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 강좌로는 가상악기이자 Sampler 인 Kontakt 4 & 5 의

Tip 편 중 하나로 Purge Mode 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Purge Mode 란 Kontakt 4 & 5 의 기능으로서 Memory 에 업로드되는 Sample Library Instruments 의 용량을
최적화시킴으
로 조금 더 가볍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실제로 Audiobro LA Scoring 이나 LPC 의 Sample Library 의 경우에는 멀티를 부르면 최대 2.7G 까지
로딩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상당히 부담스러운 건 사실입니다.
이럴때 Purge 기능을 활용하면 더 가볍게 자신의 작업에 최적화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입니다.


컨탁 Tip 1 : Purge Mode ( NI Kontakt 4 & 5 Tip 초보편 ) - 6번째 강좌


이번 6번째 편은 따로 6.5편은 올라가지 않습니다. 이런 기능은 사용하는 사람이 쓰기 나름이니까요 ^^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NI Kontakt ( 컨탁 ) - Memory Problem ( ? ) / Purge Mode  Native Instruments 에서 출시한 Kontakt 이 Sampler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메인 Sampler 임은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메인 Sampler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Sampler 임에도 불구하고 Kontakt 을 불러서 사용해보면 의외로 무겁게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Kontakt 4 & 5 의 경우엔 50 ~ 300 MB 정도의 메모리를 차지하고 같이 로딩된 Sample Library Instruments 의 용량까지 고려한다면 메모리에 로딩되는 비중이 상당함을 알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Kontakt 의 대부분의 Sample Library Instruments 는 Memory 에 로딩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 Kontakt 4 & 5 에서는 이러한 Memory 부분의 부담을 덜고 조금 더 가볍게 사용하기 위해 Purge 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Kontakt 의 Sample Library 상의 Wave 음원을 실제로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중 실제로 사용된 Wave 음원만을 Memory 에 로딩함으로 상대적으로 해당 Sample Library 를 가볍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을 Purge 기능이라고 합니다. ( Purge 는 Kontakt 4 와 5 모두 들어 있는 기본 기능입니다. )


How to use Kontakt Purge Function ( Kontakt 의 Purge 기능 사용하기 ) 일단 기본적으로 Kontakt 에서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부르면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불려진 Sample Library Instrument 의 Wave 음원 전체가 Memory 에 로딩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Kontakt 4 기본 라이브러리 중에서 위의 Grand Piano ( Sample Library ) 는 88건반 전체에 소리를 내기 위해 사용된 Wave 음원의 용량이 81.38 MB 입니다. 그러나 실제 연주때 88건반 전체를 다 연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81.38 MB 전체를 Memory 에 로딩하는 건 Memory / Performance 를 낭비하는 것입니다. 원하는 Sample Library Instruments 에서 Purge 를 마우스로 클릭해서 mini menu 를 띄우서 Purge All Samples 를 클릭하면 Memory 에 로딩된 것이 0 MB 로 바뀌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에 해당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이용한 MIDI note 를 모두 한번 Play 하고 나면 실제 사용된 MIDI note 에 해당하는 Wave 음원만 Memory 에 로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81.38 MB -> 11.23 MB )


여러개의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부른 경우에 각각 Purge 기능을 활성화해도 되지만 한꺼번에 Purge 기능으로 전환할 수도 있습니다. Kontakt 상단에 Purge 메뉴에서 Purge All Samples 를 누른 경우엔 부른 모든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모두 Purge 기능으로 한꺼번에 전환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실제로 Purge 기능을 활용하고나면 대략 150 MB 정도 차지하던 3개의 악기를 16 MB 정도로 실제 사용 Wave 음원만 Memory 에 올려서 사용함으로 조금 더 쾌적하고 가볍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용량은 실제 연주되는 MIDI note 가 많을 수록 늘어나지만 최대치는 원래 용량인 150 MB 정도이기 때문에 굳이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이유는 별로 없습니다. 또한 Purge 기능은 Cubase 5 / 6 나 Logic Pro 의 Track Freeze ( 트랙 프리즈 ) 와는 달리 Purge 기능을 활성화해도 MIDI Editing 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다만 간혹 Purge 기능을 활성화하고서 끝까지 Play 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Mixdown 을 하면 연주되어야할 일부 음이 Mixdown 이 안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Purge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엔 반드시 끝까지 한번은 Play 를 해 주는 것이 혹시나 있을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How to deactivate Kontakt Purge Function ( Kontakt Purge 기능 해제하기 )Purge 기능을 해제하고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원래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엔 Kontakt 상단에 위치한 Purge 기능의 mini menu 에 있는 Reload All Samples 를 누르거나 각각의 Sample Library Instruments 에서의 Purge 기능의 mini menu 상의 Reload All Samples 를 누르면 원래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urge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자한다면 간단히 Purge 기능의 mini menu 상에 있는 Reload All Samples 를 누르면 원래의 Sample Library Instruments 의 용량으로 복귀가 됩니다.

