리전 ) 을 선택하고 컴퓨터 키보드의 [ Q ] 를 누르면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_^
Studio One 은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의 정렬 조건 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_^
Quantize Basic Setting
- Grid Quantize
- Groove Quantize
Quantize Way
- Quantize ( Basic / Default )
- Quantize 50%
- Quantize Notes...
- etc...
* Quantize Basic Setting (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 )
Studio One 에서 Quantize Basic Setting (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 ) 에 따라서 미디 노트, 미디 리전, 오디오 그리고 그외 미디 이벤트들을 Quantize ( 퀀타이즈 ) 할 수 있습니다. ^_^
Quantize Basic Setting (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 ) 은 Main Window 또는 Piano Roll 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Quantize ( 퀀타이즈 ) 기준 설정은 Main Window ( 메인 윈도우 ) 또는 Piano Roll / Key Editor ( 피아노 롤 ) 에 있는 상단에 있는 Quantize 항목을 바꾸거나 [ Q ] 를 눌러서 Quantize Panel 로 들어가서 세부 설정할 수 있습니다.
퀀타이즈 기준 단위 는 박자 단위, Swing 적용값, Triplet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T 라고 붙어 있는 것이 Triplet ( 셋잇단 ) 이고, Swing 이라고 써 있는 것이 Swing 정도입니다. ^_^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 ( Quantize Basic Setting ) 에 대한 기본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_^
단위 설명
1/1 Note ~ 온음표, 2분음표, 4분음표 와 같이 지정한 박자에 맞춰서 Quantize 적용됩니다.
1/4 Triplet ~ 지정한 셋잇단 음표 기준에 맞춰서 Quantize 적용됩니다.
1/8 20% sw ~ 8분 음표 기준 스윙 리듬에 맞춰서 Quantize 적용됩니다.
1/16 20% sw ~ 16분 음표 기준 스윙 리듬에 맞춰서 Quantize 적용됩니다.
1/8 5:4 ~ 5잇단 음표 기준으로 맞춰서 Grid / Quantize 적용됩니다.
1/8 7:8 ~ 7잇단 음표 기준으로 맞춰서 Grid / Quantize 적용됩니다.
한가지 주의 할 점 !!!
Quantize ( 퀀타이즈 ) 를 하게 되면 미디 노트가 위치한 곳에서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 ( Quantize Basic Setting ) 을 따라 이동하게 됩니다. 즉 최소 단위에 맞춰서 퀀타이즈 기준 단위 설정 ( Quantize Basic Setting ) 을 정하지 않게 되면 연주와는 다른 엉뚱한 결과를 얻게 됩니다. ^^
또한 연주된 음악 또는 입력한 음악에 셋잇단 ( Triplet ) 이 있거나 복합 리듬이 있는 경우엔 해당 박자 부분은 제외하고 나머지 MIDI Note ( 미디 노트 ) 를 선택을 한 후 Quantize ( 퀀타이즈 ) 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_^;;; 보통 Quantize ( 퀀타이즈 ) 를 할 때 모든 MIDI Note ( 미디 노트 ) 를 선택을 한 후 Quantize ( 퀀타이즈 ) 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가장 많이 실수가 벌어지는 부분이 셋잇단 ( Triplet ) 과 같이 다른 부분과 퀀타이즈 기준 박자가 다른 경우입니다.
Cubase 는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의 정렬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_^
* Range : 퀀타이즈 범위 조절
퀀타이즈 기준을 정하고 나면 Quantize Panel 에서 Range 옵션으로 퀀타이즈 범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_^
기준 Grid 를 기점으로 % 로 Quantize 가 적용될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_^
* Start / End : 퀀타이즈 기준점 지정
퀀타이즈 기준을 MIDI Note 시작점을 기준으로 할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할 지 정할 수 있습니다.
