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올리는 글은 ' 추천 Audio Software ' 글로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에 대한 내용입니다. ^^


10년전에 비한다면 요즘에는 컴퓨터 한대만 있으면 음악을 만들 수 있다고 이야기할 정도로 외장 Hardware 의 사용 비율이

많이 줄어 든 것은 사실입니다. ^_^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외장 Hardware 를 아예 안 쓸 수는 없습니다. ^^


특히 보컬 ( Voice ) / 기타는 가상악기나 샘플이 100%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거의 필연적으로 외장 장비를 사용하게 됩니다. ^_^


추천 :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녹음에 사용한 각종 장비들의 연결과 전체적인 셋팅 그리고 각 장비들의 셋팅 값을 적어 두는 것은 사실 기본적인 일입니다. ^^

그런데 Project 의 각종 정보를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서 기록해 두는 건 쉬운 일은 아닙니다. ^^;;;;


이런 상황일때 사용해볼만한 Audio Software 로 써 보시라고 오늘 소개해 보는 프로그램은 Teaboy 라는 프로그램입니다. ^^

개인적으로는 ' Ipad 용이나 어플로도 나오면 참 좋을텐데~ ' 라는 생각이 드는 프로그램이랍니다. ^_^


이 소개 글은 큐오넷, 미유넷 그리고 제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 주세요 )


프로그램 소개 글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용된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자 오늘도 제 글 보시기 전에 음악 한 곡 들고 가겠습니다. ^_^ ( 이 곡은 오늘 소개하는 프로그램과는 상관없습니다. ^^ )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01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02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03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06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07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08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11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12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13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Audio Recall Software ) - Teaboy 14

