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TLI Art Center 에서 아마추어 페스티벌 ( 가제 ) 에 참여할 공연 단체를 모집하고 있어 관련 소식 올립니다. ^^


TLI Art Center 는 올해 초 ( 2013년 2월 ) 에 개관한 공연장으로 300석 규모의 공연장이라고 합니다. ^^

2014년 내년 4월 경에 공연을 예정하고 있거나 공연을 하고자 하시는 뮤지션 분들은 공연 단체로 참여해보시면

어떨까 싶어서 관련 소식을 올립니다. ^_^


2014 TLI Art Center 아마추어 페스티벌 : 참여 공연 단체 모집 ( 2013년 12월 2일 마감 )


지원 사항이 Art Center 홍보성 공연 단체 모집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프로를 위한 페스티벌이 아닌 아마추어 페스티벌이니 이정도 무대라면 충분히 참여해보실만 하지 않을까 싶어서요 ^^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쪽에 사항 확인해보시고 참여해보세요 ^_^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www.tliart.co.kr/










2014 티엘아이 아트센터 아마추어 페스티발(가제) 참여 단체 모집


2013년 성남의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개관한 티엘아이 아트센터가 2014년 아마추어 음악인들을 위한 페스티벌을 개최합니다. 음악과 예술을 사랑하고 열정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모집개요
     1) 목적: 아마추어 음악인들의 공연 지원과 교류 활동
                  티엘아이 아트센터의 사회 공헌 활동 
     2) 신청자격: 상업적 활동을 하지 않는 순수 아마추어 음악 동호회 (개인 신청 불가)
                         동호회 결성 후 2년 이상 활동중인 단체
                            ※ 멤버 중 전문(프로) 연주자의 비율이 50%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공연장 규모상 10인 이상의 단체는 연주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
     3) 공연작품: 동호회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작품 (실내 공연)
     4) 공연시간: 40분
     5) 공연일정
            기 간: 2014년 4월 (공연일은 추후 아트센터-단체간 협의) 
            장 소: 티엘아이 아트센터 리더스 브릿지 홀, 티엘아이 사옥 로비, 야외공간
     6) 지원사항
           ① 실비 지원 (교통비, 식대 등 당 페스티벌을 위해 사용한 비용을 단체당 30만원 이내에서 지원, 단체의 규모에 따라 지원금액 상이)
           ② 공간지원 (무대 리허설 외 공연장에서 연습 1회 지원)
           ③ 설비지원 (아트센터 내의 설비를 지원하며 그 외에 외부기기 반입 등의 비용은 단체 부담)
     7) 우대사항: 성남, 용인 지역에 소재한 단체 우선 선발


2. 모집기간 및 신청서류 
     1) 모집기간: 2013년 11월 1일 (금) ~ 12월 2일 (월)
     2) 접수방법: 이메일 접수 (tliart@daum.net)
                         www.tliart.co.kr 에서 양식을 다운 받아 작성 후 접수
     3) 제출서류
           ① 공모신청서 (소정양식)
           ② 연주 또는 연습 동영상, 사진 (동영상은 10분 이내)
     4) 결과발표
           12월 중 아트센터 홈페이지 및 개별 공지


3. 문의 (오전 10시 ~ 오후 6시 30분)
     티엘아이 아트센터 031-759-8500~1 tliart@daum.net







연관된 글 더 보기 ( 관련된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공모전 / 대회 소식 글 보기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제 4회 shopbgm 홈플러스 배경음악 창작공모전 ( 2013년 12월 16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작곡가 주영훈 20주년 기념앨범 편곡 공모전 ( 2013년 11월 15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한국전자음악협회 : Fest-m 2014 작품 공모 ( 2014년 3월 7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2014 작품공모 ( 2014년 2월 3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3 실용음악 영재선발대회 ( 2013년 11월 초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3 동아학생가요제 참가자 모집 ( 2013년 11월 11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아르코 공공예술 아이디어 ( ARKO Public Art Opencall ) 공모 ( 2013년 11월 10일 마감 )


