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에 올린 Drums set ( 드럼편 ) 과 Bass Guitar ( 베이스 기타편 ) 은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

 

3번째 이어지는 강좌로는 Acoustic Piano - 피아노의 간단한 역사와 Pedal ( 페달 ) 구조와 사용법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_^

 

  Acoustic Piano & Basic Stuff ( 피아노 : 악기론 / 추천 가상악기 ) - 3번째 강좌

 

이번에는 따로 ( 가상악기+ 편 ) 은 올라가지 않고 대신 피아노 가상악기로 추천할만한 것들만 소개해 보았습니다. ^^

피아노 관련 가상악기를 다루는 Tip 같은 것은 굳이 따로 설명할만한게 아니라고 생각해서요 ^^

 

-----------------------------------------------------------------------------------

 

이 강좌 글은 제 블로그와 큐오넷, 미유넷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1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2

Acoustic Piano ( 피아노 ) Acoustic Piano 는 대표적인 ‘ 유건타현 악기 ’ 입니다. 유건타현 악기란 건반에 연결된 Hammer ( 헤머 ) 또는 어떤     장치로 String ( 현 ) 을 때리거나 울려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지칭합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Acoustic Piano 의      형태가 만들어진 것은 300년 정도 전이지만 실제 Acoustic Piano 의 전신이 되는 몇가지 악기를 포함해서 그 역사를     본다면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가진 Instrument ( 악기 ) 입니다. 현재 우리가 통칭 Piano ( 피아노 ) 라고 부르는 Acoustic Piano 의 첫 등장 당시의 명칭은 Pianoforte ( 피아노      포르테 ) 였습니다. 이전에 있던 Acoustic Piano 의 전신이 되는 모델들에 비해서 강약 조절이 조금 더 자유로웠     다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었습니다. Acoustic Piano 의 종류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Grand Piano ( 그랜드 피아노 ) Piano 의 기본형으로 크기에 따라서 Baby Grand Piano ( 1 ) 와 Full Grand Piano ( 2 ) 로 구분합니다. Grand Piano 가 왜 기본형이지 하시는 분이 계실 수 있는데 Piano 의 전신이 되는 Harpsichord, Cembalo 의 형태가 Grand Piano 의 형태였고 Grand Piano 형태의 Piano 가 등장한 이후에       Upright Piano 가 등장했기 때문에 Grand Piano 를 Acoustic Piano 의 기본형이라고 지칭합니다. Upright Piano ( 업라이트 피아노 ) 흔히 Home Piano 라고도 많이 부르는 Upright Piano 는 Grand Piano 와는 달리 작은 규모의 공연장이나 가정에서 연주할 수 있도록 음향판( 공명판 ) 과 현을 세워서 설계를 했다는 뜻으로 Upright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19세기 초반에 가정용, 작은 공연장용으로 등장합니다.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3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4

 



Short History of Acoustic Piano ( 간단한 ‘ 피아노 ’ 의 역사 ) 현재 사용하고 있는 Acoustic Piano 의 원형이 되는 모델은 Cembalo ( 쳄발로 ) 제작자였던 Bartolmeo Cristofori      (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 가 1709년에 만들었던 Pianoforte ( 피아노포르테 ) 라고 일반적으로 꼽고 있습니다. Before Pianoforte Era ( 피아노포르테 등장 이전 ) Hammered Dulcimer 타현악기 형태의 고전 악기로 Dulcimer 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악기가 바로 Piano 의 전신은 아니지만시대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Acoustic Piano 의 출발선으로 볼 수 있기에 소개해봅니다. Clavichord 일반적으로 Piano 의 전신으로 꼽는 2가지 악기 중 하나인 Clavichord 입니다. 16세기 ~ 19세기 초까지 유럽에서 많이 쓰인 유건타현악기로 탄젠트라는 놋쇠막대로 현을 때려 소리를 내던 형태의 건반 악기입니다. 소리가 그다지 크지 못해서 공연장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쓰임새가 줄어들었던 악기이기도 합니다. Superstition ( Stevie Wonder ) 에 쓰인 Clavinet 이 Clavichord 를 현대적으로 개량한 Electric Piano 입니다. Harpsichord ( Cembalo ) Clavichord 와 함께 Piano 의 전신으로 꼽는 악기인 Harpsichord ( Cembalo ) 입니다. 16세기 ~ 18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가장 많이 쓰이던 건반악기로서 Acoustic Piano 가 Hammer ( 헤머 ) 로 String ( 현 ) 을 때리 는 형태의 건반악기라면 Harpsichord 는 Plectrum 으로 현을 튕겨서 소리가 나는 형태의 건반 악기입니다. 강약 표현에 민감한 악기가 아니었기에 이를 개량하고 다른 관점에서 개발한 악기가 바로 Piano 였습니다.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5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6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7