How to Save Audio Hardware Setting ( 하드웨어 셋팅값은 어떻게 저장하세요? ) Compressor, EQ, Delay, Reverb 등 여러가지 Audio Effect 를 Plug-in 으로 사용할때는 간단히 작업에 사용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ject 를 저장해도 되고 아니면 각 Plug-in 마다 Preset 을 따로 저장할 수 있지만 Audio Effect 를 Hardware 로 사용할때는 Preset 을 저장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번에 동일한 셋팅값으로 다시 한번 녹음을 가거나 아니면 주로 사용하는 셋팅값을 그대로 다시 설정 / 사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Music Production / Recording Project 의 여러가지 설정값을 기록해 두는 것은 필요한 습관 중 하나입니다. Using Audio Hardware & Environment ( 사용한 장비와 환경 ) 해당 Project 에 어떠한 장비 ( ex. Mic, Console, Cable ) 를 사용했으며 어떠한 환경에서 녹음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적어 놓는 것은 자신만의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는 첫번째 Step 이자 다음번에 동일한 Project 작업을 이어갈때 필수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Audio Signal Routing ( 오디오 연결 경로 및 설정 ) Project 에 사용한 각각의 장비는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었으며 Console ( 콘솔 ) 의 경우엔 Internal Signal ( 내부 경로 ) 은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했는지를 적어 두는 것 또한 기초적인 작업입니다. Audio Hardware Setting ( 사용한 장비의 설정값 ) 하나의 Project 를 며칠에 걸쳐서 이어서 작업할때에는 각각의 Hardware 의 셋팅값을 유지하는 것만큼 중요한 요소는 없습니다. Audio Hardware Setting 값을 직관적이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 그리고 다음번 작업때 바로 불러낼 수 있는 ( Recall ) 작업은 쓸데없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Audio Hardware Effect 를 사용할때 사용하면 좋을 Audio Recall Software 를 소개할까 합니다. ^_^ Audio Recall Software ( 오디오 리콜 소프트웨어 ) 가 뭐지? Audio Recall Software 란 다양한 Hardware 들과 작업 환경 자체를 저장해놨다가 필요한 상황에서 그때 그때 불러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칭합니다. ^_^ 요즘에 많이 사용하는 각종 Hardware 에서부터 Legend 급의 Hardware 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종들의 셋팅을 기록할 수 있도록 다양성이 지원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런 류의 프로그램 중에서 Teaboy ( 티보이 ) 의 경우엔 제가 아는 대부분의 장비들이 다 들어 있어서 작업하면서 그때 그때마다 작업 기록하기에 편해서 다들 써 보시라고 소개해 봅니다. ^_^ Teaboy 사용에 있어서 기본적인 전제 조건 Teaboy 는 반드시 Internet 접속이 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Audio Recall Software 입니다. ^_^ Mac / Windows / Linux 모두 다 지원하며 설치 프로그램 용량은 2MB 정도인 가벼운 프로그램입니다. ^^ 2013년 10월 23일 기준 ( Teaboy 1.5 version : 2MB / Mac 버젼 기준 ) 본인 컴퓨터에 Java 최신 버젼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혹시 최신 버젼의 Java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www.java.com/getjava/‎ 에서 무료로 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_^ ) Teaboy 프로그램 Teaboy 프로그램 자체는 무료이지만 Print / Save 기능은 유료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회원 종류는 Basic / Standard / Pro 로 나뉘어지며 Basic 은 무료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만 Print / Save 에 기능적인 제한이 있습니다. Standard / Pro 회원은 기능적인 제한은 없지만 저장할 수 있는 Project / Song 의 수가 차이가 있습니다. Standard 회원은 총 10 곡에 대한 Project 를 저장해 둘 수 있고 Pro 회원은 곡의 개수 제한이 없습니다. Standard 회원 : 월 $9.99 ( 6개월 $40 ) / Pro 회원 : 월 $19.99 ( 6개월 $95.94 ) Do I have to Pay ? ( 흠... 돈을 내야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요? ) Basic 으로 사용해도 되고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Gear Recall Sheet 만 사용해도 됩니다. ^_^ Gear Recall Sheet ( 장비 리콜 시트 ) 가 뭔지 모르겠는데 뭔 소리인가 싶으신 분들 많이 계실 듯 한데 이후 소개 글을 한번 주~~~욱 보시면 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_^ 그냥 편하게 한번 소개 글 읽어보시면 됩니다. 한가지.... 저 이 프로그램 제조사와 아무 상관없습니다. ^^;; 그저 좋은 프로그램이기에 소개하는 거랍니다. ^^ Teaboy 프로그램 다운 및 홈페이지 가입 프로그램은 Teaboy 홈페이지 ( https://www.teaboyaudio.com/ ) 의 상단 Product 메뉴 안에 있는 Download 로 가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_^ 회원 가입을 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받을 수 없으니 Download 페이지 하단에서 간단히 가입하면 됩니다. 2013년 10월 24일 현재 Teaboy 프로그램은 1.5c 버젼이 최신 버젼입니다. ^_^ 등록하신 후 로그인 하시면 Program Download 할 수 있는 페이지로 갈 수 있는 링크가 보입니다. 