[정보 ( Info )/포럼 및 강연 소식] - 2013 ARKO 국제공연예술 전문가 초청 강연 및 워크숍 ( 2013년 11월 12~15일 )

[정보 ( Info )/포럼 및 강연 소식] - ARKO - 릴레이 예술.기술 강연& 워크숍 ( 2013년 11월 4일 ~ 8일 강연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4년 문화예술진흥기금 공모사업 지원 신청 ( 2013년 11월 20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3~2014 해외 음악 페스티벌 참가 지원사업 공고 ( 2014년 1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3~2014 K-Pop 해외 쇼케이스 개최 지원사업 공고 ( 2013년 12월 27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4 센터 스테이지 코리아 ( Center Stage Korea ) 해외 협력 사업 공모 ( 11월 30일 마감 )


Posted by The Note
,


World Percussion Series 를 판매하고 있는 Evolution Series 에서 Kontakt 기반의 Djembe ( 젬베 ) 가상악기를

한시적으로 무료 ( Limited Time Offer Free ) 로 배포하고 있어서 관련 소식 올려봅니다. ^_^


Evolution Series - Djembe ( 젬베 ) : Limited Time Offer Free ( 한시적 무료 가상악기 )


Djembe ( 젬베 ) 에 대해서는 악기론 강좌 씨리즈에서 다루었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강좌도 같이 읽으시면 더 도움되실거라 생각합니다. ^_^



Djembe ( 젬베 ) 와 같은 Percussion ( 퍼커션 ) 계열은 연주하거나 들을때는 참 소리가 좋은데

녹음해보면 은근 녹음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하시는 분들은 가상악기 한두개 정도 가지고 계신 편이

작업 편의성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받아 놓으시면 도움 되실꺼에요 ^_^


그리고 밑에 소개되는 경로를 통해서 받고 나신 후엔 시간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게 말 그대로 무료로 Djembe ( 젬베 ) 가상악기를 공짜로 받으실 수 있는거랍니다. ^_^


이후에도 무료 가상악기와 플러그인 소개도 계속 올라갈 예정이니 자주 방문해주세요 ^_^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evolutionseries.com/














연관된 글 보기 ( 관련된 미디 시퀀싱 / 미디 믹싱 / 악기론 관련 강좌 보기 )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큐베이스 팁! Cubase Tip - Time Warp ( 기초 / 초보편 ) - 4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기본 사용법 1 ( NI - Kontakt 4 & 5 / 기초편 ) - 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Tip 1 : Purge Mode ( NI Kontakt 4 & 5 Tip 초보편 ) - 6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사용법 - 응용편 1 : AET Filter 기능 ( NI - Kontakt 4 & 5 Advanced ) - 1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킥 드럼 섞어서 사용하기 팁! ( Kick Drum Blending Tip ) - 9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하이햇 섞어서 사용하기 팁! ( Hi-hat Blending Tip ) - 11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리버브 활용 팁! - 리버브 패닝 ( Reverb Tip 1 - Reverb Panning ) - 14번째 강좌


[인터뷰 ( Interview )] - Hot 한 Mixing Engineer 감독님이신 조준성 감독님과의 Interview


[강좌 ( Lecture )/악기론] - Drums set & NI Battery 3 ( 드럼 : 악기론 편 ) - 첫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Bass Guitar & Spetrasonics Trilian ( 베이스 기타 : 악기론편 ) - 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Piano & Basic Stuff ( 피아노 : 악기론 / 추천 악기 ) - 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Guitar & Vst Instruments ( 기타 : 악기론편 ) - 8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Piano & Vst Instruments ( 일렉트릭 피아노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0번째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 1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Cajon ( 카혼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Djembe ( 잼베 : 악기론 & 추천 가상악기편 ) - 16번째 강좌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보고 있으면 행복한 음악 플래시몹들 ( Happy Flash mob )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거리 퍼포먼스 ( Awesome Street Performance ) 는 이정도는 되야하지 않을까요? ^^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마음 한켠이 따스해지는 Short Films 씨리즈 보고 가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클래식과 모던의 절묘한 조화 - 음악으로 감상해보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지난 50년을 한번에 보는 Guitar Riffs ( 기타 리프 ) 모음들 보고 가세요 ^^