* Start / End : 벨로시티 퀀타이즈 지정
퀀타이즈 기준을 MIDI Note 의 위치가 아닌 각각의 MIDI Note 들의 Velocity 를 조절하는 용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Cubase 는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의 정렬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_^
Swing ( 스윙 )
Swing ( 스윙 ) 은 Jazz ( 재즈 ) 와 Blues ( 블루스 ) 음악의 바탕이 되는 Groove ( 그루브 ) 이자 근본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다만 이 Swing ( 스윙 ) 을 단순히 Jazz ( 재즈 ) 와 Blues ( 블루스 ) 음악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음악에서, 특히 Soul & Gospel, R&B ( 소울 / 가스펠 / R&B ) 도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가지고 있습니다. ^_^
이런 Swing ( 스윙 ) 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Triplet, Shuffle Rhythm & Swing Groove ( 셋잇단 리듬, 셔플 리듬 & 스윙 그루브 ) 의 차이에 대해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어서 설명을 하고 가겠습니다. ^^
셋잇단 리듬 & 셔플 리듬 ( Triplet & Shuffle )
Shuffle Rhythm ( 셔플 리듬 ) 은 Triple Rhythm ( 셋잇단 리듬 ) 의 가운데 리듬을 쉬거나 연음시켜 연주하면 됩니다.
4 Beat Rhythm 이건 8 Beat Rhythm 이건 기본적인 형태는 동일하기 때문에 Shuffle Rhythm 은 Triplet ( 셋잇단 리듬 ) 에 익숙해지는 것이 먼저입니다. Triplet ( 셋잇단 리듬 ) 에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이후 가운데 리듬을 다른 형태로 발음하거나 작게 말하거나 연주하는 연습을 하면 더 쉽게 Shuffle Rhythm ( 셔플 리듬 ) 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_^
스윙 그루브 ( Swing Groove )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는 크게 2가지 관점을 가지고 이해해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Swing Groove 의 리듬 포인트는 Half Rhythm ( 반박자 ) 와 Shuffle Rhythm ( 셔플 리듬 ) 사이에 위치
일반적으로 Jazz ( 재즈 ) 와 Blues ( 블루스 ) 는 50~80% 정도의 Swing 감을 가지고 연주하며, Soul / Gospel / R&B / Latin ( 소울, 가스펠, 알앤비, 라틴 ) 은 5~20% 정도의 Swing 감을 가지고 연주합니다.
그렇다고 모든 Gospel / R&B / Latin ( 소울, 가스펠, 알앤비, 라틴 ) 음악이 Swing 감이 있는 것은 아니니 오해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_^
셋잇단 리듬 & 셔플 리듬 ( Triplet & Shuffle )
스윙 그루브 ( Swing Groove )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는 크게 2가지 관점을 가지고 이해해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Swing Groove 의 리듬 포인트는 Half Rhythm ( 반박자 ) 와 Shuffle Rhythm ( 셔플 리듬 ) 사이에 위치
Swing Groove 는 고정되어 있기 보다 Flexible Groove ( 유동적인 그루브 )
Swing ( 스윙 ) 이라는 용어는 ‘ 흔들거리다 ’ 라는 뜻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움직일 수 있는 그루브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쉽게 예를 들면 Jazz ( 재즈 ) 를 연주할때 68% 정도의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연주하기 시작했더라 하더라도 곡 끝까지 고정되어서 연주되는 것이 아닌 68% 를 기준으로 ± 5~10% 정도의 유동성을 가지고 연주할 수 있다는 뜻 입니다. 음악에 따라서는 20% 이상의 Swing Groove 의 유연성을 가지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흔하지는 않습니다. ^^
스윙 그루브는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가? ( How to Play Swing Groove ? )
Jazz ( 재즈 ) 나 Blues ( 블루스 ) 를 비롯한 다양한 음악들은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가지고 있습니다. 조금은 친절한 악보의 경우에는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로 연주하라고 표기가 되어 있지만 정확히 어느정도의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로 연주해야 하는지는 표기해주지 않습니다.
좋게 이야기하면 연주자에게 자유도를 주는 것이고 다르게 이야기하면 알아서 잘 연주해주세요 라는 뜻입니다.
Jazz ( 재즈 ) 나 Blues ( 블루스 ) 를 비롯한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가지고 연주해야 할 음악들은 악보를 있는 그대로 연주하면 Jazz ( 재즈 ) 나 Blues ( 블루스 ) 의 느낌이 살지 않습니다. 정박자 ( On Beat ) 는 그대로 연주하더라도 최소한 엇박자 ( Off Beat ) 는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적용해서 조금씩 늦게 연주하는 것이 좋습니다.
Studio One 에서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표현하기
Studio One 에서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표현하는 방법은 20% ~100% 로 조절할 수 있도록 미리 셋팅되어 있는 Swing 값을 사용하거나, Swing Parameter 를 이용해서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Swing Parameter : MIDI Note 의 현 위치에서 Swing 값을 지정 할 수 있는 설정입니다.