사실 Teaboy 가 처음부터 유료는 아니었습니다. 2003년에 처음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을 당시에는 무료였지만 점점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요청되어지는 Gear ( 장비 ) 들이 많아지다보니 유료로 전환된 거랍니다. ^_^ 현재는 총 1030여개 이상의 Gear 의 Recall Sheet 및 셋업을 제공하고 있기도 하니까 유료일만하죠. ^^ 또한 2008년에는 AES / Pro Audio Review Award 에서 2008 PAR Excellence Award 를 수상하기도 했었답니다. Teaboy 프로그램 시작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 총 4개의 Section 으로 나누어서 각종 Project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_^ 1. Info ( 기본적인 Project 에 대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 ) 2. Patches ( 연결된 Patch 들의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 ) 3. Console ( 콘솔의 각 채널에 정보에 대해 입력할 수 있는 항목 ) 4. Gear ( Project 에 사용한 각 장비들의 셋팅 값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 ) Info ( 인포 ) Artist 이름, 날짜, 세션 제목, 녹음 스튜디오, 곡 제목, 사용한 콘솔 이름과 같은 기본적인 Project 의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하단부에 Notes 라는 메모 항목이 있기 때문에 특이 사항이라던가 기타 사항은 하단부에 기록하면 됩니다. ^_^ 개인 작업이든 외부 의뢰로 하는 작업이든 아니면 전문적인 Recording Studio 에서든 Project 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은 조금은 귀찮은 일이 될 수 있겠지만 그만큼 작업의 밀도를 높일 수 있고 자신만의 Knowhow ( 노하우 ) 를 기록해 갈 수 있는 한 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Patches ( 패치 ) Patchbay / 케이블 연결이나 기기 연결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Patchbay 란 Studio 에 사용하는 많은 장비들을 연결하기 쉽도록 중간에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아래 사진과 같은 장비입니다. ^_^ Console ( 콘솔 ) Console 의 각 Channel 에 어떤 장비가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Mic 는 어떤 마이크를 사용해서 셋팅했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Project 전체 셋업을 기록하는 항목입니다. Insert / Send 에 대한 항목이라던가 기본적인 Label 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도 기록해 둘 수 있습니다. 특히 하나의 Project 녹음이 하루에 마무리되지 않고 며칠에 걸쳐서 진행될 때에는 Console ( 콘솔 ) 과 Patches ( 패치 ) 에 대한 기록은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_^ Gear ( 장비 ) Teaboy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Gear ( 장비 ) 파트 때문입니다. Gear ( 장비 ) 파트 상단에 있는 + Gear ( 장비 추가 하기 ) 항목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장비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뜨게 됩니다. 요즘 Studio 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Gear ( 장비 ) 들이 다 있으며 심지어 Guitar Effect 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하는 장비를 리스트에서 골라서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장비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_^ 추가된 장비 사진은 그저 그림이 아니고 각각의 Knob ( 노브 ) 와 Button ( 버튼 ) 은 실제와 똑같이 조절됩니다. ^^ 실제와 거의 똑같이 생긴 각 장비들의 그림을 보면서 내가 셋팅한 장비의 셋팅 값을 그대로 각각의 노브를 돌려서 직접 그대로 입력해 둘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직관적이고 빠르게 Gear Setting 값을 기록해 둘 수 있습니다. ^_^ 또한 유료 회원으로 이용하지 않더라도 Teaboy 홈페이지 상단 Features 항목에 있는 Gear List / Recall Sheet 에 가면 1065 개 장비들의 Recall Sheet ( 장비 셋팅 화면 기록지 ) 를 PDF 로 무료로 다운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엔 거의 DAW 로만 작업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Teaboy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잘 못 느끼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 듯 합니다. ^_^ 하지만 Studio 녹음을 가시거나 Project 에 외장 Hardware 를 사용하시게 되면 각 장비들의 셋팅을 기록해 놓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시게 될 거랍니다. ^_^ Teaboy 프로그램이 언제나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기억해 두셨다가 필요하실 때 사용하시라고 올려봅니다. ^^ Written by The Note




