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강좌의 1.6편입니다. ^_^ 총 3개의 하나의 셋트로 되어 있는 Drum set ( 드럼 ) 과 드럼 관련 가상악기 설명입니다. ^^

 

우선 첫번째 편으로 Drums set ( 드럼 ) 의 간단한 역사와 드럼 관련 가상악기로 많이들 사용하는

Native Instruments 사의 Drum Sampler 인 Battery 3 ( 배터리 3 ) 의 기초 사용법 / 파트 설명법을 올려봅니다 ^_^

( 첫번째 강좌는 총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악기론 / Battery 3 가상악기편 / Battery 3 가상악기편 + )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Drums set & NI Battery 3 ( 드럼 : 가상악기편+ ) - 1.6번째 강좌

 

1.6편은 가상악기편 + 으로 뒷부분을 따로 올리는 건 이전에 올렸던 ( 기초 / 초보 ) 이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라면

이번 편은 그냥 찍기만 하는 기초를 넘어서 에디팅을 하고

Loop Sample 을 활용할 수 있는 부분과 그외 Additional Part 설명이라 분할했습니다. ^_^

 

지난번 강좌 먼저 보시고 연속해서 읽어주세요 ^_^

 

또한 Battery 4 관련 강좌는 이후 따로 만들어서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 이 강좌 글을 처음 만들 당시만 해도 Battery 4 출시 전이었기 때문에 Battery 3 기준으로 설명했습니다. ^^ )

 

이 강좌 글은 제 블로그와 큐오넷, 미유넷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5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6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7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8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9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0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1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2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3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4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5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6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7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8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29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30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31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32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33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34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35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36

 