Posted by The Note
,


오늘 올리는 강좌는 16번째 강좌편으로 World Instruments - Djembe ( 젬베 : 악기론 & 추천 가상악기 ) 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

 

지난번에 올린 15번째 강좌편에서 다룬 Cajon ( 카혼 ) 과 함께 요즘 버스킹이나 거리 퍼포먼스 하시는 분들이

연주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 Percussion ( 퍼커션 ) 악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악기입니다. ^_^

역할은 Cajon ( 카혼 ) 과 비슷하기 때문에 포지션면에서 많이 겹치지만 Cajon ( 카혼 ) 과는 역사도 배경도 다른 악기입니다. ^_^

 

  World Instruments - Djembe ( 잼베 : 악기론 & 추천 가상악기편 ) - 16번째 강좌

 

연주하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예전에 비해서 조금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된만큼 어떤 악기이고

어떠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악기인지 알고 연주를 본다면 조금 더 깊이 있게 즐길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_^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Let's FL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 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용된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기분 좋은 음악 한곡 듣고 시작할까요? ^_^

 





World Instrument / Latin Percussion - Djembe ( 젬베 ) 오늘은 요즘 오디션 프로그램에서도 종종 볼 수 있고 거리 퍼포먼스나 버스킹을 많이 하는 Singer Song Writer 분들이 자주 다루는 Djembe ( 젬베 ) 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_^ Djembe ( 젬베 ) 는 West Africa Percussion 의 한 종류로 Afro-Cuban / Latin Music 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World Percussion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jembe ( 젬베 ) 는 Jembe, Djimbe, Jimbe, Dyinbe 로 불리기도 하는 West Africa 의 Afro Percussion 입니다. Djembe ( 젬베 ) 는 구조적으로는 절구통 모양의 Body 와 염소 가죽 ( Goat Skin ) 으로 된 상부 북피 ( Head Skin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ody 는 전통적으로는 West Africa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를 속을 파내서 만듭니다. Djembe : Traditional Type ( 전통적인 방식의 젬베 ) West Africa 의 린네, 하리, 트윈보아와 같은 나무를 속을 파내서 Body 를 만들고 상부 북피 ( Head Skin ) 은 염소 가죽 ( Goat Rawhide Skin ) 을 사용한 방식을 지칭합니다. 상부 북피는 경우에 따라서는 염소 가죽 대신 소 가죽이나 산양 가죽과 같은 다른 동물의 가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Tone ( 톤 ) 의 차이나 연주하기에 용이함으로 인해서 염소 가죽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상부 북피 ( Head Skin ) 의 재료입니다. 