Youtube 에 Kontakt 의 Purge 기능에 대한 영상이 거의 없어서 아래의 영상을 올립니다.
영어가 아니라 알아듣기 어렵겠지만 직접 보여주는 영상이기에 참고만 해 보시고 직접 사용해보세요 ^_^
영상의 11분 정도부터 Kontakt 의 Purge 기능에 대해서 시연해줍니다. 





Audiobro 의 LA Scoring 의 경우에는 기본 기능 자체에 Purge 기능이 들어 있어서
아예 주법별로 Loading / Unloading 을 선택할 수 있게끔 되어 있기도 합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4sAOaOiBSj8

( 퍼오기가 금지되어 있는 영상이라 직접 주소를 올립니다. )



연관된 강좌 글 보기 ( 연관된 미디 시퀀싱 강좌 글 보기 )




Posted by The Note
,


초보분들을 위해서 몇가지 강좌 마련한 것의 5.5번째 편으로 가상악기이자 Sampler 인 Kontakt 4 & 5 의
기본 Library 의 Patch Panel 의 각종 Knob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_^


( 이전 5번째 편을 읽지 않으신 분은 Kontakt 4 & 5 Basic - 5번째 편을 먼저 읽으셔야 합니다. ^_^ )

사실 이번에 올린 4 & 5 Basic 편은 정말 기초편이라 이제 Kontakt 을 처음 만져 보신 분들을 위한
간단한 Guide 에 해당되는 내용이어서 조금이라도 Kontakt 에 대해 아시는 분께는 강좌라는 말이 조금 민망하네요 ^^:
이후에 기회가 된다면 Kontakt
을 Sampler 로 사용하는 방법 / 그외 몇가지 Tip 은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컨탁 기본 사용법 2 ( NI - Kontakt 4 & 5 / 기초편+ ) - 5.5번째 강좌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Using Basic Sample Library Instruments ( 컨탁 기본 라이브러리 활용하기 ) Kontakt 은 추가로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기본 Library 만으로도 음악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한 Basic Sample Library Instruments ( 기본 샘플 가상악기 - Kontakt 4 : 37G / 5 : 25G ) 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Kontakt 4 와 5 의 Library 용량 차이는 악기 / 음색 종류의 차이는 없고 NI 사에서 가상악기 용량을 최적화를 한 결과로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실제 4 와 5 를 위상 반전 시켜보면 사라지지는 않지만 사용상의 음색 차이는 미비합니다. ) Basic Category ( 기본 음색들 종류 ) Band / Choir / Orchestral / Synth / Urban Beats / Vintage / World 각각의 Folder 에는 더 세분화된 다양한 음색 / 악기들이 들어 있습니다. 악기 / 음색을 로딩했을때 각 부분 버튼 / Part 설명 좌측 상단에 있는 것은 악기 / 음색 이름, 그 아래쪽은 순서대로 Output 설정과 MIDI Channel Number 설정입니다. S / M 버튼은 각각 Solo / Mute 버튼이고, 우측 하단에 해당 악기의 Pan / Volume 설정입니다. S / M 버튼은 각각 Solo / Mute 버튼이고, 우측 하단에 해당 악기의 Pan / Volume 설정입니다. Kontakt 내부 Pan 설정은 잘 사용해야 합니다. 잘못 사용하면 소스의 Stereo Image 가 빈약해질 수 있습니다. Aux 는 Kontakt 의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상의 Aux Track 으로 Send 값을 주는 설정입니다. 상단의 여러가지 버튼 중 Solo / Mute / 미세 Tune 조절 / Pan / Volume 의 경우엔 Automation 이 가능합니다.