Battery 3 Wave Sample Edit ( 배터리 3 음원 파일 에디팅하기 ) Battery 3 의 기본 Library 에 들어 있는 Drum Kit 이나 Cell 의 경우에는 제작사에서 어느정도 Editing ( 에디팅 ) 을 해 놓았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하면 되지만 Wave Sample ( 음원 샘플 ) 을 직접 심어서 사용하는 경우엔 때에 따라서 여러가지 Editing ( 에디팅 ) 을 하게 되는데 Battery 3 의 기본 Wave Sample Edit 기능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Wave Edit ( in Cell Section ) - Cell ( 셀 ) Section 에서 Wave Edit 를 할 수 있습니다. * Volume Envelope Filter , Pitch Envelope Control 과 기본 Wave Edit 기능을 활용해서 Edit 할 수 있습니다. Wave Sample 자체에 세밀한 조절을 하기에는 기능이 적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Wave Section 에서 Edit 하기를 권합니다. Volume Envelope 과 Pitch Envelope 기능은 사실상은 Groove Control 의 용도로 쓰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나중에 따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2. Wave Edit ( in Wave Section ) - 실질적으로 Wave Edit 는 Wave Section 에서 주로 Editing ( 에디팅 ) 합니다. * Wave Sample 을 Editing ( 에디팅 ) 해서 쓰기 위해선 우선 Cell ( 셀 ) 에 Wave Sample 을 심어야 합니다. - Wave Sample 을 Cell ( 셀 ) 에 심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a. Drag Drop ( 집어서 던져 넣어 심는 방식 ) - Browser ( Windows ) 또는 Finder ( Mac ) 에서 원하는 Wave Sample 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눌러 선택한 후 원하는 Cell ( 셀 ) 에 던져 넣어 심는 방식을 지칭합니다. b. Add Sample ( Cell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메뉴 중 Add Sample 을 선택해서 심는 방식 ) - 각 Cell ( 셀 )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Small Menu 에서 Add Sample 을 클릭하면 Browser 가 뜨는데 그 Browser 에서 Wave Sample 을 선택해서 심는 방식을 지칭합니다. c. Browser Section ( Browser Section 에서 Wave Sample 을 골라서 선택해서 심는 방식 ) - 아래쪽 메뉴 중 Browser 메뉴를 선택해 Browser 메뉴에서 직접 Wave Sample 을 골라서 심는 방식을 지칭합니다. 위의 2가지 방식과 달리 Preview 기능으로 미리 들어보며 선택할 수 있습니다. * Drag Drop ( 집어서 던져 넣어 심는 방식 )- 원하는 샘플을 Browser ( PC ) 나 Finder ( Mac ) 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눌러 선택한 상태에서 Drag 한 후 원하는 Cell ( 셀 ) 에 집어 던지면 ( Drop ) 되는 간단한 방식의 Wave Sample 심는 방법입니다. - 장점은 쉽고 간편한 것이지만 단점이라면 따로 Wave Sample 에 대해서 들어 볼 수 있는 Player 가 없다면 각각의 Wave Sample 에 대해서 본인이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Mac OSX 기반이라면 Finder 에서 바로 들어 볼 수 있겠지만 PC 를 사용하는 유저라면 본인만의 Player 를 따로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Player 와 Battery 3 의 엔진의 차이에 의한 약간의 소리 차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dd Sample ( Cell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메뉴 중 Add Sample 을 선택해서 심는 방식 ) - 원하는 Cell 을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Small Menu 가 뜨는데 최상단 메뉴인 Add Sample 을 선택하면 뜨는 Browser ( PC ) / Finder ( Mac ) 에서 Wave Sample 을 고르면 됩니다. * Browser Section ( Browser Section 에서 Wave Sample 을 골라서 선택해서 심는 방식 ) - 아래쪽 제일 오른편에 위치한 Browser Section 에서는 Battery 3 에서 제공하고 있는 Browser 가 있습니다. 이 Browser Section 에서는 Auto Preview ( 미리 듣기 )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Wave Sample 을 직접 들어보면서 고를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 : Battery 3 의 경우엔 기존의 Kit 이나 Cell 이 아닌 새로 Kit 을 만들때에는 Master Volume 이 -6dB 의 셋팅이 기본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Battery 3 자체에서 제공하는 Browser Section 에서 Wave Sample 을 듣지 않으면 Cell ( 셀 ) 에 원하는 Wave Sample 음원을 심었을때 원래 소리와 차이나게 들릴 수 있습니다. - 차이나는 것이 싫다면 Master 의 Output 과 Browser 의 Output 의 Volume 이 0dB 가 되도록 설정해놓고 써야 합니다. -6dB 설정이 되어 있는 이유는 Battery 3 자체의 Compressor 라던가 여러가지 Effect 를 사용할때 내부에서 Peak Clipping 이 발생하는 일을 없애기 위해 미리 Headroom 을 만들어 주었기 때문입니다. - 이 부분의 Option 설정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흔히 Battery 3 에 샘플을 심으면 소리가 많이 다르다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2 Part 의 Volume 설정을 0 dB 로 해 놓고 들으면 거의 차이나지 않습니다. 3. Wave Sample Edit ( in Wave Section ) - 샘플 로딩 후 실질적인 Editing ( 에디팅 ) * Cell ( 셀 ) 에 Wave Sample 을 심고나면 위와 같이 Wave Section 에 Wave Sample 의 Amplitude 가 보입니다. - 좌측의 빨간 선과 후측의 빨간 선은 실제로 소리가 나는 구간 ( Play Start / Play End ) 기준선입니다. - 또한 상하, 좌우로 확대해서 Wave Sample 을 자세히 보고 싶을때에는 우측 하단의 + 와 - 를 누르면 됩니다. * Wave Sample 이 처음부터 잘 다듬어져 있어서 시작부터 소리가 나면 좋지만 많은 Wave Sample 은 시작 부분의 Delay Section 이 있어서 마치 Latency 가 있는 것처럼 늦게 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Wave Section 에서 Play Start 기준선의 위치를 조절해서 바로 소리가 나게 바꾸어주어야 합니다. - 그냥 Play