Pianoforte Era ( 피아노 포르테의 시대 ) Bartolmeo Cristofori - Pianoforte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Acoustic Piano 와 같은 형태로 Hammer ( 헤머 ) 가 String ( 현 ) 을 때리는 형태의 Piano 는  1709년 Cembalo ( 쳄발로 ) 제작자였던 Bartolmeo Cristofori (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 가 만들었던 Pianoforte 로 부터 시작됩니다. Gottfried Silbermann - Forte Piano 최초의 Pianoforte 를 만들었던 Bartolmeo Cristofori (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 의 뒤를 이은 이는 Bartolmeo Cristofori (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 의 제자였던 Gottfried Silbermann ( 질버맨 ) 이 1947년에 제작한 Forte Piano 였습니다. 스승인 Bartolmeo Cristofori (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 의 피아노와 차이는 Hammer 의 구현 방식의 차이입니다. Silbermann 의 Forte Piano 는 J.S. Bach 가 왕 앞에서 연주용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유명한 일화를 가진 Piano 이기도 합니다. Johann Andreas Stein - Viennese Forte Piano 독일의 Johann Andreas Stein 이 기존의 Silbermann 의 Forte Piano 를 개량해서 Vienna Style 의 Hammer Action ( 헤머 구현 ) 방식을 만들어내면서 많은 클래식 뮤지션들에게 사랑받은 Forte Piano 입니다. Mozart ( 모자르트 ) 가 사랑한 Piano 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많은 곡을 이 Piano 로 작곡하였습니다.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8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09

Johannes Christoph Zumpe - Square Piano 독일에 Johann Andreas Stein 이 있다면 영국에서는 Johannes Christoph Zumpe 가 기존의 Clavichord 의 개량형에 해당되는 Square Piano 를 만듭니다. Clavichord 의 개량형에 해당된다고 하는 이유는 Hammer Action 의 기본 바탕을 Clavichord 에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Modern Piano Era ( 현대적인 Piano 의 시대 ) Modern Acoustic Piano 현재 사용되는 Acoustic Piano 의 경우엔 Piano Forte 에서 상당히 많은 개량을 거친 Piano 입니다. 우선 1800년대 중반 무렵부터 76~ 88건반으로 건반 수가 늘면서 전체적인 Piano 의 크기가 커졌으며 ( 정확히는   Piano 의 음향판이 커지고 String ( 현 ) 이 길어진 것이 주요 원인 ) Piano Forte 시절에는 없던 Pedal ( 페달 ) 이 생긴 것이 가장 주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상당히 많은 수의 Piano 제조사가 존재  하지만 메인급으로 사용되는 Piano Brand 로는 5개의 Piano 를 들 수 있습니다. 메인급으로 사용되는 Piano Brand 5개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International Frederick Chopin Piano Competition (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쿨 ) 현재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쿨에서 사용되는 Piano Brand 는 다음의 4종입니다. Steinway & Sons ( 스타인웨이 & 선스 ) Bösendorfer ( 뵈젠도르퍼 ) Yamaha ( 야마하 ) Kawai ( 가와이 ) 실제 다수의 앨범 녹음에 사용되는 Piano Brand 많은 Piano 가상악기에서 쓰이는 Piano Brand 그외 다수의 국제 음악 콩쿨에서 사용되는 Piano Brand Steinway & Sons ( 스타인웨이 & 선스 )가장 많은 Pianist 에서 사랑받는 Piano 이자 현재 사용되는 Acoustic Piano 의 기준이 되는 Piano 이기도 합니다. 지금 많은 Piano 가 3줄의 String 으로 하나의 음을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런 방식을 만들어 낸 것과 교차현 방식의 Piano 설계의 선두주자입니다. 또한 현재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Piano 이기도합니다.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10
Acoustic Piano ( 피아노 ) 역사 11

Bösendorfer ( 뵈젠도르퍼 ) 세계 3대 Piano Brand 를 언급하면 항상 빠지지 않는 Piano 로 개인적으로도 상당히 좋아하는 Piano 입니다.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쿨을 비롯한 상당수 많은 국제 콩쿨에서도 Steinway Piano 와 함께 선택 가능한 Piano 중 하나입니다. Yamaha ( 야마하 ) Steinway 와 Bösendorfer 가 Classical Sound 를 많이 가지고 있다면 Modern Sound 를 표현할때에는 Yamaha Piano 를 많이 선택한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위의 2개의 Piano Brand 와 같이 많이 쓰이는 Piano 입니다. 역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쿨을 비롯한 많은 국제 콩쿨에서 기본 Piano 로 쓰입니다. Kawai ( 가와이 )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쿨에서 선택 가능한 기본 Piano 중 하나로 좋아하는 분들은 여전히 많은 선호도를 보이는 Piano Brand 입니다. C. Bechstein ( 벡스타인 ) 한때는 Steinway 와 Bösendorfer 와 함께 세계 3대 Piano Brand 라는 호칭을 듣던 Piano Brand 입니다. 현재는 다른 Piano Brand 들에 밀려서 점유율이나 쓰이는 빈도는 많이 줄었지만 가상악기들이나 실제 앨범 녹음에 많이 쓰이는 Piano Brand 입니다. Fazioli ( 파찌올리 ) 위에 언급한 5개 Piano Brand 들에 비해서 인지도나 점유율면에서는 그다지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지만 특이한 디자인과 높은 가격으로 종종 이슈되는 Piano Brand 여서 같이 소개해봅니다.