다만 Swing Parameter 는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의 정의를 벗어나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Swing Groove 는 정박이 아닌 엇박에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박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_^
Cubase 는 MIDI Quantize ( 미디 퀀타이즈 ) 의 정렬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_^
Advanced Quantize Way : 퀀타이즈 세부 조절
기본적인 퀀타이즈 옵션 외에도 Studio One 에는 다양한 옵션들이 존재합니다. ( Action 버튼 클릭 )
Quantize 50%
Quantize Notes..
Freeze Quantize
Restore Timing
Quantize End
Quantize 50% : 50% 범위에만 Quantize 가 적용되는 설정입니다. ^_^
Quantize Notes : MIDI Note 에만 Quantize 가 적용되는 설정입니다. ^_^
Freeze Quantize : Quantize 를 적용하고 고정시키는 설정입니다. ^_^
Restore Timing : Quantize 가 적용된 것을 되돌리는 설정 ( Undo ) 입니다. ^_^
Quantize End : Quantize 기준점을 MIDI Note 의 끝 지점이 Grid 에 맞춰지도록 하는 설정입니다. ^_^
Studio One 스튜디오 원에는 랜덤 퀀타이즈 기능은 없나요? 사람 느낌 나게...
연주를 미디 녹음 ( MIDI Recording ) 했지만 너무 연주가 딱딱하게 되거나, 퀀타이즈를 하고나면 너무 정형화된 듯 해서 조금은 자연스럽게 틀어지면서 사람 느낌 나는 연주가 되면 좋겠다 싶은 분들 아래의 기능들을 이용해보시면 좋습니다.
Action 버튼을 누른 후 보이는 Quantize 항목에 있는 Humanize 기능을 이용하면 랜덤 퀀타이즈 적용 가능합니다. ^_^
또는 Range 범위를 이용한 Quantize 를 한 후에 활용하는 것도 한가지 응용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_^
Studio one ( 2 ) : Groove Quantize
Groove Quantize ( 그루브 퀀타이즈 ) 란 기존에 주어진 정박자 ( On beat ) 개념의 박자나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외에 나만의 연주나 그루브 조합에 따른 Template ( 템플레이트 ) 를 만들고 싶을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_^
원래 Groove Quantize ( 그루브 퀀타이즈 ) 는 MIDI ( 미디 ) 만을 활용하는 것은 아닌 Audio 와 MIDI 와 조합으로 활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만 Audio 까지 활용하는 기능은 나중에 Audio 편에서 따로 설명하고 우선은 MIDI 편에서 알아 두면 좋은 Groove Quantize ( 그루브 퀀타이즈 ) 에 대한 내용입니다. ^_^
Groove Quantize ( 그루브 퀀타이즈 ) 는 따로 특별한 기능이 있는 것이 아니고 앞에서 다룬 Quantize ( 퀀타이즈 ) 의 기능에 1~2 가지를 더하면 활용할 수 있는 Advanced Tip 입니다.
a. Own Groove Region ( 자신만의 그루브 리전 ) / b. Save Quantize Preset ( 퀀타이즈 프리셋 저장 )
Own Groove Region ( 자신만의 그루브 리전 ) 란 직접 연주한 미디 데이터, 다른 사람의 미디 데이터 또는 Swing ( 스윙 ) 기능 등을 이용해 만든 Unique Groove ( 유니크 그루브, 나만의 그루브 ) 를 MIDI Region ( 미디 리전 ) 을 지칭합니다. ^_^
1. 우선 내 음악의 Groove ( 그루브 ) 의 반복 단위에 맞는 Region ( 리전 ) 길이를 만듭니다.
2. Groove ( 그루브 ) 반복 단위에 필요한 Rhythm Pattern 을 구상합니다.
3. 개별 박자별로 필요한 Swing Groove ( 스윙 그루브 ) 를 만들어주거나 직접 연주로 입력합니다.
4. 만들어진 Groove ( 그루브 ) 반복 단위에 해당되는 Region ( 리전 ) 을 Quantize Panel 에 던져서
내 음악의 Groove ( 그루브 ) 에 맞게 만들어진 Quantize Pattern ( 퀀타이즈 패턴 ) 을 만들어줍니다.
5. 만들어진 Quantize Pattern ( 퀀타이즈 패턴 ) 을 Save Preset 기능을 이용해서 추가해줍니다.