Start 기준선을 옮기면 세밀한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좌우 확대 버튼을 눌러서 Editing 하는 편이 더 효과적입니다. Play End 기준선 역시 옮겨서 실제로 소리나는 구간을 정해야 합니다. * Wave Section Small Menu - Wave Section 좌측 상단에 Edit 메뉴 안에 여러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 Fade in / Fade out / Silence / DC Removal / Reverse / Normalize / Select All 의 세부 기능이 있습니다. Loop Sample Using ( 루프 샘플 활용하기 ) - Battery 3 는 Battery 3 는 Apple Loop / Acid Wave / REX file 형태의 Loop Sample 을 불러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Loop Sample - Apple Loop / Acid Wave / REX file ? * Loop Sample 이라는 것은 연주가 녹음된 파일로 부분들이 Slice ( 조각 분할 ) 되어 있고 Tempo Data 가 들어 있는 음원을 지칭합니다. Logic Pro 에 기본으로 들어 있는 Apple Loop 이나 Acid Wave, REX file 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2. How to load - Loop Sample 을 불러오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 Browser Section 에서 Loop Loading 하는 방법 - Browser Section 에서 Loop Sample 을 클릭한 후 불러 올 수 있습니다. Loop file 은 Browser Section 에서 클릭하게 되면 Tempo Data 가 같이 뜨게 되기 때문에 Editing ( 에디팅 ) 해서 쓰기에 더 좋습니다. * File - Open Kit 메뉴로 Loop Loading 하는 방법 - Browser Section 에서 Loop Sample 을 불러올 때와는 달리 Preview 나 Tempo 에 대한 정보를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본인이 자신의 기준으로 정리를 잘 해 놓았다면 File - Open Kit 메뉴로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3. Using Loop Slice Sample - 샘플 로딩 후 Loop Sample 사용하기 * Loop Sample 을 로딩하고나면 [ 바탕화면 ] 에 MIDI 파일이 생성이 됩니다. 이 MIDI 파일은 Loop Sample 을 DAW ( 로직 또는 큐베이스 ) 에서 활용할때 각각의 Pitch 별로 소리가 나는 길이에 대한 Data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해당 MIDI 파일을 Drag Drop 해서 DAW 에 던지거나 Import 해서 사용하면 Stylus RMX 와 같은 REX 파일을 사용하는 가상악기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실제로 사용할 때 주의할 점 하나는 Wave Sample 을 심어서 사용할때에는 One Shot ( 한번 누르면 끝까지 소리나는 것 ) 설정되어 있어서 MIDI note 을 길이를 길게하건 짧게 하건 Play 에는 상관이 없었지만 Loop Sample 은 길이만큼 소리가 나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 길이보다 길게 입력하는 건 상관이 없지만 짧게 MIDI note 를 입력하면 제대로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이점을 유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Loop Sample file 을 불렀는데 MIDI 파일이 바탕화면에 생기지 않을때 옵션 설정 원하는 Loop 샘플을 Browser Section 에서 부르거나 Open Kit 메뉴를 이용해서 불렀는데 바탕화면에 MIDI 파일이 생기지 않을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을 바꿔주고 부르시면 생깁니다. 원래는 그냥 생기는 것이 맞는데 간혹 안 그런 경우가 있는 듯 해서 방법을 첨부합니다. a. [ File - Option ] 메뉴에서 [ Expand Loop Slices to Individual Cells ] 라는 항목을 Off 로 변경합니다. b. 옵션을 바꿔주고 난 후 Browser Section 이나 Open Kit 메뉴로 Loop Sample 을 부르면 바탕화면에 MIDI 파일이 생기지만 Loop Sample 은 Cell 하나에만 불릴겁니다. - Expand Loop Slices to Individual Cells 라는 메뉴는 Loop 부를때 Slice 된 각각의 부분을 각기 다른 Cell ( 셀 ) 에 자동으로 나뉘어 로딩할지에 대한 옵션입니다. c. 하나의 Cell 에만 로딩된 Loop Sample 을 각기 다른 Cell 로 분할해서 Slice ( 조각 분할 ) 된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면 Cell Section 아래쪽의 Beat 메뉴 안에 있는 [ Expand ] 를 클릭하면 조각 조각 분할됩니다. d. [ Expand ] 메뉴로 다시 분할하고 나면 한가지 문제가 발생하는데 처음 2개의 Cell ( 셀 ) - 전체 Loop 가 들어 있는 Cell / 첫번째 Slice Cell - 이 동일하게 C1 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겹쳐서 재생되게 됩니다. - 전체 Loop 가 들어 있는 Cell 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C0 로 재지정해주시면 됩니다. Battery 3 의 Cell Section 에 Pitch Envelope 이라는 기능 Section 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Wave Sample 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Pitch 의 변화를 주어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처음에는 원 음원보다 조금 높게 Pitch 가 나오다가 뒤로 갈 수록 낮아지게 한다던가 반대로 낮다가 높아지게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1. Amount, D1 / B, D2 - Pitch Envelope 을 제어할 수 있는 Knob ( 노브 ) 입니다. * Amount 와 D1 노브는 앞부분 ( 파란색 ) 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Amount 의 기준은 원 음원의 Pitch 보다 되는 범위를 정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첫 시작 부분을 원 음원보다 높게 설정해서 Play 할 것인지 아니면 낮게 설정해서 Play 할 것인지를 정해주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D1 은 Amount 로 올라간 Pitch 가 어느정도의 시간 뒤에 B 에서 설정한 음원의 Pitch 로 변화할 것인지 길이를 설정하는 노브입니다. * B 와 D2 는 중간부분 ( 녹색부분 ) 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B 는 Amount 에서 설정한 Pitch 값에서 더 큰 폭의 변화를 원할 때 설정하면 됩니다. D2 는 B 로 제어되는 구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노브입니다. Amount 와 B 로 