주요 음색 / 악기 Patch 의 Panel 별 간단한 설명 Band Section 으로 구분된 주요 음색 / 악기 Patch Panel 의 간단한 사용법 및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Patch Panel 의 여러가지 Knob 를 조절함으로 악기의 Tone 을 조절할 수 있는데 Compressor / EQ 의 미세 조정은 좌측 상단에 위치한 [ 렌치 마크 ] 를 클릭 후 내부 패널 중 Insert Effect 에서 조절하면 됩니다.

기본 Patch Panel 에 있는 Comp On / Off 스위치는 Compressor 플러그인을 적용할지에 대한 Switch 입니다. 기본 설정값은 Kontakt 4 - Grand Piano 음색을 기준해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필요하면 조절 가능 ) 우측 상단에 위치한 Sound Knob 의 경우엔 미리 설정된 EQ 값을 적용함으로 Piano Tone 의 변화를 가져오도록 설정되어 있는 Knob 입니다. 쉽게보면 총 10가지 형태의 Piano Preset 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각각의 설정 상태에 해당되는 EQ 값은 아래와 같으며 Insert Effect 에 있는 EQ 가 해당되는 EQ 입니다. 자주 쓰는 EQ Setting 이 있다면 EQ 좌측에 있는 Preset 을 누른 후 Save Preset 을 다시 한번 눌러서 자신만의 Preset 을 저장해 놓고 쓰면 좋습니다. Sound Knob 를 돌려서 Piano 소리의 변화를 들으며 사용하길 권합니다.

Reverb 는 Convolution Reverb 로 기본설정되어 있습니다. ( Convolution Reverb - IR Data 를 사용하는 Reverb )위쪽이 Hall 의 크기나 Reverb Unit 의 종류를 고르는 것이고 아래쪽이 세부 설정 / IR Data 종류입니다. Hall / Room 크기에 따른 구분 Reverb Unit 에 따른 구분 L300 : Lexicon 300 / Bri 7 : Bricast M7 Plate : Plate Reverb ( ex. EMT 140 / 250 ) Master FX 의 EQ 는 우측 상단에 위치했던 Sound Knob 과는 다른 또 하나의 EQ 입니다. Master FX 의 EQ 는3 Band EQ 로 Low / Mid / High 의 기준 Frequency 는 아래와 같은 값을 가집니다.

Bass Guitar / Guitar 의 경우에도 같은 이름의 Knob 는 같은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몇가지 다른 Knob 들이 하는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각 Knob 는 기본적으로는 열어서 확인하면 됩니다.Master FX 의 Cabinet 은 Bass Guitar / Guitar 에 물려서 사용하는 Speaker 와 같이 생각하면 됩니다. 선택 가능한 종류는 총 11 가지이며 Air Knob 는 Cabinet 자체의 Tone 조절이라고 보면 됩니다. 원래 Guitar / Bass Guitar 를 치시는 분들은 안의 각 Plug-in 의 세부 설정을 만지셔서 원하는 Tone 으로 바꾸셔도 됩니다.

Drum Kit 의 경우에는 Part 음색의 소리가 나는 구조가 다른 Band 의 음색 / 악기들과 조금 다르게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Kontakt 은 Battery 의 Drum Kit 이나 다른 Sampler 의 Drum Kit 도 불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rticulation ( 주법 ) / Send Level / Volume Envelope 모두 각각의 음색에 대해서 다르게 셋팅 / 적용 가능합니다.

Orchestra 음색 / 악기의 경우에는 각각의 주법을 선택할 수 있는 Key Switch 가 있습니다. Kontakt 에 들어 있는 Orchestra 음색 / 악기의 경우에는 VSL 의 기본 음색들을 기반하고 있습니다. Articulation ( 주법 ) / Send Level / Volume Envelope 모두 각각의 음색에 대해서 다르게 셋팅 / 적용 가능합니다. 각각의 주법별로 Balance ( 밸런스 ) 를 조절하고 싶으면 원하는 주법을 선택한 후에 옆에 있는 Level / Dynamic Fade / Attack / Release Knob 를 각각 조절해서 Balance ( 밸런스 ) 를 조정하면 됩니다.