Acoustic Piano ( 피아노 ) - 기보법 01
Acoustic Piano ( 피아노 ) - 기보법 02

Acoustic Piano Notation ( 피아노 기보법 ) 피아노 연주를 표기할때 특별한 기보법은 따로 필요로 하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몇가지 사항은 알아야 해서 적습니다. Using Grand Staff ( Grand Staff 를 사용해서 악보 기보 ) Acoustic Piano 는 양손으로 연주하는 건반 악기이기 때문에 악보로 표기할때에는 일반적으로 Grand Staff 를 사용해서 표기합니다. 주로 Treble Clef ( 높은 음자리표 ) 는 오른손 연주를 지칭하고 Bass Clef ( 낮은 음자리표 ) 는 왼손 연주를 지칭합니다. 물론 왼손 연주의 음역대가 올라가거나 오른손과 Cross ( 교차 ) 해서 연주할 경우엔 왼손 연주임에도 불구하고 Treble Clef ( 높은 음자리표 ) 에 표기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Using Pedal Mark ( 피아노 페달 마크의 사용 ) Traditional Sustain Pedal Mark ( 서스테인 페달은 On / Off 를 따로 표기해서 사용합니다. ) - Sustain Pedal On - Pedal Off Modern Additional Sustain Pedal Mark ( 기존 Traditional Pedal Mark 와 병행 표기하기도 합니다. ) Sostenuto Pedal Mark - ( 소스테누토 페달을 사용할때에도 Pedal Off Mark 는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구조 및 페달 ) 01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구조 및 페달 ) 02

About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페달에 대해서 )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Acoustic Piano 가 이전 Piano Forte 와 큰 차이점을 보이는 것은 Pedal 의 유무와 사용입니다. Sustain / Sostenuto Pedal 과 Damper 의 사용으로 String ( 현 ) 의 울림을 조절함으로 음의 길이 / 울림이 달라집니다. Basic Structure ( 피아노의 소리가 나는 기본 구조 ) 기본적으로 Piano 의 건반은 Hammer ( 헤머 ) 와 연결되어 있어서 String ( 현 ) 을 때려서 소리가 나게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Modern Acoustic Piano 의 발달에는 바로 Hammer Action Structure 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또한 Hammer ( 헤머 ) 가 String ( 현 ) 을 때릴때에 같이 움직이는 또 하나의 울림을 제어하는 부품이 Damper ( 뎀퍼 ) 입니다. 평소에 Damper ( 뎀퍼 ) 는 String ( 현 ) 을 잡고 있다가 Hammer ( 헤머 ) 가 String 을 때리거나 Sustain / Sostenuto Pedal 을 밟을 경우에 떨어지거나 원 위치로 돌아가지 않게 제어가 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구조 및 페달 ) 04

Acoustic Piano Strings & Damper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Acoustic Piano 의 경우 초저역대에는 String ( 현 ) 이 하나로 하나의 음을 표현하고 중저역대는 String ( 현 ) 이 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역대 이상은 String ( 현 ) 이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고역대에서는 음의 울림를 제어하는 Damper 가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Damper ( 뎀퍼 ) 는 평소에는 String ( 현 ) 에 닿아 있지만 Piano 건반을 누르면 String 에서 Damper 가 떨어지고 Piano 건반에서 손을 떼면 Damper ( 뎀퍼 ) 가 원위치로 돌아가서 음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어 있습니다. About Piano Pedal ( 피아노 페달에 대해서 ) Acoustic Piano 의 Pedal ( 페달 ) 은 Grand Piano 와 Upright Piano 가 조금 다릅니다. Sustain Pedal / Damper Pedal ( 서스테인 / 뎀퍼 페달 ) Grand Piano 와 Upright Piano 모두 가지고 있는 Pedal 로 제일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밟으면 Piano 의 모든 Damper ( 뎀퍼 ) 가 건반을 누르는 유무와 상관없이 떨어지게 됩니다.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구조 및 페달 ) 05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구조 및 페달 ) 06