제어되는 부분 이후에는 원 음원의 Pitch 로 되돌아가게 됩니다. * B 노브에서 0 st 로 설정하면 B 구간에서는 음원의 Pitch 가 변화하지 않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Amount 의 Pitch 는 원 음원의 Pitch 에서 되고 D1 의 시간 ( 길이 ) 이 지나면 원 음원의 Pitch 로 복귀되는 것이지만 B 노브에서 변화하는 Pitch 값을 넣어주게 되면 설정해준 Pitch 값으로 변화한 이후에 원 음원의 Pitch 로 되돌아가게 됩니다. - 즉 Amount 와 B 에 둘 다 Pitch 의 변화값을 입력하게 되면 D1 + D2 의 시간 ( 길이 ) 가 지난 후에 원 음원의 Pitch 로 소리가 나는 것이기 때문에 소리를 들으면서 미리 쓰임을 고려해서 조절하는 편이 좋습니다. Volume Envelope Filter (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Volume 조절해서 사용하기 ) - Battery 3 의 Cell Section 에 Volume Envelope Filter 라는 기능 Section 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Wave Sample 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Volume 의 변화를 주어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Wave Section 의 Fade in / out 이 기능 제한적이었다고 느끼시는 분은 Volume Envelope Filter 를 활용해서 적극적인 Editing 을 할 수 있습니다. 1. AHD Mode / AHDSR Mode - Volume Envelope Filter 를 조절할 수 있는 2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 AHD Mode ( 기본적으로 위의 그림상에서 하얗게 변한 부분만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 - AHD 이란 Attack Time / Hold Time / Decay Time 의 줄일말입니다. - Volume Envelope Filter 에서 Attack Time 이란 원 음원의 Volume 의 크기의 Volume 으로 소리가 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지칭합니다. 흔히 ADSR 이라고 이야기하는 Volume Envelope 에서의 Attack Time 과 Volume Envelope Filter 의 Attack Time 은 정의와 사용법이 조금 다르니 이를 혼동하지 않으셨음 합니다. ( 단위 : ms ) - 위의 예시의 그림을 잘 보면 앞부분의 하얀 부분의 Filter Section 이 뒤로 살짝 밀려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의 Volume 을 Filter 모양처럼 소리나게 만드는 것으로 Fade in 의 느낌과는 다릅니다. - 흔히 Punch 감이라고 하는 것이 Attack 부분의 질감과 상관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의 Volume 을 제어함으로 소리의 질감 역시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Tone Control 에 대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선 많은 배경 지식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Volume Quality 에 대한 부분을 먼저 공부해보길 권합니다. - Volume Envelope Filter 에서 Hold Time 은 원 음원과 동일하게 Volume 으로 소리나는 구간의 길이 ( 시간 ) 에 대한 설정입니다. 기본적으로 Attack Time 이 적용되고 난 이후에 적용되는 것이니 이를 감안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 단위 : ms ) - Volume Envelope 에서의 Hold Time 은 Attack Peak 가 유지되는 시간을 지칭하지만 Volume Envelope Filter 에서의 Hold Time 은 원 음원의 Volume 크기 그대로 소리가 나는 구간의 길이 ( 시간 ) 지칭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혼동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Volume Envelope Filter 에서 Decay Time 은 Hold Time 이 끝나고 나서 Sustain Level 까지 소리가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칭하는데 AHD Mode 에서는 소리가 사라지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지칭합니다. - AHD Mode 에서는 Release 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해도 무방합니다. ( 단위 : ms )* AHDSR Mode - AHD Mode 에서 Sustain Level 과 Release Time 의 Control 이 추가된 모드를 지칭합니다. - AHDSR 모드에서 Decay Time 은 원 정의 그대로 Sustain Level 에 까지 소리가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칭합니다. 쉽게 이해하면 2단 구조의 Volume 조절할 수 있는 Section 이 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이 Decay Time 을 조절하면 Punch 감의 또 다른 느낌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단위 : ms ) - Volume Envelope 에서의 Sustain Level 은 Attack Peak 이후의 유지되는 Body 부분의 Volume Level 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Volume Envelope Filter 에서의 Sustain Level 은 중간에 조절할 수 있는 Level Peak Point 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Volume Envelope Filter 를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하나의 기준점이라는 뜻입니다. - 원 음원의 Volume 에서 - x dB 되는 것으로 Sustain Level 을 Control 하게 됩니다. - Volume Envelope Filter 에서 Release Time 은 Hold Time 이 끝나고 나서 Sustain Level 에서 소리가 사라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칭합니다.( 단위 : ms ) * AHD Mode / AHDSR Mode ( Volume Envelope Filter ) - AHD Mode 와 AHDSR Mode 의 Volume Envelope Filter 는 Groove Control 의 하나의 중요한 도구입니다. Volume Envelope 즉 Volume Quality 를 조절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는 Velocity 이지만 여러가지 도구 ( Transient Design Effect / Gate / Expander / Volume Envelope Filter / Compressor / Limiter ) 를 이용해서 실제 우리가 듣는 음반에서의 Groove 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Posted by The Note
,