Kontakt 4 & 5 Custom Sample Library Tip ( 컨탁 커스텀 킷 관리 팁 ) Kontakt 의 내부 라이브러리나 외부 라이브러리를 Editing 하여서 나만의 Kit 을 만들거나 작업하고 있는 Music 에 맞춰 놨을 경우에 조절해놓은 모든 설정을 하나의 Custom Sample Library 로 따로 저장해 놓으면 다음에도 바로 불러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과 작업을 같이 하거나 여러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 Kontakt 의 버젼에 서로 맞지 않는 경우에 간혹 라이브버리가 제대로 불리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따로 Sample Library 를 저장해 놓는 편이 작업을 위해서도 좋습니다. Save As... - Custom Sample Library 를 저장하기 위해선 File 메뉴에 있는 [ Save as... ] 를 누르면 됩니다. Save As 로 기존에 있는 Sample Library 의 이름 그대로 저장하게 되면 기존 설정을 아예 바꿔 버리는 것이기에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해당 음원 / 악기의 이름을 미리 바꾼 후에 Save As 를 눌러 저장해야 기본 설정과 자신만의 Custom Sample Library 의 Patch 를 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물론 Save As 메뉴창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 아예 계속 설정을 바꾸어놓고 사용하는 거라면 별 상관없지만 다른 곳에서 작업할때나 다른 사람과 공동 작업을 할때 서로 Patch 이름은 같지만 설정이 다른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Project / Music 에 맞춰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본 셋팅은 그대로 두고서 그때마다 Custom Sample Library Patch ( nki )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Save As...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Save as 메뉴 팝업창이 뜹니다. Patch 이름은 기존의 이름과 다르게 적어서 저장하면 됩니다.

Save As... 팝업창에서 3가지 Save Option 이 있습니다. Patch Only - Patch Only 는 Kontakt 4 & 5 Custom Sample Library Patch ( nki file ) 만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Kit Patch 라는 건 Sample Library 의 음원 파일은 제외하고 Custom 한 결과 Patch 만을 지칭합니다. 컴퓨터 이동없이 프로젝트에 쓰인 Custom Sample Library 를 저장해 놓을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부를 때에는 Patch Only 로 저장하는 경우엔 해당 음원이 없으면 불리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음원이 동일하게 들어 있는 컴퓨터일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Patch + Samples - Patch + Samples 은 Custom Patch ( nki ) 외에 음원까지 모두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Patch + Samples 로 저장하게 되면 다른 컴퓨터에 내 프로젝트에 사용된 Sample Library 음원이 없더라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 잦거나 다른 사람과 공동 작업을 하는 경우엔 Patch + Samples 로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Patch + Samples 로 저장하면 nki 파일과 음원 ( Samples ) 이 저장된 Folder 두가지 생성됩니다. 프로젝트 폴더 안에 둘다 넣어 두거나 이동 시엔 Kit Patch 와 Sample 이 저장된 Folder 모두 복사해서 옮겨야 나중에 불러올 수 있습니다. monolith - monolith 는 Patch + Samples 처럼 음원과 nki 모두 저장되기는 하지만 따로 저장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어 저장되는 기능입니다. Save Multi as - 2개 이상의 Sample Library 를 불렀을때 한꺼번에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Kontakt 4 & 5 는 Multi Timbre 를 지원하는 가상악기이자 Sampler 입니다. 그래서 한번에 여러개의 Sample Library 를 부를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을 Save as 로 저장할 수도 있지만 한꺼번에 Multi 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Save as 와 달리 저장되는 파일의 Patch 이름은 nki 가 아닌 nkm 으로 저장됩니다. ( 저장 옵션은 동일 ) Kontakt 4 & 5 은 nkm / nki 로 저장 후 부를 경우 하위 버젼에서 저장한 것은 불리지만 상위 버젼에서 저장한 것은 불리지 않습니다. 그러니 다른 곳에서 공동 작업을 하는 경우엔 상대편의 컴퓨터에 설치된 버젼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의 2개의 Youtube 영상 속 음악은 Kontakt 기본 Library 를 사용해서 만들어졌습니다. ^_^
아래쪽 영상은 Reaktor ( Skanner Plug-in ) 가 추가되었을 뿐 음원은 Kontakt 기본입니다.