Damper Pedal 을 밟으면 음의 길이가 길어지지만 잔향도 더 많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Chord 또는 원하는 음을 누른 후에 Damper Pedal 을 밟는 방식을 취하지만 의도적으로 먼저 밟기도 합니다. Muffler Pedal ( 약음 페달 ) Upright Piano 에만 존재하는 Pedal ( 페달 ) 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uffler Felt 가 평소에는 올라가 있지만 Muffler Pedal ( 약음 페달 ) 을 밟으면 내려가서 Hammer 와 String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서 Hammer 가 바로 String 을 때리지 못하게 만듬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Pedal 입니다. Soft Pedal ( 소프트 페달 ) Upright Piano 의 제일 왼쪽에 위치한 Pedal 로 밟으면 Hammer 가 String 쪽으로 전진하게 됩니다. Hammer 를 움직이게 한다고 해서 Shift Pedal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Hammer 가 String 쪽으로 근접하여서 때리게 되다 보니 같은 Velocity 로 건반을 때려도 Soft Pedal 을 밟지 않을때에 비해서 더 부드럽고 작은 소리가 나게 됩니다. 또한 밟는 정도에 따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Sostenuto Pedal ( 소스테누토 페달 ) Grand Piano 에만 존재하는 Pedal ( 페달 ) 로 가운데 위치하고 있습니다. Damper Pedal ( 뎀퍼 페달 ) 과 달리 Sostenuto Pedal 은 기존에 올라와 있는 Damper 가 건반에서 손을 떼더라도 원 위치로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Damper Pedal 이 전체 Damper 를 띄움으로 음의 길이를 길게 만들고 잔향을 더 조절했다면 Sostenuto Pedal 은 일부의 Damper 만을 띄웠기 때문에 잔향과 울림의 정도가 다르게 됩니다. 쉽게 이해하면 특정 음만 길게 연주하고 나머지 음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Action Shift Pedal / Una Corda Pedal ( 액션 쉬프트 페달 / 우나 코다 페달 ) 건반과 연결된 Hammer 모두를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만들어서 3개의 Strings ( 현 ) 을 모두 치지 않고 일부의 String ( 현 ) 만 Hammer 가 때리게 함으로 소리의 질감과 음량을 제어하는 Pedal 입니다. Una Corda 라는 용어는 One String ( 하나의 현 ) 이라는 뜻입니다.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구조 및 페달 ) 07

 

 

Acoustic Piano Pedal ( 피아노 구조 및 페달 ) 08

How to Play with Pedal in DAW ( DAW 에서 Piano Pedal 사용하기 ) Acoustic Piano 의 Pedaling ( 페달링 - 페달을 밟는 효과 ) 는 MIDI CC Number 를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MIDI CC Number 란 MIDI 로 입력된 Data 에 음의 길이와 음 높이 외에 여러가지 다양한 신호를 주어서 소리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약속된 Number ( 번호 ) 입니다. Sustain Pedal MIDI CC Number 64 번으로 Control 하게 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On / Off 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0 ~ 127 의 값 중에서 0은 Off 설정 ( Pedal 을 밟지 않음 ) 을 지칭하고 127 은 On ( Pedal 을 밟음 ) 을 지칭합니다. Grand Piano 의 경우엔 실제로는 Half Pedal Technique ( Half Sustain Pedal ) 이라고 해서 Sustain Pedal 을 반만 밟아서 음의 길이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가상악기에서는 일부의 가상악기를 제외하고는 Half Pedal Technique 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기본 가상악기 Piano 에서는 On / Off 만을 제공합니다. Sostenuto Pedal MIDI CC Number 66 번으로 Control 하게 되어 있습니다. Soft Pedal MIDI CC Number 67 번으로 Control 하게 되어 있습니다. Soft Pedal 은 밟는 정도에 따라서 Hammer ( 해머 ) 와 Strings ( 현 ) 사이 간격 조정이 됩니다. MIDI CC Number 67 번 값 역시 0 ~ 127 의 값으로 소리의 질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0 은 Soft Pedal 을 밟지 않은 것으로 Hammer ( 해머 ) 와 Strings ( 현 ) 사이의 간격이 가장 먼 상태이고 127 은 Soft Pedal 을 최대로 밟은 것으로 Hammer ( 해머 ) 와 Strings ( 현 ) 사이의 간격이 가장 가까운 상태입니다. 가상악기에 따라서 따로 다른 Pedal 을 Control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1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2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3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4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5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6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7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8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09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10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11
추천 피아노 가상악기 12

Posted by The Note
,


안녕하세요? The Note 입니다. ^_^

 

  2.6 번째 강좌인 Bass Guitar & Spetrasonics Trilian 의 베이스 기타 : 가상악기편+ 으로 계속 이어집니다. ^_^

 

오늘 2.6번째 강좌로는 Bass Guitar ( 베이스 기타 ) 관련 가상악기로 국민 베이스라고 불리우며 많이들 사용하는

Spectriasonics 사의 베이스 가상악기인 Trilian ( 트릴리안 ) 의 톤을 조절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올려봅니다 ^_^

 

( 두번째 강좌는 총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악기론 / Trilian 가상악기편  / Trilian 가상악기편+ )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기본적으로 음악과 장르에 맞는 베이스 기타의 톤을 고르는 방법은 먼저는 맞는 기타를 고르는 것이 우선입니다. ^^

그러나 같은 Jazz Bass 를 고르더라도 음악에 맞춰서 조금 더 조절해야 합니다. ^_^

 

-----------------------------------------------------------------------------------

 

이 강좌 글은 제 블로그와 큐오넷, 미유넷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1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2