CJ azit ( CJ 아지트 ) 에서 신인 뮤지션 지원 프로그램인 Tune Up 이 올해도 진행되네요.

관심 있는 뮤지션분들은 한번 지원해보세요 ^_^


CJ azit ( CJ 아지트 ) - 신인 뮤지션 지원 프로그램 Tune Up 13기 ( 2013년 9월 11일 마감 )


물론 이 프로그램 역시 매년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이니까

올해 안되신 분들은 내년을 기대하며 미리 미리 준비해 놓으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_^


관련 홈페이지 주소 : http://www.cjazit.org/









접수기간

2013.07.01(월) ~ 2013.09.11(수)12:00


참가자격
- 앨범을 발매하지 않았거나, 정규 앨범을 발매한지 1년이 경과하지 않은 신인 뮤지션
(정규 앨범 발매 시점은 공모 마감일을 기준으로 한다.)
※ 성별, 나이, 학력, 직원 제한 없음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에 한함
※ 선정 심사에 있어 앨범을 발매하지 않은 신인 뮤지션에 우선 순위를 둡니다.
※ 앨범 발매를 불문하고 프로젝트 그룹의 지원은 불가능 하다.
※ 멤버 중 1인이라도 다른 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의 지원은 불가하다.
※ 팀 및 멤버 경력은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수상 및 앨범 발매 이력, 소속사 등)
※ 타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동일한 지원을 받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지원 받고 있는 팀의 지원은 불가하다.

※ 튠업 뮤지션에 선정되어 지원을 받는 중, 튠업과 유사한 타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될 경우 튠업의 지원을 제한한다.
※ 기본 정보 및 팀 정보가 허위로 판명될 경우에는 선정이 취소 될 수도 있다.


필수 제출 사항
음원 3곡, 동영상 1곡(음원 중 1개와 동일한 동영상)
*CJ아지트 홈페이지를 통한 지원.
*추후 예선쇼케이스에서 실연가능한 곡이어야 함.






Posted by The Note
,


첫번째 강좌의 1.5편입니다. ^_^ 총 3개의 하나의 셋트로 되어 있는 Drum set ( 드럼 ) 과 드럼 관련 가상악기 설명입니다. ^^

 

우선 첫번째 편으로 Drums set ( 드럼 ) 의 간단한 역사와 드럼 관련 가상악기로 많이들 사용하는

Native Instruments 사의 Drum Sampler 인 Battery 3 ( 배터리 3 ) 의 기초 사용법 / 파트 설명법을 올려봅니다 ^_^

( 첫번째 강좌는 총 3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악기론 / Battery 3 가상악기편 / Battery 3 가상악기편 + )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Drums set & NI Battery 3 ( 드럼 : 가상악기편 ) - 1.5번째 강좌

 

1.5편은 Drum 가상악기로 가장 대표적인 Native Instruments 사의 Battery 3 의 기본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Battery 4 관련 강좌는 이후 따로 만들어서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 이 강좌 글을 처음 적을 당시만 해도 Battery 4 출시 전이었기 때문에 Battery 3 기준으로 설명했습니다. ^^ )

 

이 강좌 글은 제 블로그와 큐오넷, 미유넷에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

또는 카페에 퍼가는 것은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제가 직접 다른 싸이트나 블로그에 올리겠으니 예의 지켜주세요 )