연관된 강좌 글 보기 ( 연관된 미디 시퀀싱 강좌 글 보기 )


Posted by The Note
,


5번째 강좌로는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가상악기이자 Sampler 인 Kontakt 4 & 5 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Multi Output 의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후에 Kontakt
4 & 5 을 사용함에 있어서 몇가지 더 자세한 기능과 팁은 이후에 ( 5.5편 - 기초편+ ) 로 올리겠습니다. ^^


컨탁 기본 사용법 1 ( NI - Kontakt 4 & 5 / 기초편 ) - 5번째 강좌


이 강좌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NI Kontakt ( 컨탁 ) Native Instruments 에서 출시한 Kontakt 은 현재 Sampler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Wave Sample 에 기반한 Sampler 입니다. ‘ Wave Sample 에 기반했다 ’ 라는 것은 실제로 녹음한 Wave 파일을 Play 할 수 있는 Player 를 이용해서 소리를 구현한다 라는 것으로 대부분의 Sampler 와 상당수 많은 가상악기는 Wave Sample Player 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Kontakt 은 Sampler Library 를 추가함으로 다양한 여러가지 악기들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Kontakt 기본 Library 안에도 대부분의 악기들이 들어 있지만 더 다양한 주법과 음색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악기별로 Sample Library 를 더 추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본 Sample Library Instruments 구성 ( Basic Sample Library Instruments ) Kontakt 4 와 5 모두 기본 Sample Library Instruments 의 구성은 동일합니다. Band : Drum / Bass Guitar / Guitar / Piano / Organ / Horns Orchestral : Strings / Woodwinds / Brass / Percussion / etc Synth, Choir, Urban Beats, Vintage, World, etc

Basic Sample Library Setting ( 기본적인 Sample Library 설정 / 사용하기 ) Kontakt 기본 Library 는 설치 DVD 로 설치하고나면 기본적으로 설정이 됩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Library 용량이 커서 ( Kontakt 4 : 37G 정도 / Kontakt 5 : 25G 정도 ) 외장하드나 다른 HDD 로 옮기고자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기본 Sample Library 을 옮기고 인식시키고자 할 경우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됩니다. Basic Step : Add Sample Library Instruments ( 음원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 기본적으로 Sample Library Instruments 중 nkc / nkx 파일을 가진 경우엔 Sample Rack 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설치 DVD 로 설치하고 나면 이후 Kontakt 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추가할 것인지 여부를 묻습니다. 혹여나 묻지 않는 경우엔 nkc / nkx 파일이 있는 폴더를 Add Library 를 눌러서 해당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Library Rack 에 추가가 됩니다. ( nkx / nkc 가 없으면 Rack 에 추가할 수 없습니다. ) 2nd Step : Using nki files ( 음원 불러오기 위해 nki 파일 부르기 ) Sample Library Rack 에서 Browser 를 클릭해서 그 안에 들어 있는 [ 음원 Patch - nki file ] 중 원하는 음색을 골라서 사용하면 됩니다. 불러오는 방법은 Double Click ( 더블 클릭 ) 하거나 Drag & Drop 하면 됩니다.

3rd Step : Just using nki files without Sample Library Rack ( 그냥 nki 을 불러서 사용하기 ) 기본적으로 Rack 에 Mount 하지 않고 Sample Library Instruments 를 사용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Loading [ nki ] Patch files in File Browser ( 파일 브라우져에서 nki 파일 불러서 사용하기 ) Sample Library 음색의 Patch 파일인 [ nki ] 파일을 직접 부르는 방법 ( 첫번째 : Double Click ) Loading [ nki ] Patch files in File Browser ( 파일 브라우져에서 nki 파일 불러서 사용하기 ) Sample Library 음색의 Patch 파일인 [ nki ] 파일을 직접 부르는 방법 ( 두번째 : Drag & Drop )