요즘에는 West Africa 외에도 인도네시아나 여러 지역에서 West Africa 의 전통적인 방식을 흉내내어 만들기도 하지만 나무 재질의 차이로 인한 Tone ( 톤 ) 의 차이가 있어서 연주자들의 선호도의 호불호가 있습니다. Djembe : Modern Type ( 요즘에 많이 볼 수 있는 개량형 젬베 ) 전통적인 방식의 젬베가 Body 를 나무를 파서 만든 방식이었다면 개량형 젬베는 Body 를 PVC 재질이나 화학 섬유와 같은 여러 재질을 이용해서 만든 방식을 지칭합니다. Remo, Meinl, TOCA 등이 대표적인 Modern Type 의 Djembe 브랜드이며 나무를 파서 만든 방식에 비해서 가벼워서 들고 다니기 편하다 보니 많은 연주자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나무의 울림에 비해서 Djembe 의 소리와 울림이 가볍기 때문에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각 브랜드에서 전통방식 젬베도 있습니다. Djembe 의 외형만으로는 전통적인 방식 / 개량형 둘다 비슷합니다. Short History of Djembe ( 간단한 젬베의 역사 ) Djembe ( 젬베 ) 는 요즘엔 거리 공연에서는 다양한 Tune / Style 에 쓰이고 있는 대중적인 악기로 자리잡았지만 원래는 West Africa 의 대표적인 Percussion ( 퍼커션 ) 중 하나로 Afro Cuban / Latin Music 에 주로 많이 쓰이던 악기입니다. Djembe ( 젬베 ) 은 West Africa 의 Mali ( 말리 ) 지역에서 1200 ~ 1300년 무렵부터 등장한 Percussion ( 퍼커션 ) 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Djembe ( 젬베 ) 의 시초에 대한 의견들입니다. 사실 Percussion ( 타악기 ) 이라는 것이 딱 언제부터 등장이다 라고 꼽기 힘든 것이 사실이나 공식적인 등장을 기준으로 1200~1300년 무렵으로 지칭합니다. AD 1200 무렵 Mali Empire 시절부터 Djembe ( 젬베 ) 에 대한 언급을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1200~1300년 정도부터 볼 수 있던 악기라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Djembe 의 악기 이름은 Mali 사람들의 인사말에서 기인했다고 합니다. "Anke djé, anke bé " 라는 Mali 사람들의 인사가 있는데 풀이를 하자면 “ Everyone gather together in peace ( 모두 평화롭게 함께 모이세 ) ”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인사말 중 djé 는 gather ( 모이다 )의 뜻을 가지고 있고 bé 는 Peace ( 평화 )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 두 말의 합성어로 만들어진 것이 Djembe 입니다. Before 1950s ( 1950년 이전 ) Just West Africa Instrument ( 서아프리카의 악기 ) 1950년 이전까지만 해도 Djembe ( 젬베 ) 는 그저 West Africa 의 Percussion ( 퍼커션 ) 의 일종이었지 다른 지역 뮤지션들이 사용하거나 다른 Tune / Style 에 쓰이는 일은 많지 않았습니다. 1950s ~ 60s ( 1950 ~ 60년대 ) From Africa to World Djembe ( 젬베 ) 가 다른 나라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Les Ballets Africains 의 1952 년 유럽 공연을 시작으로 1960년대에 Ballet d'Armee 와 Ballet Djoliba 의 월드 공연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jembe ( 젬베 ) 의 다양한 음악에 쓰일 악기로서의 가능성을 다른 나라 뮤지션들이 접하게 되면서 60년대 이후로 서서히 다양한 Tune / Style 의 음악에 쓰이게 됩니다. The Hippie Movement 60년대에 시작된 히피 문화에 Djembe ( 젬베 ) 로 슬며시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일부의 뮤지션들에게 이동형 악기로 조금씩 쓰이기 시작합니다. 물론 여전히 초기였고 극히 일부의 뮤지션들만 사용하던 악기였기 때문에 히피 문화의 Main Stream 은 아니었습니다. After 1960s ( 1960년 이후 ) U.S. Emigration 60년대 이후로 미국의 이민 정책으로 많은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Djembe ( 젬베 ) 뮤지션들 역시 같이 유입되게 됩니다. 특히 80년대에 Djembe ( 젬베 ) 를 세상에 알리는 역할을 했던 팀들이 해산하거나 팀의 멤버였던 뮤지션들이 미국으로 건너와 가르치거나 뮤지션으로 활동하게 되면서 더욱 많이 알려지게 됩니다. Documentary Film : Djembefola 1991년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Djembefola 는 일반인들에게도 Djembe ( 젬베 ) 를 알리는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Popular Music 대중음악의 각종 Tune / Style 에도 70년 이후로 다양하게 쓰이게 됩니다. 