 

강좌에 사용된 영상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Youtube 의 영상을 링크했으며

일부 사진은 인터넷의 오픈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 혹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1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2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3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4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5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6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7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8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09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0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1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2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3
NI Battery 3 ( 배터리 3 ) 사용법 14

 

Native Instruments - Battery 3 Drum Sampler ( 배터리 3 ) - Drum 관련 가상 악기 중에 많이 쓰이는 NI 사의 Battery 3 의 기본 사용법과 기초 조작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Library Setting - 기본적인 설치를 하고나면 제일 먼저 Library 를 Setting 해 주어야 합니다. * 처음 설치할때 Library 까지 같이 설치하면 당연히 자동으로 Library 가 잡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HDD 에 설치하거나 Library 의 위치를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럴때에는 Library 위치 설정에서 바꿔주면 됩니다. Library 위치 설정은 상단에 있는 [ File ] 메뉴를 클릭해서 제일 아래에 있는 [ Option ] 안에 들어가면 Library 위치 설정 메뉴가 있습니다. 자신의 Battery 3 Library 의 최상단 폴더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Library 를 따로 설치하지 않은 경우엔 Demo Content 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Battery 3 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선 구입시에 같이 들어 있는 Library 를 모두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Drum Kit 불러오기 - Battery 3 자체 Library 를 불러와서 사용하려면 Drum Kit 을 불러와야 합니다. * 기본 Library 를 불러오려면 상단에 위치한 File 메뉴 바로 아래에 있는 New ( default ) 를 클릭해서 원하는 Library 를 불러오면 됩니다. 만약 New ( default ) 를 클릭했는데 아무것도 안 뜬다면 Library 폴더 설정이 제대로 안된 것이니 다시 설정해주면 됩니다. - Drum Kit 을 불러오면 아래쪽의 Cell ( 셀 ) 이 빈 상태 ( 회색 ) 에서 여러가지 Drum Sample 이 불려진 상태 ( 컬러 ) 로 바뀌게 됩니다. Cell ( 셀 ) 에 Library 가 불려지게 되면 이제 Battery 3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Battery 3 Cell ( 셀 ) - Cell ( 셀 ) 에는 하나 이상의 Drum Sample 을 불러서 사용할 수 있는 각각의 Sample Loading Section 입니다.>* 즉 쉽게 이야기해서 Drum 의 각각의 Part ( Bass Drum, Snare Drum, Hi-Hat 등등 ) 을 각각의 Cell ( 셀 ) 에 지정해서 사용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만 실제 Drum 과 차이라면 실제 Drum 은 Hi-Hat 하나로 다양한 연주 방법을 적용해서 연주할 수 있지만 Battery 3 에서는 Sample 음원 파일을 넣어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Closed Hi-hat / Opened Hi-Hat / Semi Opened Hi-Hat / Pedal Hi-Hat 등의 음원을 각기 다른 Cell 에 넣어서 연주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차이입니다. * Cell ( 셀 ) 을 연주에 사용하기 위해선 각각의 Cell 이 건반이나 Piano Roll 에서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러한 Data 는 아래쪽에 보면 [ Cell ] 항목에 있는 Key Range 에 보면 써 있습니다. Key Range 에 써 있는 음을 누르면 해당 Cell 의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왼쪽의 예시 그림 경우에는 C#2 를 누르면 Crash 샘플의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는 것입니다. - Name 부분을 바꾸면 각 Cell 의 이름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각각의 Cell ( 셀 ) 의 Sample 음원의 Pan / Volume / 미세 Tune 조절하는 것도 Cell Section 에서 할 수 있습니다. - 미세 Tune 을 조절하는 것은 Time Stretch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음원의 