Kontakt 기본 Sample Library 외에 다른 회사의 Sample Library Instruments 는 설치 DVD 로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추가되거나 Add Sample 을 눌러 Folder 를 지정해주면 Sample Library Rack 에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Kontakt 4 의 경우엔 Folder 경로를 지정하는 Option 이 따로 있어서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Kontakt 기본 Sample Library 외에 다른 회사의 Sample Library Instruments 의 경로는 Options / Database 에서 Add 를 눌러서 추가해주면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검색해서 Sample Library Rack 에 추가가 됩니다. nkx / nkc 파일이 없는 경우에도 Database 에서 폴더를 추가해주면 nki 파일을 자동적으로 검색해서 상단에 위치한 Database 에서 이름 또는 악기 종류별로 검색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dditional Basic Setting (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기본 설정 ) Native Instruments 사의 Sampler 인 Battery 와 Kontakt 은 Wave Sample Player 의 기본 설정이 -6dB 로 되어 있습니다. 이런 설정의 의미는 Wave 음원을 Kontakt 이나 Battery 에서 불러오면 원래 음원의 Volume 으로 소리가 나는 것이 아닌 -6dB 만큼 줄어서 소리가 난다는 뜻입니다. 이런 기본적인 설정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Wave Sample Player - Volume Basic Setting : -6dB / 0dB 음원 Wave 를 심거나 기본 Loading 할때 Wave 음원을 Play 하는 기본 Volume 설정입니다. Option / Engine 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6dB 가 기본 설정값입니다. -6dB 로 설정되어 있는 이유는 Kontakt 이나 Battery 의 경우엔 Sampler 안에서 Compressor / EQ 와 같은 Effect 를 사용할 수 있는데 Effecting 을 하고나서 Volume 이 커져서 Clipping 현상 / Distortion 현상 ( Peak 가 떠서 소리의 일그러짐 현상 ) 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서 미리 Headroom 을 설정해 놓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서 외부 Player 에서 해당 음원을 들을 때와 Kontakt 이나 Battery 에서 음원을 Player 할때 질감이 차이나는 것 처럼 들릴 수도 있는데 Volume 이 줄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싫고 Effecting 을 Sampler 안에서 하지 않는다면 0dB 설정으로 바꾸어서 사용해도 됩니다. Basic Keyboard Velocity Setting - Velocity 100 Kontakt 안에 있는 Keyboard 를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소리나는 음원의 기본 Velocity 설정입니다.

Setting Multi Output with Kontakt ( 멀티 아웃으로 컨탁 셋팅하기 ) NI 사의 Kontakt 은 Multi Timber 를 지원하는 Sampler 입니다. 즉 동시에 여러가지 음원의 소리를 내며 Control 할 수 있는 가상악기이자 Sampler 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각각의 음원의 소리를 따로 사용할 수 있어야 Mixing 이나 작업시에 원할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Multi Output 셋팅이 Kontakt 의 경우엔 다른 가상악기와 조금은 다릅니다.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Kontakt 은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불러온 Sampler Library Instruments 에서 바로 외부나 DAW 로 소리가 나오는 것이 아닌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를 한번 거쳐 소리를 내게 되어 있습니다. Audio Signal Routing Structure ( 오디오 신호 경로 구조 ) 불러온 Sample Library Instruments 의 Output 은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의 Output 을 지칭합니다.

How to Set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셋팅하기 ) 제일 처음 Kontakt 의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를 열면 Setting 은 아래와 같이 보일 겁니다. 실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Output 을 더 추가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Kontakt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의 Output 추가 및 삭제는 상단에 위치한 Add Channels / Delete Channel 을 눌러서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Audio Interface 의 Output 이 허용된다면 Kontakt 의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의 Output 은 Stereo Output 16개 / mono output 16개 / Aux Output 4개를 만들어 두는 편이 제일 좋습니다.