역할은 Drums set 대신 쓰인 경우도 있고 Afro Cuban Percussion ( 퍼커션 ) 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Peter Gabriel, Ben Harper, Paul Simon, Cirque du Soleil 을 비롯한 여러 뮤지션이 음악에 Djembe ( 젬베 ) 를 사용하며 대중적인 악기로 자리잡게 됩니다. Basic Structure of Djembe ( 젬베의 기본적인 구조 ) Traditional Djembe ( 전통적인 젬베 ) 는 일반적으로 나무 속을 파내 만든 Body 에 염소 가죽 ( Goat Rawhide Skin ) 을 덧대여 만든 악기입니다. 어떤 나무 재질을 사용한 Body 인지 가죽의 상태는 어떤지에 따른 소리 차이가 꽤 있습니다. 요즘에는 기계로 나무 속을 파고 겉을 마감하는 경우도 많아서 매끈한 Djembe ( 젬베 ) 를 더 쉽게 볼 수 있지만 사실 전통적인 스타일로 완성된 Djembe ( 젬베 ) Body 의 경우엔 안쪽면을 살펴보면 파낸 흔적이 볼 수 있습니다. 상부 북피 ( Head Skin ) 는 일반적으로 염소 생가죽 ( Goat Rawhide Skin ) 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하나의 Djembe ( 젬베 ) 에 하나의 염소 가죽 ( Goat Rawhide Skin ) 으로 만드는 것이 전통적인 Djembe ( 젬베 ) 제조 방식입니다. 일부 Djembe ( 젬베 ) 의 경우엔 하나의 염소 가죽으로 만들지 않고 자투리 가죽을 이어서 하나의 가죽으로 만들어서 상부 북피 ( Head Skin ) 를 만드는 경우도 있고 Modern Djembe 에선 가죽 대신 합성 피혁을 쓰기도 합니다. Rope / Wire ( 로프, 와이어 ) 로 Djembe ( 젬베 ) 의 Tune 을 조절하게 되어 있어서 Rope 역시 중요한 부분입니다. Basic Rhythm Structure & Playing of Djembe ( 젬베의 기본 리듬과 연주 ) Djembe ( 젬베 ) 역시 Cajon ( 카혼 ) 과 비슷하게 크게는 3가지의 연주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Djembe ( 젬베 ) 의 연주는 Djembe ( 젬베 ) 를 다리 사이에 끼우고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서 있는 경우에도 보조 장비를 착용하고서 다리 사이에 오게끔 해 놓고 연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간혹 Percussion 을 여러개 연주하는 경우에만 보조로 세워두고서 연주하기도 합니다. 연주는 양손을 사용한 연주를 기본으로 하며 Cajon ( 카혼 ) 과 마찬가지로 Brush ( 브러쉬 ) 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Djembe ( 젬베 ) 의 연주는 연주 위치와 손 모양에 따라서 크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인 구분입니다. 상부 북피 ( Head Skin ) 의 가운데 부분을 손바닥을 이용해서 연주하는 것을 Bass ( Bass Tone ) 라고 지칭하며, 손가락 마디 부분을 이용해서 상부 북피 ( Head Skin ) 의 가장 자리 내지는 가운데 부분을 연주하는 것을 Tone ( Open Tone ) 이라고 지칭합니다. 그리고 상부 북피 ( Head Skin ) 의 가장 자리를 손가락 끝부분을 이용해서 연주하는 것을 Slap 또는 Edge 라고 일반적으로 지칭합니다. 용어는 전세계적으로 완벽히 통일된 것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 비슷하게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Djembe ( 젬베 ) 의 연주 방식은 Cajon ( 카혼 ) 이나 Conga ( 콩가 ) 와 기본적으로는 비슷합니다. 리듬적인 구성은 Drums set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각각의 Part 를 마치 Drums set ( 드럼 ) 연주하듯이 연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Cajon ( 카혼 ) 이나 Conga ( 콩가 ) 와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음색 ( Tone ) 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Bass - Kick Drum / Bass Drum ( 킥 드럼 ) Body 의 Bass 부분은 마치 Drum 의 Kick ( Bass ) 처럼 강박 ( S ) 을 