미세 Pitch 만 변하는 것이 아닌 길이 역시 변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점은 유의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 각각의 Cell ( 셀 ) 만 Solo / Mute 하고 싶을때는 Cell ( 셀 ) 에 있는 노란색 버튼을 누르면 Solo / 붉은 색 버튼을 누르면 Mute 가 됩니다. - Cell ( 셀 ) 한 줄 전체가 Solo / Mute 가 되게 만들고 싶으면 양쪽 끝에 있는 항목에 있는 Solo / Mute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A, B, C, D 라고 되어 있는 쪽은 좌우에 해당되는 줄이 전체 Solo / Mute 가 되고 1, 2, 3, 4 라고 되어 있는 쪽은 상하로 Solo / Mute 가 적용됩니다. * Cell Library Change ( 셀 음원 바꾸기 ) ( - 상단의 Edit 메뉴 또는 각 Cell 에서 마우스 오른쪽 눌러서 변경 가능 ) - 해당 Cell 만 다른 음원으로 바꾸기 원할 경우엔 Cell 에서 마우스 오른쪽으로 눌러서 Small Menu 를 띄워서 바꾸면 됩니다. 기존 Library 에서 불러서 바꾸고 싶은 경우 ( Exchange Library ) 엔 Cell Library 에서 골라서 바꾸면 되고 아예 해당 Cell 을 비우고 다른 음원을 직접 넣고 싶은 경우엔 Replace Sample 메뉴를 골라서 직접 음원을 불러오면 됩니다. 기존의 음원에 다른 음원을 더 넣어서 음원을 섞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엔 Add Sample 을 눌러서 음원을 불러 오면 기존 음원이 지워지지 않고 음원을 더 넣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2개 이상의 Cell ( 셀 ) 연동해서 사용하기 * Drum Sampler 로서 주로 사용되는 Battery 는 2개 이상의 Drum Sample 을 섞어서 사용하는 일이 많다보니 간단한 설정만으로도 2개 이상의 Cell 을 섞어서 동시 또는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 각각의 Cell 에 지정된 Key Range 가 동일하면 동시 또는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두개의 Cell 의 Key Range 를 위와 같이 동일한 C1 으로 지정하면 위의 예시의 BD 24x14 와 Snare Side Stick 은 C1 을 누르면 동시에 연주가 됩니다. 외부에서 Cell 에 직접 샘플을 심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Cell 에서 동시에 연주가 가능하지만, 각각의 Sample 음원의 Volume 이나 연주 영역 / 타이밍 등 세밀한 조절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여러개의 Cell 을 연동해서 조절하는 편이 더 좋습니다. - 특히 2개 이상의 Cell 을 연동하는 경우엔 Setup 메뉴와 Modulation 메뉴를 활용하면 일정한 상황에서만 Cell 을 연동하거나 소리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2개 이상의 Cell 연동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하는 편입니다. 5. 여러개의 Cell ( 셀 ) 의 Output 을 각각 분리해서 사용하기 * 각각의 Cell ( 셀 ) 의 소리를 따로 나오게 해야 Compressor, EQ 또는 Delay, Reverb 를 각기 따로 줄 수 있습니다. - Battery 자체의 Compressor / EQ / Gate / Reverb / Delay 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더 세밀한 Mixing Process 를 진행하기 위해선 각각의 Cell ( 셀 ) 의 Output 을 분리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각각의 Cell ( 셀 ) 의 오른쪽에 있는 Output 하단에 보면 Ch [ Master ]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눌러서 각각의 Cell ( 셀 ) 의 Output 을 다르게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만 바꾼다고 소리가 나뉘어서 나가는 건 아닙니다. - Cubase 의 경우엔 F11 눌러서 나오는 VST Instruments Rack 에서 Output 을 활성화 ( Activate Audio Output ) 을 눌러서 추가로 Output 을 활성화해줘야 합니다. * Logic Pro 의 경우엔 Battery 를 부를 때 Multi Output 으로 불러야 Output 을 분할할 수 있습니다. - Multi Output 으로 부른 후 Mixer 창에서 + 마크를 눌러서 Output 을 추가해주면 추가된 Output 으로 Cell ( 셀 ) 의 소리들이 분할되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Output 을 줄일 때에는 - 버튼을 누르면 Output 의 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순서대로 Battery 의 Output 이 자동 설정, 적용되게끔 되어 있으니 따로 맞춰줄 필요는 없지만 Battery 의 Output 을 mono 로 한 경우엔 추가한 Output 트랙도 mono 로 변경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6. Drum Articulation ( 드럼 주법 ) * Snare Drum 이나 Cymbal 류에는 다양한 주법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직접 MIDI Sequencing 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Battery 의 경우엔 Setup 메뉴에 있는 Articulation 메뉴를 활성화하면 다양한 주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rticulation 메뉴를 적용하면 계속 적용되어 있게 