연관된 글 보기 ( 관련된 미디 시퀀싱 / 미디 믹싱 / 악기론 관련 강좌 보기 )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큐베이스 팁! Cubase Tip - Time Warp ( 기초 / 초보편 ) - 4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기본 사용법 1 ( NI - Kontakt 4 & 5 / 기초편 ) - 5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Tip 1 : Purge Mode ( NI Kontakt 4 & 5 Tip 초보편 ) - 6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시퀀싱] - 컨탁 사용법 - 응용편 1 : AET Filter 기능 ( NI - Kontakt 4 & 5 Advanced ) - 1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킥 드럼 섞어서 사용하기 팁! ( Kick Drum Blending Tip ) - 9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하이햇 섞어서 사용하기 팁! ( Hi-hat Blending Tip ) - 11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미디 & 믹싱] - 리버브 활용 팁! - 리버브 패닝 ( Reverb Tip 1 - Reverb Panning ) - 14번째 강좌


[인터뷰 ( Interview )] - Hot 한 Mixing Engineer 감독님이신 조준성 감독님과의 Interview


[강좌 ( Lecture )/악기론] - Drums set & NI Battery 3 ( 드럼 : 악기론 편 ) - 첫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Bass Guitar & Spetrasonics Trilian ( 베이스 기타 : 악기론편 ) - 2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Piano & Basic Stuff ( 피아노 : 악기론 / 추천 악기 ) - 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Acoustic Guitar & Vst Instruments ( 기타 : 악기론편 ) - 8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Piano & Vst Instruments ( 일렉트릭 피아노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0번째

[강좌 ( Lecture )/악기론] - Electric Guitar & Vst Instruments ( 일렉기타 : 악기론편 ) - 13번째 강좌

[강좌 ( Lecture )/악기론] - World Instruments - Cajon ( 카혼 : 악기론 & 가상악기편 ) - 15번째 강좌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보고 있으면 행복한 음악 플래시몹들 ( Happy Flash mob )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거리 퍼포먼스 ( Awesome Street Performance ) 는 이정도는 되야하지 않을까요? ^^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마음 한켠이 따스해지는 Short Films 씨리즈 보고 가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클래식과 모던의 절묘한 조화 - 음악으로 감상해보세요 ^_^

[이런 저런 이야기들/음악 관련 이야기] - 지난 50년을 한번에 보는 Guitar Riffs ( 기타 리프 ) 모음들 보고 가세요 ^^


Posted by The Note
,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2014 센터 스테이지 코리아 ( Center Stage Korea ) 해외 협력 사업 공모를 진행하는 것이 있어서 소식 올립니다.


해외에 전략적으로 진출을 원하거나 해외에 공연 계획이 있으신 뮤지션 분들은 관련 사항을

확인하셔서 지원해보시면 많은 도움 받으실 수 있을 듯 합니다. ^_^


2014 센터 스테이지 코리아 ( Center Stage Korea ) 해외 협력 사업 공모 ( 2013년 11월 30일 마감 )


기본적인 지원 영역은 [ 한국공연단체의 해외 항공료와 화물운송료의 전액 또는 일부 ] 이고

그외 사항은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협의해보셔야 할 듯 합니다. ^_^


해외 공연은 반드시 2014년 3월 ~ 12월 사이의 공연이라고 하니 계획 중이신 분은 차근 차근 준비하셔서 지원해보세요 ^_^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www.gokams.or.kr/main/main.aspx










2014 센터스테이지코리아 (Center Stage Korea 2014) 해외협력사업 제안서를 공모합니다.

 

 I. <센터 스테이지 코리아> 사업은?


  센터스테이지코리아는 한국 공연예술의 전략적 해외진출 및 유통활성화를 위하여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세계 각국의 주요 공연장 및 축제등과 공동으로 <한국특집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재)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센터스테이지코리아는 해외 축제, 공연장, 네트워크  와 협력하여 한국공연예술의 국제무대진출지원을 목적으로 합니다.

 

II. 개 요


i. 자 격

  한국 공연 단체 및 예술가의 초청 공연을 기획하는 해외 축제, 공연장, 네트워크는 사업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한국 공연예술가/단체가 두 개 이상의 공연장 또는 축제에서 투어하는 사업, 또는 한 개의 공연장 또는 축제에서 복수의 한국 공연예술을 프로그래밍하는 사업이 신청 가능합니다.

 

ii. 사업기간

  사업은 2014년 3월부터 12월 중 개최되어야 합니다.

 

iii. 기금지원 조건

   예술경영지원센터는 한국공연단체의 해외 항공료와 화물운송료의 전액 또는 일부를 지원함. 지원결정금액을 초과하는 경비는 해외초청 측 또는 한국공연단체 측에서 부담하여야 함. 지원금은 한국공연단체에게 직접 교부됨

   선정된 사업의 해외주최측과의 협의에 따라,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워크숍, 레지던시, 커뮤니티 교류 등 관련 프로그램을 위한 예산을 편성할 수 있음