Using Multi Output with Kontakt ( 컨탁에서 멀티 아웃풋 사용하기 ) Kontakt 을 Multi Output 으로 사용하려고 하면 목적에 맞는 Kontakt 을 골라서 사용해야 합니다. Cubase 5 / 6 와 Logic Pro 에서 보면 Kontakt 을 부를 수 있는 종류가 몇가지씩 있습니다. 각각의 Kontakt 은 활성화된 아웃풋의 개수( Activated Output ) 를 지칭하는 것입니다. Cubase 5 / 6 와 Logic Pro 에서 사용할 수 있는 Kontakt 의 종류 Cubase 에서는 오른쪽에 보는 것과 같이 Kontakt 5 / Kontakt 5 16out / Kontakt 5 8 out 으로 총 3종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Kontakt 4 이건 5 이건 모두 3종류씩 사용 가능합니다. ) Logic Pro 에서는 오른쪽에 보는 것과 같이 Kontakt 5 mono / Kontakt 5 Stereo / Kontakt 5 5.1 / Multi Output 7가지 형태로 총 10종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Kontakt 4 이건 5 이건 모두 각각 10종류씩 사용 가능합니다. ) Kontakt 뒤에 붙은 숫자나 Output 은 Kontakt 의 Internal Mixer ( 내부 믹서 ) 에서 활성화되는 Output 을 지칭합니다. Cubase 5 / 6 의 경우엔 특별히 Output 을 줄일 것이 아니라면 Kontakt 4 / 5 를 사용하면 모든 Output 이 활성화된 Kontakt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ogic Pro 의 경우엔 목적에 맞는 Kontakt 을 불러서 사용해야 합니다.

How to use Kontakt Multi Output in Cubase 5 / 6 ( 큐베이스 5 / 6 에서 Kontakt Multi Output 사용하기 ) Kontakt 내에서 부른 다양한 음색 / 악기들을 각기 다른 Output 으로 지정해서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각각의 음색의 Output 을 다르게 지정해야 합니다. ( 각 음색의 Output 부분을 클릭해서 각기 다른 Output 으로 지정합니다. ) 각 악기 / 음색의 Output 만 다르게 지정한다고 Multi Output 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Cubase 5 / 6 의 경우에는 VST Instruments Rack 에서 Output 을 더 활성화 해주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VST Instruments Rack 에서 원하는 악기 옆에 있는 Activate Output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Output 을 지정해주면 지정된 Output 은 Cubase 5 / 6 의 Mixer 에서 볼 수 있고 따로 소리가 나오는 Multi Output 으로 설정이 되고 사용 가능합니다.

How to use Kontakt Multi Output in Logic Pro ( 로직에서 Kontakt Multi Output 사용하기 ) 각각의 음색 / 악기가 다른 악기이고 MIDI Sequencing 을 따로 할 것이라면 처음에 New Track 에서 가상악기 트랙을 만들 때 ( Software Instrument ) 부터 Multi-timbral 로 불러야 합니다. ( 만들기 전에 필요한 Track 의 개수를 고민해서 정해도 되지만 미리 16개로 만들고 필요없는 트랙은 지우는 편이 제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여러개의 Track 을 Multi-timbral 로 만들고 나서 어떠한 Track 에서든 I/O 에 Kontakt Multi Output 으로 부르면 New Track 에서 Multi-timbral 로 만들어진 모든 Track 이 하나의 Kontakt 으로 연동 ( Assign ) 됩니다.

Kontakt 을 Multi Output 으로 부르고나서 Mixer 창에서 하나의 설정을 해야만 각각의 Output 에 대해서 Comp, EQ 와 같은 Effect 를 적용해서 Mixing 작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Mixer 창에서 (+)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개수만큼 Output Track 을 추가로 활성화해주어야 합니다. ( 줄일 때에는 (-)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 추가된 각각의 Track 은 기본적으론 Kontakt 의 Internal Mixer 의 Output 과 순서대로 연동이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 추가된 Track 을 mono 로 사용할 경우에는 Track 아래쪽의 00 버튼을 눌러서 변경 가능합니다. 다만 이럴 경우엔 처음부터 Kontakt 을 Multi Track 을 부를 때부터 mono 가 포함된 Multi Output 을 선택해야 합니다.





연관된 강좌 글 보기 ( 연관된 미디 시퀀싱 강좌 글 보기 )


Posted by The 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