Bass Guitar Sound & Tone Control ( 베이스 기타의 소리 조절하기 ) Bass Guitar 를 바로 Direct 로 일반 Speaker 에 연결해서 소리를 들을 수는 없습니다. ( 뭐 억지로 연결한다면 연결해서 연주는 가능하겠지만 Noise 라던가 Bass Guitar 의 Volume 이라던가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 우리가 Concert 나 Album 에서 듣는 Bass Guitar Sound 는 Bass Guitar 를 Amp ( 엠프 ) 와 Cabinet ( 케비넷 ) 에 연결해서 나는 소리입니다. Bass Guitar 자체에도 Pickup ( 픽업 ) 에서 들어오는 Bass Guitar Sound 의 Tone 과 Volume 을 조절할 수 있는 Knob 가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Bass Guitar 자체의 Tone 을 조절할 수 있고 Amp Head 에서 또 한번 Tone 과 Volume 을 조절해서 최종 Bass Guitar Sound 가 결정됩니다. Sound & Tone Control - Trilian 에서도 Bass Guitar 의 Volume 과 Amp 의 Volume 을 따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Main 화면에 있는 Mix Section 에 있는 Amp ( 엠프 ) 는 말 그대로 Amp Head 의 Volume 을 조절할 수 있는 Knob ( 노브 ) 이고 Pickup ( 픽업 ) 은 Bass Guitar 에 있는 Pickup 의 Volume 을 조절할 수 있는 Knob ( 노브 ) 입니다. 또한 Amp Head 에 있는 Tone Control Section 역시 Main 화면에 아래쪽에 있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3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4

Sound & Tone Control in Edit Section ( Edit 섹션에서 Amp 와 Pickup 의 Volume 조절하기 ) Edit Section 화면에서도 Amp Head 와 Bass Guitar 간의 Volume 을 조절하여 Bass Sound 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Edit Section 화면에서 중앙에 위치판 Sound Source 섹션에 보면 돋보기 ( + ) 모양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Sound Source Zoom ( - ) 라는 하나의 창이 뜨는데 이 창에서 Sound Source Mix 부분에 있는 Ampeg Amp 의 Volume Fader ( 볼륨 페이더 ) 와 Direct Pickup 의 Volume Fader ( 볼륨 페이더 ) 를 조절함으로 Bass Guitar Sound 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원래 화면으로 복귀하고자 할때는 ( - ) 클릭 ) 또한 Special Articulations 라는 항목에서는 Release 부분의 Sound 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도를 가지고 일부러 조절해서 사용할 것이 아니라면 Release 를 바꾸면 어색할 수 있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5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6

Trilian Bass Module - Layer Section ( 레이어 섹션 이해하기 ) Trilian ( 트릴리안 ) 을 Bass Guitar 가상악기라고 지칭하지 않고 Bass Module 이라고 부르는 건 Trilian 의 독특한 구조와 여러가지 Bass 음색들 때문입니다. Trilian 은 단순히 Bass Guitar 의 음색만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Wave Table 기반의 가상악기가 아닌 Synthesizer 구조를 가진 Module 이기 때문에 Bass Module 이라고 지칭하는 것입니다. 2 Layer Section - Trilian 은 하나의 Channel 안에 2개의 Layer 를 가지고 있습니다. Trilian 의 각 Channel 안에 2개의 Layer 라는 공간을 가지고 [ 2개의 악기 ] 내지는 [ 2개의 음색 ] 을 불러서 섞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Layer ( 레이어 ) 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이전의 Battery 3 에서 2개의 Cell ( 셀 ) 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해서 2개의 Cell ( 셀 ) 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처럼 Trilian 에서는 2개의 Layer 를 섞어서 사용하면 기존과는 다른 음색을 만들거나 조금 더 디테일한 Bass Guitar 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기본 Fender Bass Clean 주법의 경우엔 Layer A 만을 사용하여 Bass Guitar Sound 를 내고 있는데 Layer B 에 Trilian Acoustic Contra Bass ( Trilian AC ) 를 넣으면 또 다른 느낌의 Bass Guitar 가 됩니다. 2가지 음색의 Balance 는 좌측에 있는 Mix 하단에 있는 A / B 의 Volume Fader 를 이용해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7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톤 조절 ) 08

How to Load Patch in Layer - 각각의 Layer 에 음색을 불러와서 사용하기. Edit Section 화면에서 상단에 위치한 default 부분을 클릭해서 음원을 불러오는 것은 Channel 에 기본 음원을 할당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각각의 Layer 에 음원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Sound Source 라고 써 있는 부분의 그림을 클릭하면 Sound Source Browser 가 뜨게 됩니다. 원하는 Layer 를 먼저 클릭한 후 각 Layer 의 Sound Source 를 바꿔주면 각각의 Layer 에 원하는데로 음원을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ound Source Edit  - Sound Source 의 세밀한 에디팅하기 Sound Source 그림 옆의 ( + ) 버튼을 누르면 더 세밀한 에디팅을 할 수 있습니다. Bass Guitar 의 음원인 경우엔 Amp Head 와 Pickup 의 비율 조절이 되는 것은 위에서도 설명했었지만 Synth Bass 의 경우에는 또 다른 에디팅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엔 Sound Source 그림 옆의 ( + ) 버튼을 눌러서 조절할 수 있게끔 되어 있습니다.