  선정된 사업의 해외주최측은 사업 종료 이후 한 달 이내에 예술경영지원센터에 사업 결과를 보고할 의무가 있음

 

iv. 선정 기준

프로젝트의 실현가능성과 효과성

한국공연예술 인지도 제고를 위한 기획의 효과성

해외 초청 측의 기여도: 예술적/경제적 측면에서 한국공연단체에게 기여하는 정도

 

v. 기 타

한국공연단체에게 개런티를 지급하지 않는 사업, 또는 한국의 타 지원기관(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교류재단 등)으로부터 지원 받는 사업

 공연 외 워크숍, 커뮤니티 교류행사 등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을 함께 기획하는 것을 권장함

 

III. 사업 제안서 제출


i. 제출 서류

 사업제안서 (예술경영지원센터 양식)

 해외주최측의 관심사 및 과거 경력 기술

 재정안정성을 보여주는 예산 계획안

 기타 프로그램북, 영상자료 등 선택 제출

 

ii. 제출 마감일

2013년 11월 30일 (토) 까지 yunforarts@gokams.or.kr로 제출

 

IV. 제출 이후 일정


예술경영지원센터는 12월 중, 예술경영지원센터 웹사이트와 개별 공지를 통하여 최종선정사업을 발표합니다.

이후 예술경영지원센터와 선정사업 해외파트너는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하게 됩니다.

  

V. 문의 / 연락처


김윤경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국제사업부 시장개발팀

Tel. +82 (0)2 708 2278

Fax.+82 (0)2 708 2243

E-mail. yunforarts@gokams.or.kr









연관된 글 더 보기 ( 관련된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공모전 / 대회 소식 글 보기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제 4회 shopbgm 홈플러스 배경음악 창작공모전 ( 2013년 12월 16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작곡가 주영훈 20주년 기념앨범 편곡 공모전 ( 2013년 11월 15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웨신 찬양신학교 - 제 1회 청소년 성가 경연대회 ( 2013년 10월 26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3 실용음악 영재선발대회 ( 2013년 11월 초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3 청송사과축제 - 전국 대학생 가요제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제 11회 JoinHAND - 청소년 가요제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4년도 부천문화재단 상반기 어린이공연 공모 ( 2013년 11월 8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포럼 및 강연] - 한양대 - 톤마이스터 워크샵 ( Tonmeister Workshop ) - 클래식 음악 녹음의 이론과 실제

[정보 ( Info )/각종 포럼 및 강연] - 예술가의 집 - 2013 문화예술 / 저작권 교육 강연회 ( 선착순 신청 마감 )

[정보 ( Info )/포럼 및 강연 소식] - 예술경영지원센터 - 커넥션 살롱 토크 KAMS Connection ( 2013년 10월 28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경기창작센터 2014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모집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고양문화재단 '2014 고양 공연예술제' 지원 공고 ( 2013년 11월 08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4년 문화예술진흥기금 공모사업 지원 신청 ( 2013년 11월 20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신진예술가 양성프로젝트 Rising School 참여작가 모집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년 예술강사 지원사업 - 강사 모집 공고 ( 11월 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3~2014 해외 음악 페스티벌 참가 지원사업 공고 ( 2014년 1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3~2014 K-Pop 해외 쇼케이스 개최 지원사업 공고 ( 2013년 12월 27일 마감 )


Posted by The Note
,


예술경영지원센터 ( KAMS ) 에서 커넥션 살롱 토크 ( Connection Salon Talk ) 강연이 있어서 소식 올립니다. ^_^

요즘엔 아티스트들의 해외 활동에 대한 여러가지 정부 지원이나 각 단체의 지원 소식이 많이 있네요 ^^


예술경영지원센터 - 커넥션 살롱 토크 KAMS Connection ( 2013년 10월 28일 마감 )


공연 예술 분야쪽 종사하시는 분들과 해외 활동에 관심 있으신 아티스트분들은 신청하셔서 토크 게스트 분들의 강연도 들으시고

관련된 이야기도 자유롭게 질의문답을 통해서 더 나누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_^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 신청하셔서 참여해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www.gokams.or.kr/main/main.aspx








커넥션 살롱 토크

Connection Salon Talk

'커넥션사업 참가자들이 들려주는 국제교류 이야기‘

 