연주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Tone - Snare Drum ( 스네어 드럼 ) Tone 부분은 Drum 의 Snare Drum 이 담당하는 약박 ( W ) 을 연주할 때와 같이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Slap / Edge - Hi-hat / Cymbals ( 하이햇 / 심벌 연주 ) Slap / Edge 부분은 Hi-hat 이나 Cymbal 을 연주할때 처럼 분할 박자 ( 8/16 Beat ) 를 연주하거나 Rhythmic Accent ( 리듬적인 강조 ) 를 위해 주로 사용합니다. Djembe ( 젬베 ) 는 혼자 연주할때 보다 서로 다른 2개의 Djembe ( 젬베 ) 를 섞어서 Groove 를 만들때 더 다채롭게 다양한 연주를 만들 수 있어서 2개의 Djembe ( 젬베 ) 로 Rhythm Pattern 을 만들때가 많습니다. Recommended Djembe VST Instruments ( 추천 젬베 가상악기 ) Djembe ( 젬베 ) 를 연주하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만큼 편곡에 넣고 싶은 분들이 많겠지만 Afro Cuban / Latin 계열의 Percussion 은 녹음하기 쉬운 건 아닙니다. 그래서 기존에 나와 있는 다양한 가상악기 중에서 Djembe ( 젬베 ) 의 음색이 잘 녹음되어 있고 연주 / 사용하기에 편하게 되어 있는 몇몇 가상악기를 추천해보았습니다. Native Instruments - West Africa Native Instruments 에서 출시한 Kontakt 기반의 가상악기로 Afro Cuban / Latin Instruments 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는 가상악기입니다. 총 34개의 West Africa 악기를 가지고 있습니다.34개 악기 중 7가지 종류의 Djembe ( 젬베 ) 가 들어 있습니다. 해당 가상악기 구입 및 자세한 관련 사항은 http://native-instruments.com 을 방문하면 자세한 안내가 있습니다. Evolution Series - World Percussion 2.0 Evolution Series 에서 출시한 전세계 각 나라의 Percussion ( 퍼커션 ) 을 모두 모아 놓은 Kontakt 기반의 가상악기입니다. Africa, Asia, Europe, Middle East, South America 의 Percussion 을 모아 놓았고 Africa 의 악기 중에 Djembe ( 젬베 ) 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해당 가상악기 구입 및 자세한 관련 사항은 http://www.evolutionseries.com 을 방문하면 자세한 안내가 있습니다. Best Service - Ethno World 5 Best Service 에서 출시한 전 세계의 Percussion / Voice 를 모아 놓은 Kontakt 기반의 가상악기입니다. Bell Type Inst, Bowed Inst, Gongs & Bowls, Metal Type Inst, World Drum 등 다양한 악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World Drum 파트에 Djembe ( 젬베 ) 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해당 가상악기 구입 및 자세한 관련 사항은 http://www.bestservice.de 를 방문하면 자세한 안내가 있습니다. Evolution Series - Djembe ( 젬베 가상악기 - 에볼루션 씨리즈 ) Evolution Series 중 African Percussion 안에 Djembe ( 젬베 ) 가 총 6 종류가 들어 있습니다. Evolution Series 에서 6 종류의 Djembe 중 하나를 무료로 배포 ( Limited Time Free ) 하고 있는 것이 있어서 같이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원래 Evolution Series 는 5개로 나뉘어져 있는 Kontakt 기반의 Word Percussion 샘플 가상악기입니다. Africa / Asia / Europe / Middle East / South America 지역별로 다양한 Percussion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중 Djembe ( 젬베 ) - 14 inch 하나를 일정 조건하에 한시적 무료 ( Limited Tim Free ) 로 받을 수 있습니다. Single Play Section / Groove Play Section Evolution Series 에서 한시적 무료 ( Limited Time Free ) 로 받을 수 있는 Djembe ( 