 

Posted by The Note
,


 

안녕하세요? The Note 입니다. ^_^

 

2.5번째 강좌인 Bass Guitar & Spetrasonics Trilian 의 베이스 기타 : 가상악기편으로 계속 이어집니다. ^_^

 

오늘 2.5번째 강좌로는 Bass Guitar ( 베이스 기타 ) 의 간단한 역사에 이어서

Bass Guitar ( 베이스 기타 ) 관련 가상악기로 국민 베이스라고 불리우며 많이들 사용하는

Spectriasonics 사의 베이스 가상악기인 Trilian ( 트릴리안 ) 의 기초 사용법 / 파트 설명법을 올려봅니다 ^_^

 

( 두번째 강좌는 총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악기론 / Trilian 가상악기편  / Trilian 가상악기편+ )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

 

이 강좌 글은 제 블로그와 큐오넷, 미유넷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1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2

Spectrasonic Trilian ( 스펙트라소닉 트릴리안 ) ‘ 국민 베이스 ’ 라는 호칭을 가질 정도로 많은 뮤지션들이 미디 작업에 사용하는 Bass Module 가상악기입니다. Loading Instrument Patch ( 음색 / 악기 부르기 ) 기본적으로 Trilian 을 처음에 띄우면 Default 로 Layer A 에만 ARP 2600 Sawtooth 음색이 로딩되어 있습니다. 음색 / 악기를 고르려면 Edit 하면에서 상단에 있는 Default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하면 Patch Browser 가 띄워지는데 Patch Browser 에서 원하는 음색 / 악기를 골라서 Double Click ( 더블 클릭 ) 하면 간단히 고를 수 있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3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4


How to use Bass Guitar Articulation ( 베이스 기타의 다양한 주법 사용하기 )Trilian 은 Multi Timber ( 멀티 팀버 ) 타입의 가상악기입니다. 즉 동시에 여러가지의 악기나 음색을 연주할 수 있는 가상악기라는 뜻입니다. Multi Timber ( 멀티 팀버 ) 로 Trilian 을 사용하려면 상단에 있는 Multi Channel ( 채널 ) 을 활용해야 합니다. 여러개의 Channel 에 각기 다른 주법을 불러서 사용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1번 Channel 에는 Full Range ( 기본 주법 ) 을 부르고 2번 ~ 8번 Channel 에 Slides ( 슬라이드 ), Harmonics ( 하모닉스 ), X-Notes ( 고스트 음색 ), Staccato ( 스타카토 연주 ) 등의 여러가지 주법을 선택하고 연주에 섞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Multi Channel 을 이용해서 각기 다른 주법을 설정하고 나면 상단의 [ Multi ] 메뉴를 클릭해서 Multi Mixer 로 가서 간단히 주법간의 Volume 을 조절해야 합니다. Mixer 에서 보면 Channel 마다의 Volume 은 Level Fader 를 조절하면 됩니다. 실제로 주법들을 들어보면 어떤 주법은 소리가 너무 튀거나 작아서 조절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Multi Mixer 에서 주법간의 Balance ( 밸런스 ) 를 조절해야 합니다. 그다지 잘 사용은 하지 않지만 혹여나 Battery 3 에서처럼 Output 을 분리해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엔 각 채널의 Output 을 다르게 설정하고 DAW 마다 Output 을 활성화해주어야 합니다. ( Battery 3 강좌 참고 )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5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6

 Cubase 5 / 6   에서 Multi Timber ( 멀티 팀버 ) 가상 악기를 불러서 각기 다른 주법을 입력해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셋팅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F11 을 눌러서 VST Instruments Rack 을 불러서 Multi Timber ( 멀티 팀버 ) 가상악기를 부릅니다. MIDI Track 은 원하는 주법의 개수만큼 만들어서 만들어서 모든 MIDI Track 의 셋팅은 아래와 같이  해당 가상 악기와 연동되도록 설정합니다. 연동은 간단히 왼쪽편에 보면 있는 악기 선택란에서 해당  악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 어찌보면 상당히 번거로운 방법이기 때문에 뒤에서 쉽게 멀티 주법 연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지금 이 방법은 기초적인 설정법 설명이라고 보면 됩니다. ) 사용할 주법에 맞게 각각의 MIDI Track 의 Channel Number ( 채널 넘버 ) 를 변경해주면 됩니다. Cubase 의 경우엔 악기 선택 아래쪽에 있는 숫자가 Channel Number 를 의미합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7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8