6. Quantize ( 퀀타이즈 ) 를 적용할 악기나 미디 연주에 만든 Quantize Pattern ( 퀀타이즈 패턴 ) 을 적용합니다.
주의 ! 이 경우 내 Quantize Pattern ( 퀀타이즈 패턴 ) 에 분할박이 없는 경우가 있어서 중간 리듬이 이상하게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Catch Range 기능을 이용해서 내 Quantize Pattern ( 퀀타이즈 패턴 ) 에 해당되는 MIDI Note ( 미디 노트 ) 들의 리듬만 일치시켜주고 나머지 부분은 다시 Quantize ( 퀀타이즈 ) 를 따로 적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
내 음악의 Groove 반복 단위에 맞는 Region 만들기
모든 음악이 일정한 Groove ( 그루브 ) 단위를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 음악은 Groove 반복 단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_^
Jazz ( 재즈 ) 처럼 Groove ( 그루브 ) 반복 단위가 큰 경우도 있고 짧게는 1마디의 반복 단위를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2 ~ 4마디 단위의 Groove ( 그루브 ) 반복 단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Pop Music 의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Groove 반복 단위 Rhythm Pattern 구상하기
예를 들면 4/4 박자 리듬 중 2, 4 의 박자에 해당되는 리듬은 14% 정도의 Swing Groove 를 가지고 있고 엇박자는 32% 정도의 Swing Groove 를 가지고, 2번째 마디는 약간의 Variation ( 변화 ) 을 주는 형태의 Rhythm Pattern 을 가정하겠습니다. ^_^
구상한 Rhythm Pattern 을 가진 Groove 반복 단위 만들기
구상한 Rhythm Pattern 을 가진 Groove 반복 단위를 직접 연주해서 입력해도 되고, MIDI Note ( 미디 노트 ) 를 마우스로 직접 입력해서 만들어도 됩니다. 예를 들어서 Swing Groove 값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해서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_^
MIDI Note ( 미디 노트 ) 에 Swing Groove 값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 작은 Rhythm 단위부터 입력하는 편이 좋습니다.
Quantize ( 퀀타이즈 ) 의 Grid ( 그리드 / 기준선 ) 단위를 4분 음표로 바꿔서 2, 4 박자의 Swing Groove 를 적용합니다.
이전에 주의 사항으로 적어 놓았듯이 모든 MIDI Note ( 미디 노트 ) 를 한번에 선택한 후 Quantize ( 퀀타이즈 ) 하는 실수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_^::: 2, 4 박자의 MIDI Note ( 미디 노트 ) 만 선택 후 Swing Groove 를 적용해야 합니다.
2번째 마디의 1,3박을 제외한 나머지 박자에 Action 의 Humanize 를 Ticks 설정해서 Variation 을 만들어줍니다.
꼭 MIDI Transform 의 Humanize 기능을 활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원하는 방식으로 Variation 을 하면 됩니다.
Groove 반복 단위를 Groove Pattern 저장하기
Groove 반복 단위의 구성이 마무리되면 해당 Region ( 리전 ) 을 선택한 상태에서 Main Menu 에 있는 Quantize 를 클릭해서 하단에서 Groove 파트를 눌러서 Groove 부분으로 해당 Region 을 던저넣은 후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하면 됩니다. ^_^
Groove Pattern ( 그루브 패턴 ) 저장은 우측 상단에 있는 A ~ E 영역에서 할 수 있습니다. ^_^
만들어진 Groove Pattern 을 적용하기
Groove Pattern ( 그루브 패턴 ) 를 저장하고 나면 A ~ E 항목에 해당 Groove Pattern 이름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후로는 만들어둔 Groove Pattern ( 그루브 패턴 ) 을 기준으로 원하는 MIDI Region ( 미디 리전 ) 또는 Project 전체에 내가 만들어둔 Groove 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_^
다만 적용할때 주의해야 하는 것은 Groove Pattern ( 그루브 패턴 ) 로 만들어둔 기준 Beat 가 적용할 연주보다 Beat 를 더 나누어 놓았어야 연주에 이상하게 적용되는 일이 없다는 걸 유념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_^^
MPC 나 다른 DAW 의 Groove 도 활용해보세요. ^_^
드럼 머신으로 유명한 MPC 의 Groove MIDI 파일이나 다른 DAW 의 Groove Preset 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팁입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