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동일한 샘플을 부른 Cell ( 셀 ) 을 2개 이상을 만든 다음에 하나의 Cell ( 셀 ) 은 그대로 사용하고 나머지 Cell ( 셀 ) 에 Articulation 을 적용한 것을 따로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 Articulation ( 주법 ) 을 적용할때 꾸밈음의 속도와 세기 조절은 옆에 있는 Speed / Dynamics 로 조절하면 됩니다. Battery 3 Custom Kit Tip ( 배터리 3 커스텀 킷 관리 팁 ) Battery 3 의 Kit 중 일부 Cell ( 셀 ) 을 바꾸거나 새로운 자신만의 Kit 을 만들었때 외부 작업을 나가거나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서 자신의 프로젝트를 부를때 Battery 3 Kit 이 불리지 않거나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난감한 경우를 피하기 위해서 Battery 3 Kit 을 따로 저장하는 방법과 그외 몇가지 Tip 에 대한 Part 입니다. 1. Save Kit As... - Custom Kit 을 저장하기 위해선 File 메뉴에 있는 [ Save Kit as... ] 를 누르면 됩니다. * Save Kit 은 기존에 있는 Kit 을 아예 바꿔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Save Kit As... 메뉴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존의 Kit 을 언제나 동일하게 매번 바꿔서 쓰고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할 일이 없다면 그냥 Save Kit 으로 바꿔 놓는 편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Music Tune 과 Groove 에 따라서 같은 Kit 이라도 조절해서 쓸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가능하면 기존 Kit 은 그대로 두고서 새로운 자신만의 Kit 을 만들어서 아예 다른 Folder 나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는 편이 좋습니다. * Save Kit As...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Save Kit 메뉴 팝업창이 뜹니다. - Kit Patch 이름은 기존의 이름과 다르게 적어서 저장하면 됩니다.* Save Kit As... 팝업창에서 3가지 Save Option 이 있습니다. a. Patch Only - Patch Only 는 Battery 3 Kit Patch 만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Kit Patch 라는 건 Drum 음원 파일은 제외하고 말 그대로 각 Cell 에 어떤 음원이 들어 갔는지에 대한 Data 만을 지칭합니다. 컴퓨터 이동없이 프로젝트에 쓰인 Custom Kit 을 저장해 놓을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부를 때에는 Patch Only 로 저장하는 경우엔 해당 음원이 없으면 불리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음원이 동일하게 들어 있는 컴퓨터일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주로 Battery 3 의 기본 Library 를 Custom 했을때 저장해 두는 옵션으로 사용합니다. b. Patch + Samples - Patch + Samples 은 Kit Patch 외에 Kit 에 사용된 음원까지 모두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 Patch + Samples 로 저장하게 되면 다른 컴퓨터에 내 프로젝트에 사용된 Drum Kit 음원이 없더라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 잦거나 다른 사람과 공동 작업을 하는 경우엔 Patch + Samples 로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 Patch + Samples 로 저장하면 Kit 파일과 음원 ( Samples ) 이 저장된 Folder 두가지 생성됩니다. 프로젝트 폴더 안에 둘다 넣어 두거나 이동시엔 Kit Patch 와 Sample 이 저장된 Folder 모두 복사해서 옮겨야 나중에 불러올 수 있습니다. c. monolith - monolith 는 Patch 처럼 음원과 Patch 모두 저장되기는 하지만 따로 저장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어 저장되는 기능입니다. 2. Save Selected Cells - 일부 Cell ( 셀 ) 만 따로 저장하고자 할때 사용합니다. * 일부 Cell ( 셀 ) 을 Editing 해서 이것 저것 만진 상태에서 해당 Cell 만 저장해서 이후에 따로 Cell Library 에서 불러서 쓰고자 할때에는 Save Selected Cells 기능을 사용해서 저장하면 해당 Cell 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 Save Selected Cells 기능 역시 세부 옵션은 Save Kit As... 와 동일하게 나옵니다. Patch Only 로 Editing 한 상태의 Cell Patch 만 저장할 수도 있고 Patch + Samples 이나 monolith 옵션으로 Cell 에 해당되는 음원까지 저장해서 따로 Cell 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 Cell ( 셀 ) 의 저장위치는 Battery 3 Library 안에 보면 [ 10-Cell Library ] 라는 폴더 안에 저장되도록 기본 설정이 되어 있으니 특별히 위치를 변경한게 아니라면 [ 10-Cell Library ] 안에 [ Custom ] 이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저장 해서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 Battery 3 Library 를 모두 설치하고 난 이후엔 11 - Custom 이라고 지정 )

Posted by The Note
,