 Logic Pro 에서 Multi Timber ( 멀티 팀버 ) 가상 악기를 불러서 각기 다른 주법을 따로 따로 입력해서 사용하고 싶을때 또는 각기 다른 악기로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셋팅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Logic Pro 의 경우엔 처음에 가상악기를 부를 수 있는 Software Instrument Track 을 만들때부터 Multi-timbral 셋팅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불러야 합니다. Multi-timbral 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만든 Track 들은 하나의 가상악기에 연동되어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할 주법의 개수를 미리 고려해서 개수만큼 만들거나 여유분을 미리 만들어 두는 편이 좋습니다. ( 어찌보면 상당히 번거로운 방법이기 때문에 뒤에서 쉽게 멀티 주법 연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지금 이 방법은 기초적인 설정법 설명이라고 보면 됩니다. ) Multi-timbral 셋팅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만든 Track 들에는 어떤 Track 에서건 가상악기 하나를 부르면 나머지 Track 들도 동일한 가상악기로 자동 연동이 됩니다. 다만 각 Track 의 MIDI Channel Number 가 순서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혹시 Channel 을 달리 사용하고자 한다면 왼쪽에서 Track 세부 정보 열어보면 MIDI Channel 설정하는 곳이 있으니 바꿔서 사용하면 됩니다. 각 Track 에 원하는 주법을 나눠서 입력하면 Bass Guitar 의 여러가지 주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로 설명하자면 Clean 에는 일반 주법을 입력하고 Slices 에서는 Slice 주법 입력합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09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0

Multi Timber with One MIDI Track ( 하나의 미디 트랙에서 여러가지 주법 사용하기 ) Multi Timber ( 멀티 팀버 ) 의 가상악기의 다양한 주법을 하나의 Track 에서 사용하기 위해선 Event List 를 활용하면 간단히 하나의 Track 에서 모든 주법을 Control 할 수 있습니다. Event List 란 입력된 MIDI note 의 Data 를 지칭합니다. MIDI note 가 어디서 시작해서 어디에서 끝나고 note 길이는 어떻고 note 의 Pitch 는 무엇인지 MIDI Channel 은 무엇을 사용하는지 등에 대한 Data 를 Event List Data 라고 지칭합니다. 왼쪽의 예시 그림은 Logic Pro 의 Event List 로 순서대로 첫번째에는 MIDI note 의 시작 위치 ( Position ) / 세번째에는 해당 MIDI note 가 사용하는 MIDI Channel Number / 네번째에는 해당 MIDI note 의 Pitch ( 음높이 ) / 다섯번째는 MIDI note 의 Velocity / 여섯번째는 MIDI note 의 음의 길이에 대한 Data (  정보 ) 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Event List 에서 필요한 MIDI note 의 Channel Number ( 채널 번호 ) 만 변경해서 사용하면 쉽게 하나의 MIDI Track 에서 다양한 주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ubase 5/ 6 , Logic Pro 에서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Cubase 5 또는 6 에서 하나의 MIDI Track 에서 다양한 주법 적용해서 사용하기  Trilian 을 부른 후 각각의 Channel 마다 원하는 주법들을 부릅니다. Trilian 이 연동된 MIDI Track 의 Channel Number 를 설정하는 곳에서 [ Any ] 를 선택합니다. Piano Roll 의 상단에 보면 Info Line 이 있는데 원하는 MIDI note 를 선택 후 해당 MIDI note 에 대한 Info Line 에서 Channel Number 를 바꾸면 간단히 주법을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iano Roll 상단에 Info Line 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엔 Piano Roll 좌측 상단에 보면 활성화 버튼이 있습니다. Cubase 5 의 경우엔 버튼만 누르면 되고 Cubase 6 의 경우엔 버튼을 누른 후 선택하면 됩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1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2

  Logic Pro 에서 Multi Timber ( 멀티 팀버 ) 가상 악기를 하나의 Software Instrument Track 에서 사용하기 Software Instrument Track 을 생성하여 Trilian 을 불러 Channel 마다 원하는 주법들을 지정한다. 굳이 Multi-timbral 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만들지 않아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만들어진 Track 의 정보에서 MIDI Channel 설정이 [ ALL ] 로 되어 있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해당 Track 에 원하는 연주의 MIDI note 를 찍은 후 주법을 변경하고자 하는 MIDI note 를 Double   Click ( 더블 클릭 ) 하면 Event List 정보가 뜹니다. 선택된 MIDI note 에 대해서는 Event List 에서도     선택이 되어 있으니 해당 MIDI note 의 Channel Number ( 채널 넘버 ) 만 바꾸면 주법도 바뀝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Piano Roll 상단에 있는 View 메뉴에서 Event Float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Event Float 기능은 지금 클릭한 MIDI Note 의 Event List 정보만을 보여주는 기능으로 바로 바로 Event List 의 정보를 수정해서 입력하기에 가장 용이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3번째 Data 가 Channel 정보이기 때문에 3번째 Data 만 수정하면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할때에는 MIDI Channel Colors 로 보이도록 설정을 바꾸면 Channel Number 가 다른 MIDI note 만 알아보기 쉽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3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4