예술경영지원센터는 국제교류에 관심이 있는 2~3년 경력의 기획자 등 공연예술분야 종사자들을 모시고 커넥션사업(KAMS Connection) 참가자들의 해외 리서치 및 국제협업 진행과정과 그 후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커넥션 살롱 토크’를 진행합니다

‘커넥션 살롱 토크’는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미리 경험해 본 토크게스트들의 사례를 공유하고 참석자와 자유롭게 질문과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입니다.  10월 29일 화요일 저녁, 커넥션 살롱 토크의 네 번째 시간에 국제교류에 관심 있는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PROGRAM

▶커넥션 살롱 토크는 매회 두 분의 토크게스트를 모시고 국제협력 프로젝트 사례를 들어본 후, 참석자와 자유롭게 질의응답 할 수 있는 시간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번 ‘커넥션 살롱 토크’에서는 국제협업을 위한 ‘리서치’를 주제로, 영국과 독일에서 각각 ‘아티스트 인큐베이션’과 ‘연극’을 주제로 진행되었던 현지 리서치 프로그램의 참가사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19:00~ 20:30

2012 한-영 커넥션: 공연예술 교류 프로그램

리서치주제: 아티스트 인큐베이션

토크게스트:

[김요안/ 두산아트센터 수석프로듀서]

2013 한-독 커넥션

리서치주제: 연극

토크게스트:

[이경성/ 크리에이티브 VaQi 대표]

 Q&A          

[진행:  김재엽/ 극단 드림플레이 대표,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교수]

 

 

   커넥션사업(KAMS Connection) 이란


  공연예술 분야 국제교류 및 협력 사업을 다각화하고, 전문 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재)예술경영지원센터가

 2010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공연예술 글로벌역량강화사업으로, 해외 협력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중장기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일시 2013년 10월 29일(화) 저녁 7시


장소 연건당(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195-38)


대상 국제협력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는 2~3년 차의 기획자 및 제작자, 아티스트


신청기한 2013년 10월 28일(월) 17:00 까지

 (참석자30명 내외의 소규모 세미나로, 접수가 조기마감 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 온라인 수강신청


문의 국제사업부 전략기획팀 02)708-2262, 2270/ connection@gokams.go.kr








연관된 글 더 보기 ( 관련된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공모전 / 대회 소식 글 보기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제 4회 shopbgm 홈플러스 배경음악 창작공모전 ( 2013년 12월 16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작곡가 주영훈 20주년 기념앨범 편곡 공모전 ( 2013년 11월 15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웨신 찬양신학교 - 제 1회 청소년 성가 경연대회 ( 2013년 10월 26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3 실용음악 영재선발대회 ( 2013년 11월 초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3 청송사과축제 - 전국 대학생 가요제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제 11회 JoinHAND - 청소년 가요제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대회 및 공모전] - 2014년도 부천문화재단 상반기 어린이공연 공모 ( 2013년 11월 8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포럼 및 강연] - 한양대 - 톤마이스터 워크샵 ( Tonmeister Workshop ) - 클래식 음악 녹음의 이론과 실제

[정보 ( Info )/각종 포럼 및 강연] - 예술가의 집 - 2013 문화예술 / 저작권 교육 강연회 ( 선착순 신청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경기창작센터 2014년 창작레지던시 입주작가 모집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고양문화재단 '2014 고양 공연예술제' 지원 공고 ( 2013년 11월 08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4년 문화예술진흥기금 공모사업 지원 신청 ( 2013년 11월 20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신진예술가 양성프로젝트 Rising School 참여작가 모집 ( 2013년 10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년 예술강사 지원사업 - 강사 모집 공고 ( 11월 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3~2014 해외 음악 페스티벌 참가 지원사업 공고 ( 2014년 1월 31일 마감 )

[정보 ( Info )/각종 지원 프로그램] - 2013~2014 K-Pop 해외 쇼케이스 개최 지원사업 공고 ( 2013년 12월 27일 마감 )


Posted by The No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