젬베 ) 는 로딩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붉은 색의 Groove Section 과 파란색 부분의 Single Play Section 으로 나눠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ingle Play Section 은 Bass / Tone / Slap 을 조금씩 다른 소스로 Mapping 해 놓은 것이고 Groove Section 은 Single Play Section 을 이용해서 Evolution Series 에서 다양한 Groove 를 미리 저장해 놓은 것입니다. Tone Control with Mixer ( 믹서 창에서 톤 조절하기 ) Main 패널 창 우측에서 Close / Over Head ( HD ) / Room Mic / FAR ( Ambience Mic ) 를 이용해서 각기 따로 녹음된 소스를 원하는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섞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간이 Mixer 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각의 Mic Setting 별로 Stereo 뿐 아니라 M/S ( Mid / Side ) 로도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Dry 하게 Djembe ( 젬베 ) 소리를 사용하고 싶다면 OH / ROOM / FAR 을 줄여서 사용하면 되고 Wet 하게 Djembe ( 젬베 ) 소리를 사용하고 싶다면 적절히 OH / ROOM / FAR 를 섞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Wet 한 정도를 만들어 갈때에는 OH 를 제일 먼저 더해주고 조금씩 ROOM 과 FAR 를 섞어 가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공간감과 Djembe ( 젬베 ) 소리가 서로 상이하게 떨어지게 들리지 않게 만들어 가기 좋습니다. Single Play Section Mapping Info Mapping 버튼을 클릭하면 Single Play Section 의 각 건반에 어떤 소리가 맵핑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 건반에 Mapping ( 맵핑 ) 된 곳을 바꾸고 싶다면 Key 부분을 누르면 각 소리마다 위치를 바꿀 수 있고 Load 부분을 클릭하면 연주에 사용하지 않는 소리를 아예 메모리에 로딩하지 않게 해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배려하고 있습니다. ( 샘플별 Mapping Position 변경 및 부분 Purge 기능 제공 ) Groove Section Mapping Info MIDIBITS 버튼을 클릭하면 Groove Section 의 각 건반에 어떤 Groove 가 맵핑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Groove 의 Dynamics 은 Modulation Wheel ( 모듈레이션 휠 ) 로 더 세밀하게 컨트롤 할 수도 있습니다. 미리 지정된 Groove 는 녹음된 Audio Source 가 아닌 같이 제공된 MIDI files 에 미리 설정된 Groove 를 Single Play Section 에 맵핑된 Source 를 이용해서 연주하는 것입니다. ( MIDI Grooves 폴더 안에 들어 있습니다. ) MIDI Grooves 안에 있는 MIDI Files 을 DAW 안에 던져 넣으면 ( Import MIDI Files ) 바로 세밀하게 조절하 거나 Grooves 를 원하는데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니 MIDI Files 을 적절히 활용하면 됩니다. Advanced Section Advanced 버튼을 클릭하면 Round Robin / Release Noise / Velocity Curve 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Round Robin ( 라운드 로빈 ) 이란 계속해서 같은 Velocity 로 쳐도 Kontakt 에서 설정된 샘플을 알아서 바꿔가면서 연주하게끔 해주는 기능을 지칭합니다. Full Round Robin ( RR ) 은 10개 / Half Round Robin ( RR ) 은 5개 / Small Round Robin ( RR ) 은 3개의 Audio Sample 을 번갈아가면서 연주해줍니다. 기본 설정은 Half Round Robin 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The 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