Multi Patch & Live Mode ( 멀티 패치와 라이브 모드 사용하기 ) Multi Patch 란 각 Channel 별로 다른 주법이나 악기를 로딩한 Patch 를 지칭합니다. 앞에서는 Event List 를 활용한    다양한 주법을 연주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웠는데 이번에는 Live Mode 를 활용한 다양한 주법 연주를 살펴보겠습니다. Multi Patch Loading ( Trilian 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Multi Patch 나 Custom Patch 불러 사용하기 ) Trilian 로고 상단에 있는 default 라고 써 있는 부분을 클릭하면 Multi Browser 가 보이게 되는데 Multi Browser   에서 Trilian 에서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는 Multi Patch 나 Custom Patch 를 불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ulti Browser 에서 Key switch 또는 Split 이라고 되어 있는 Multi Patch 를 더블 클릭해서 부르면 각각의 Channel 에 다양한 주법들이 로딩 ( Loading ) 되고 Key Switch ( 키 스위치 ) 를 사용할 수 있게 기본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5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6

Live Mode & Key Switch ( Live Mode 와 Key Switch 활용해서 다양한 주법 사용하기 ) Live Mode ( 라이브 모드 ) 란 Trilian 를 실시간 연주에 활용할 수 있게 다양한 주법을 몇가지 Key 또는 MIDI CC Number 로 제어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Mode 를 지칭합니다. Key Switch ( 키 스위치 ) 란 건반 중에서   연주에 사용하지 않는 note ( 음 ) 을 주법을 제어 ( On / Off ) 할 수 있게 설정해 놓은 것을 지칭합니다.  위의 파란색 영역은 NI 사의 Kontakt 기본 Library 인 VSL Violin Section 의 Play Range ( 연주 가능 영역 ) 입니다. 그리고 왼쪽 상단의 빨간 색 영역은 왼쪽의 Articulation 그림 에서 볼 수 있듯이 각 note ( 음 ) 들에 주법들을 Change 할 수 있도록 Key Switch 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C0 를 누르고 연주하면 Sustain 주법이 활성화 되고 D#0 를 누르면 Staccato 주법이 활성화되는 것입니다. Trilian 의 Multi Patch 로 부를 경우 역시 이러한 Key Switch ( 키 스위치 ) 를 가지고 있거나 지정할 수 있습니다. Live Mode ( 라이브 모드 ) Section 에서 Key Switch ( 키 스위치 )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ilian 에서 기본으로 들어 있는 Clean Fender Key Switch All 의 Multi Patch 를 부른 후 Live Mode 를 클릭해서 보면 위와 같이 Key Switch 가 셋팅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Cubase 나 Logic 은 Middle C ( 가온다 ) 표기를 Roland 의 기준이 아닌 Yamaha 의 기준으로 C3 라고 표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Live Mode 글자 옆 ( + ) 버튼을 눌러서 Setting 을 들어가서 아래쪽에 위치한 [ Key Select Display Format ] 을 [ C3 is 60 ] 으로 바꿔주어야 위와 동일하게 보일 겁니다. 이 옵션을 변경해주지 않으면 Piano Roll 에서 Key Switch 가 표기된거와 달리 한 옥타브 차이나게 찍어야 됩니다.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7
Trilian 사용법 ( 트릴리안 사용법 ) 18

Using Key Switch with Piano Roll ( 피아노롤에서 키 스위치 사용해서 여러가지 주법 사용하기 ) Piano Roll 에서 Bass Line 을 찍은 후 또는 찍을때 원하는 주법을 활성화하고 싶은 note ( 음 ) 아래쪽에 주법에 해당되는 Key Switch 를 같이 넣어주면 해당 note ( 음 ) Key Switch 에 할당된 주법으로 연주됩니다.개인적으로 저는 Key Switch 보다는 알려 드렸던 Channel Number 를 조절하는 방법을 더 선호합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는 개인의 취향이기 때문에 무엇이 더 편하다라고는 이야기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Key Switch 를 사용하는 경우엔 기존에 지정된 Key Switch 를 외우시고 계시거나 한번 이상은 지정해서 저장해놔야 하기 때문입니다. How to Change Key Switch - Key Switch 지정하기 / 바꾸기 Multi Patch 를 직접 만들었을 경우엔 Key Switch 가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기존의 Multi Patch 일지라도  원하면 Key Switch 를 바꿀 수 있도록 Trilian 에서는 MIDI Note Learn 이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하는 주법에 마우스를 가져다 댄 후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서 Mini Menu 를 띄우면 아래와 같이 MIDI Note Learn 이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메뉴를 누른 후 자신의 건반이나 Virtual Keyboard 에서 원하는 note ( 음 ) 을 누르면 바로 Key Switch 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만 Key Switch 를 지정할때에는 기존의 연주 가능 음역대와 겹치지 않도록 지정해야 연주하는 도중에 뜻하지 않게 주법이 바뀌게 되는 일을 겪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주법을 MIDI CC Number 에 할당해서 Automation 으로 적용하고 싶은 경우엔 MIDI CC Learn 기능을 이용해서 원하는 MIDI CC Number 또는 Outboard 의 Knob & Fader ( 노브,페이더 ) 에 Assign ( 연동 ) 시키면 됩니다. 

 



Posted by The 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